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kinny-128-384와 Romulus-N의 SITM 공격

        박종현,김종성,Park, Jonghyun,Kim, Jongsu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2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2 No.5

        SITM (See-In-The-Middle)은 부채널 정보를 차분 분석에 활용하는 분석 기법이다. 이 공격은 블록암호 구현시 마스킹 되지 않은 중간 라운드의 전력 파형을 수집하여 공격자의 차분 패턴을 만족하는 평문 쌍을 선별하고 이를 차분 분석에 활용하여 키를 복구한다. NIST 경량 암호 표준화 공모사업의 최종 후보 중 하나인 Romulus는 Tweakable 블록암호 Skinny-128-384+를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SITM 공격을 14-라운드 부분 마스킹 구현된 Skinny-128-384에 적용하였다. 이 공격은 기 제안된 결과보다 depth를 한 라운드 증가한 것뿐만 아니라 시간/데이터 복잡도를 2<sup>14.93</sup>/2<sup>14.93</sup>으로 줄였다. Depth는 전력 파형을 수집하는 블록암호의 라운드 위치를 뜻하며, 이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부분 마스킹 기법 적용 시 필요한 적절한 마스킹 라운드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격을 Romulus의 Nonce 기반 AE 모드 Romulus-N으로 확장하였으며, Tweakey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면 Skinny-128-384보다 적은 복잡도로 공격할 수 있음을 보인다. See-In-The-Middle (SITM) is an analysis technique that uses Side-Channel information for differential cryptanalysis. This attack collects unmasked middle-round power traces when implementing block ciphers to select plaintext pairs that satisfy the attacker's differential pattern and utilize them for differential cryptanalysis to recover the key. Romulus, one of the final candidates for the NIST Lightweight Cryptography standardization competition, is based on Tweakable block cipher Skinny-128-384+. In this paper, the SITM attack is applied to Skinny-128-384 implemented with 14-round partial masking. This attack not only increased depth by one round,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time/data complexity to 2<sup>14.93</sup>/2<sup>14.93</sup>. Depth refers to the round position of the block cipher that collects the power trace,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ppropriate number of masking rounds required when applying the masking technique to counter this attack. Furthermore, we extend the attack to Romulus's Nonce-based AE mode Romulus-N, and Tweakey's structural features show that it can attack with less complexity than Skinny-128-384.

      • KCI등재

        블록암호 PRESENT에 대한 향상된 SITM 공격

        박종현,김한기,김종성,Park, Jonghyun,Kim, Hangi,Kim, Jongsu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2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2 No.2

        The SITM (See-In-The-Middle) attack proposed in CHES 2020 is a type of analysis technique that combines differential cryptanalysis and side-channel analysis, and can be appli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with a low SNR (Signal-to-Noise Ratio). This attack targets partial 1<sup>st</sup> or higher order masked block cipher, and uses unmasked middle round weakness. PRESENT is a lightweight blockcipher proposed in CHES 2007, designed to be implemented efficiently in a low-power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SITM attacks on 14-round masked implementation of PRESENT while the previous attacks were applicable to 4-round masked implementation of PRESENT. This indicates that PRESENT has to be implemented with more than 16-round masking to be resistant to our attacks.

      • KCI우수등재

        열경화성 액정 에폭시 매트릭스 복합재료의 열분해 거동 비교

        박종현,조승현,Park, Jonghyun,Cho, Seung Hyun 한국섬유공학회 2018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5 No.5

        Thermosetting liquid crystalline epoxy is an epoxy polymer that forms a liquid crystalline network structure upon curing. 4,4'-Diglycidyloxybiphenyl with an aromatic rigid-rod part such as a biphenyl group exhibits liquid crystallinity. Biphenol epoxy resin (BP), which is cured by using sulfanilamide, forms a liquid crystalline network by reacting the amine and epoxy ring of sulfanilamide and biphenol. In this experiment, silicon nitride (Si3N4) or aluminum nitride (AlN) was used as a filler. The activation energy required for the decomposi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Kissinger method and the Flynn-wall method to confirm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thermosetting liquid crystalline epoxy with silicon nitride. As a result, the activation energy required for decomposition of the composite increased with increasing silicon nitride cont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silicon nitride increase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thermosetting liquid crystalline epoxy.

