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메탄 활성화반응에서 산화칼슘 촉매의 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

        박종식,공장일,전종호,이성한,Park, Jong Sik,Kong, Jang Il,Jun, Jong Ho,Lee, Sung H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6

        순수한 CaO, Mn-doped CaO, Mn/CaO, K/CaO 촉매를 제조하고 이들의 메탄 활성화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을 600∼800$^{\circ}C$ 온도영역에서 실험하여 산화칼슘의 촉매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촉매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선 분말회절분석(XRD), X-선 광전자분석(XPS), 주사전자현미경분석(SEM), 시차열분석(DSC) 및 열무게분석(TG)을 실시하였다. 촉매반응은 직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단방향 흐름 반응기로서 이루어졌다. 표준반응조건은 $p(CH_4)/p(O_2)=250$ Torr/50 Torr이며 반응기체의 주입속도는 30mL/min, 그리고 He 희석기체와 함께 전체압력은 1 atm이였다. 실험한 촉매들 중에서 6.3 mol% Mn-doped CaO 촉매가 가장 우수한 $C_2$ 선택성을 보였으며 775$^{\circ}C$에서 $C_2$ 선택성과 $C_2$ 수율이 각각 43.2%와 8.0% 이었다. 적은 양의 망간을 도프한 산화칼슘 촉매들은 망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C_2$ 선택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많은 양의 망간([Mn]>6.3 mol%)을 도프한 촉매에서는 $C_2$ 선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속이온이 도프되지 않은 6 wt.% Mn/CaO와 6 wt.% K/CaO 촉매는 700$^{\circ}C$에서 각각 13.2%와 30.9%의 $C_2$ 선택성을 보여 담지효과는 Mn보다도 K가 훨씬 우수함을 보였다. CaO와 Mn-doped CaO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10^{-3}∼10^{-1}\;atm$의 산소분압 영역에서 측정한 결과 모두 p형의 전기적 특성을 보였으며 도프한 망간의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촉매표면에 생성된 틈새형 산소이온이 메탄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틈새형 사소이온의 생성을 고체화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Pure CaO, Mn-doped CaO, Mn/CaO, and K/CaO catalysts were prepared and tested as catalysts for the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 to 800$^{\circ}C$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n- and K-addi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calcium oxide. To characterize the catalysts, X-ray powder diffraction(XRD), XPS, SEM, DSC, and TG analyses were performed. The catalytic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single-pass flow reactor using on-line gas chromatography system. Normalized reaction conditions were generally $p(CH_4)/p(O_2)=250$ Torr/50 Torr, total feed flow rate=30 mL/min, and 1 atm of total pressure with He being used as diluent gas. Among the catalysts tested, 6.3 mol% Mn-doped CaO catalyst showed the best $C_2$ yield of 8.0% with a selectivity of 43.2% at 775$^{\circ}C$. The $C_2$ selectivity increased on lightly doped CaO catalysts, while decreased on heavily doped CaO([Mn] > 6.3 mol%) catalysts. 6 wt.% Mn/CaO and 6 wt.% K/CaO catalysts showed the $C_2$ selectivities of 13.2% and 30.9%, respectively, for the reaction.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aO and Mn-doped CaO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to 1000$^{\circ}C$ at Po2's of $10^{-3}\; to\;10^{-1}\;at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Mn-dop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P0_2$in the range of $10^{-3}\;to\;10^{-1}\;atm,$ indicating the specimens to be p-type semiconductor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rstitial oxygen ions formed near the surface can activate methane and the formation of interstitial oxygen ions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solid-state chemistry.

      • KCI등재

        다중 센서 어레이 신호 검증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박종식,이성수,Park, Jong-Sik,Lee, Seo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1

        최근 환경 감시용 센서장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지능형 로봇의 센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한 감지, 검출 시스템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의 물리적 상태 변화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센서의 노후화나 다양한 측정 환경으로 인하여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에 적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센서 신호 처리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동일 센서를 복수의 어레이 구조로 배치하고 사용하였다. 여러 센서의 측정된 데이터