      • KCI등재

        소셜 카지노 게임의 도박여부에 대한 미 연방법원의 논의

        박종현(Jonghyun Park)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3 No.3

        소셜 카지노 게임이라 함은 소셜 네트워크 셔비스 등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게임 중 룰렛, 포커, 빙고, 슬롯 머신 등의 게임을 모사한 가상의 카지노 게임들을 지칭한다. 소셜 카지노 게임은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며 이용을 계속하기 위해 가상의 칩과 같은 게임머니를 구입해야 한다. 게임을 통해 칩을 획득하더라도 이를 실제 현금으로 환급하는 것은 게임이용 동의 과정에서 이용자가 체결하는 약관에서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금성이 없는 게임머니를 획득하거나 잃는 것은 재산상 손익에 해당하지 않고 그에 따라 소셜 카지노 게임은 도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미국에서 그 동안 소셜 카지노 게임을 바라보는 관점이었고 그에 따라 전역에서 그 서비스가 허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소셜 카지노 게임의 계속적인 이용을 위해 가상의 칩을 구매함에 있어 과도한 지출을 한 게임 이용자들이 소셜 카지노 게임사들을 상대로 게임에서의 손실을 보상해달라는 소송을 여러 주에서 제기하면서 소셜 카지노 게임의 도박여부에 대한 논의가 연방법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일리노이 주의 Phillips v. Double Down Interactive, Soto v. Sky Union 판례, 메릴랜드 주의 Mason v. Machine Zone Inc. 판례, 워싱턴 주의 Kater v. Churchill Downs 판례를 들 수 있다. 주마다 상이한 도박법 및 관련 손실회복법이 존재함에 따라 이들 판례들은 여러 쟁점에서 서로 다른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데 그 차이는 주로 도박의 구성요건인 대가나 보상의 요소로 ‘가치 있는 것’이라는 개방적 개념이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에서 유래한다. 워싱턴 주의 경우 이 개념을 도박 규정에서 활용하고 있어 Kater 사건의 연방항소법원은 게임이용을 연장시켜주는 가상 칩은 환금성 여부를 떠나 그 자체로 가치 있는 것이며 소셜 카지노 게임이 도박에 해당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하지만 Kater 사건을 제외한 다른 사건들에서 연방법원들은 가치 있는 것이라는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도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며 특히 환금성이 없는 가상 화폐(칩)의 소비는 게임의 이용을 위해 지불된 것이지 직접적으로 경제적인 손실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즉 도박의 요소 중 하나인 보상(손실)이 소셜 카지노에서는 실제 카지노의 경우처럼 명확하게 존재하지는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워싱턴 주의 경우에도 Kater 사건의 연방항소법원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게임에서 획득한 칩의 환급을 허용하지 않는 소셜 카지노 게임에 참여하는 이용자들에 대해서는 구매한 칩의 소진에 따른 피해구제를 청구할 자격을 인정하지 않는 법안들을 2020년 상정하기도 하였다. 소셜 카지노 게임 유료화를 불허하고 있는 우리의 현행 규제의 적절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소셜 카지노 게임을 둘러싼 미 연방사법부의 논의는 시사하는 바가 상당할 것이다. Social casino games refer to virtual casino games that mimic games such as roulette, poker, bingo, and slot machines, which provided through Internet services including social network service. Social casino games are basically free to use and require the purchase of game money such as virtual chips to continue game play. Even if a virtual chip is obtained through winning a game, refunding it in real cash is generally prohibited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signed by users before game playing. Social casino games have not been considered gambling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there is no prize of real money for winning a hand of virtual poker or winning on a virtual slot machine. In recent years, however, discussions about whether social casino game is gambling have been centered around the U.S. federal courts with lawsuits in which game users claim compensations for game losses against social casino game companies. Examples include Phillips v. Double Down Interactive and Soto v. Sky Union in the state of Illinois, Mason v. Machine Zone Inc. in the state of Maryland, and Kater v. Churchill Downs in the state of Washington. The presence of different gambling laws and loss recovery acts in different states has led to different discussions on various issues, mainly on whether the open concept of "thing of value" can be treated as a object of consideration or prize (components of gambling). Washington state uses this ‘thing of value’ concept in gambling regulations, and the federal appeals court in Kater case concluded that virtual chips that extend game use are valuable in themselve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exchangeable to real money or not, and that social casino games are gambling. However, in cases other than Kater case, federal courts did not rely on the notion of ‘thing of value’, and argued that consumption of virtual currencies (chips) that were not exchangeable to real money shoud be understood as expenditure for game use and could not be an economic loss. In other words, it was determined that prizes (losses), one of the elements of gambling, do not exist as clearly in social casinos games. Washington state also introduced legislative bills in 2020 that would not allow game users to claim damages from the exhaustion of purchased chips against social casino game companies, despite the federal appeals court decision in Kater case. At a time when questions are raised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regulations in Korea, which do not allow purchase of chips for a fee in social casino games, the U.S. federal judiciary"s discussion over social casino games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 KCI등재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박종현(Jonghyun Park)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2

        보건권을 명시하는 헌법규정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헌법학자들은 헌법상 보건권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근거규정으로는 다양한 헌법규정이 제시되지만, 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건보호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36조 제3항의 해석상 의무에서 구체적인 권리가 대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근거규정이 될 수 있다. 특히 기타의 국가의무조항들과 달리 국민이 보건에 대한 국가의보호를 받는다고 표현한 이 조항은 국민이 국가의 보건보호를 받을 응당한 자격 이 있고 헌법상 청구권이 있음을 드러낸다고 해석가능하다. 보건권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사회권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인데, 사회권에 대한 현재의 논의에 따르면 사회권은 입법 등 국가의 개입이 있어야 비로소 권리로 인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보건권이 사회권으로 분류되고 권리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은 헌법상 권리 혹은 인권을 소극적인 성격의 자유권과 적극적인 성격의 사회권으로구분하는 기존의 논의 틀에서 비롯된다. 하지만 복지국가 시대에 복지의 문제를 순전히 정책의 문제로 취급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그 문제를 시민의 권리실현의 문제로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사회권에 온전한 권리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사회권은 평등한 자유권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사회적 전제의 마 련을 위해서 반드시 보장되지 않으면 안 되는 권리로 이해될 수 있다는 논의에 따르면 사회권에 대한 기존의 차별적 접근은 수용되기 어렵다. 욕구이론이나 역랑이론과 같이 인권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서는 심지어 사회권의 실천이 인간으로서 의 존엄과 자기 개발을 위해 자유권보다 선결되어야 할 문제가 된다. 사회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틀에서 보건권 역시 온전한 권리성을 누리며 국가가 최대한 보장해야 하는 보편적 인권의 일종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헌법상의 권리도 사회변 화에 따라 끊임없는 토의를 통한 포함·배제의 재구성을 겪게 되는데 복지국가원리가 우리 헌법의 기본원리로 인정되고 복지가 최상의 사회적 아젠다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국민의 복지에 핵심적인 보건에 대한 권리를 구체화하고 실천하는 작업 은 중요한 헌법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사회적 요청에 따라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보건권의 내용을 온전하게 실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요구사항일 수 있지만 실현가능한 최상의 건강상태를 누리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 구현을 위한 핵심적요청사항이라는 점에서 보건권의 위상을 인정하고 그의 실현을 최대한 구현할 필요가 있다. The constitutional school of Korea generally regards a right to health as a constitutional right although no provision of Korean constitution comments public health right. By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Article 36(3) of constitution which means “the health of all citizens shall be protected by the State”, we can find a normative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right to health as an entitlement or claim right to the government. In an aspect of legal nature of a right to health, most constitutional scholars accept it as a social right which might be realized by governmental policy-making. Traditional argumentation which emphasizes the incompleteness of social rights compared with liberal rights depends on a right theory distinguishes positive rights from negative rights. However, recent human right theories such as Needs Theory or Capabilities Theory negates this distinction and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guarantee of social rights for the equal protection of liberal rights. In this context, right to health should be regarded as a sort of universal human rights required to be fully realized for maintaining human dignity. Also, under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welfare state, a constitutional requirement is to establish a concrete and dynamic scheme of right to health which is a core part of wellbeing.

      • 부품의 압입조건을 반영한 후륜너클의 강도평가에 관한 해석적 연구

        박종현(Jonghyu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9 No.11

        In this study, the strength analysis method of the rear knuckle considering the press-fit condition when assembling the bush of assist link and the pillow ball joint of the lower link with the knuckle was investigated. The rear knuckle for strength analysis is an aluminum material of casting-forging process, and the stress caused by press-fit condition of parts affects stress which is occured by load condi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ress-fit stress in aluminum knuckle strength analysis. The load conditions for the strength analysis are in the case of severe two load conditions during the events of the vehicle test. The finite element models are divided into by three different finite element models of bush. By the comparison of stresses and plastic strains for thress analysis models, resonable finite element model of rear knuckle for strength analysis is suggested.

      • KCI등재

        헌법질서 내에서의 법원의 지위와 역할

        박종현(Park Jonghyun)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1

        법원의 헌법상 지위와 역할에 대한 논의는 일반적으로 헌법 제5장의 사법권, 법원의 구성 및 조직, 사법의 독립 등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분립된 삼권 중 하나이지만 상대적으로 약한 권한으로 인하여 법원에 대한 헌법적 논의는 독립 보장을 핵심으로 하는 특별한 규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법원 도 대의제 민주주의 하의 권력기관이고 법관도 공무원인 이상 법원도 국민에 책 임을 져야 하므로 독립성 논의를 넘어 다른 권력기관과 마찬가지로 그 지위와 역할을 논함에 있어서 국민주권주의, 권력분립 원리, 견제와 균형의 원리 등에 기초한 헌법원리적ㆍ정치철학적 고찰이 요구된다. 사법부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헌법적 원리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독립성의 원리와 책임성의 원리는 양 축을 구성한다. 국민들의 법적 분쟁을 어떠한 외부적 간섭 없이 법에 따라 공정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즉 법치주의의 구현을 위해서 독립성의 원리는 법원의 지위와 역할을 논의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리로 취급 되어 왔다. 하지만 법원ㆍ재판ㆍ법관의 독립으로 이해되는 독립성 원리는 그 자 체로 목적이 아닌, 법치주의 실현과 국민의 권리 보장이라는 목적에 봉사하는 원 리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목적달성의 필요 범위에서 제한이 가능하고 한계를 가 지는데, 법원의 관료화의 폐해를 막고 재판에 있어 진정한 독립을 확보하기 위해 서 재판의 과정과 결과의 공정성에 대한 외부적 평가가 필요하다. 주권자인 국민 의 의사, 그리고 그것의 반영인 헌법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은 사법부의 독립성의 진정한 의미가 아니며 결국 사법부는 민주적 책임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책임성 원리는 정치적 책임성, 판결의 책임성, 행동의 책임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이들은 비선출직으로 구성되는 사법부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사법권한의 존립근거로 사법부 독립성의 전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동시에 구현되어야 하고, 권력분립 원리가 견제와 균형의 원리 를 포섭하고 있듯이 독립성 확보와 책임성 확보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헌법원리적 고찰을 넘어 현실에 있어서도 정치의 사법화 경향 속에서 사법부에 대한 민주화 요청, 인권보호의 요청은 사법의 독립성ㆍ책임성에 대한 제고를 포섭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법원은 헌법에 근거한 사법활동을 해 야 하며 일상적 업무활동에서 끊임없이 헌법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한다. 적극적 헌법해석과 그에 근거한 법률해석은 대의제 하의 법원의 구성상의 약점을 보완 하고 보다 법체계 정합적인 판결을 가능하게 하여 사법활동의 민주적ㆍ실질적 정당성을 확보시킬 것이다. The general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position and role of judicial branch(court) mainly focuses on constitutional provisions enhancing judicial power and judicial independence because the power of the judicial branch, one of separated governmental powers, has been thought to be weaker than those of other branches. However, this exceptional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ourt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court is just one of governmental branches 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system, which emphasizes on a political accountability of each governmental power for the will of people, and therefore should be subject to the sovereignty of peopl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and checks and balances doctrine as other branches are. Thus, the principle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that of judicial accountability as well have to compose the constitutional argumentation regarding judicial branch. Although the former principle has been regarded as a ultimate goal and absolute doctrine of judicial activity because a fair trial by an equal application of law necessarily requires the realiza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it is evident that the former is just means for the genuine goals of adjudication, such as establishing rule of law and protecting basic rights of people, and might be limited for the fulfillment of the goals. The latter principle(judicial accountability) would control the former because the conception of accountability includes a bin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outside of the court, such as other branches, people and, most importantly, the constitution. To prevent the rise of bureaucracy of judicial technocrat and construct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countermajoritarian court, the principle of judicial accountability consisting of political accountability, decisional accountability and behavioral accountability should be realized in judicial branch as a prerequisite for judicial independence. Above all, court has to reflect the constitution in an ordinary adjudication and build a coherent decisional system under the constitution to meet the demands of people, which mean the democratization of judiciary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 인식조사

        박종현 ( Jonghyun Park ) 법과사회이론학회(구 법과사회이론연구회) 2021 법과 사회 Vol.0 No.66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인간의 삶의 방식에 대해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에 따라 우리 정부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2017년 설립하고 위원회를 중심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산업, 헬스케어 산업, 스마트 산업(자동차, 공장 등), 도시 건설 산업, 물류 산업, 국방 산업, 교육 산업, 핀테크 산업 등 지능정보기술과 유관한 제반 산업 분야의 주요 정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 오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정책 구상에 있어서 정책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일반 국민들의 의견 수렴이나 직접적 참여 보장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청사진으로 제시하고 있는 위원회의 근본적 목표를 고려할 때, 새로운 시대와 사회를 창조하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일반 국민이 정책결정에 관여할 수 있도록 그 의견 수렴에 위원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의 민주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이 연구에서는 법정책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기본적 인식 조사(정책 기조 및 구체적 정책들에 대한 지식 및 선호도 조사), 둘째, 관련 법정책 방향성 인식 조사(보완 사항·분야 인식 조사), 셋째, 입법(정책입안)과정에 참여 의사 조사(입법과정 민주성 인식 및 참여 의지 확인, 시민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를 비대면 인터넷 설문조사 형식으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4차 산업혁명 관련 입법과정에 대한 참여 의사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 시민들은 정책결정과정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하며 단순 참여를 넘어 결정의 주체가 되기를 희망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자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관련 지식을 많이 알수록 정책결정 과정에의 참여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정책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민 대상 홍보와 교육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법정책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 시민들은 기술개발로 인하여 개인이 접하게 되는 해악과 편익을 형량하여 법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실용주의적 입장을 취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중 법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일반 시민들은 어느 정도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현실화된 경우 비로소 법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하는 다분히 현실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일반 시민들은 헌법상 보장된 가치와 기본권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대전환의 시기에도 그 정책입안 과정에서 여전히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hyper-connected intelligence revolution triggered by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is expected to cause a fundamental change in the way of human life.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7 and has been discussing major policies related to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ata network industry, healthcare industry, smart industry, etc.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opinions of the general public have been properly reflected into this policy initiative. Considering the fundamental goal of the Committee, which present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people, it is a natural request for the Committee and the government to affirmatively guarantee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and t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policy. In this context, identify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important task. As a preliminary work to ensure democratic legitimacy of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ublic awareness of legal policies regar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rve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opics: first, a survey of basic perception on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survey on public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policy keynote and specific policies), second, a survey of an awareness on the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relevant legal policies, third, a survey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egislative pro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non-face-to-face Internet survey over 1,000 adults. First of all, through a survey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egislative proces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find ordinary citizens want the policy-making process to be democratic and to be the main body of decision-making process beyond just one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self and the more relevant knowledge, the stronger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This indicates public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o implement democratic requests for policy participation. Next, a survey of an awareness on the direction of modification of relevant legal policies shows that ordinary citizens take a pragmatic stance to determine the need for legal intervention by risk-benefit analysis. In addition, we identify ordinary citizens have widely realistic positions that they become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governmental intervention only when technology development becomes a reality and we begin to experience the benefits and risks of technology development. Furthermore, ordinary citizens stress that efforts to realize constitutional guaranteed values and basic rights should still be the founda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even during the great transi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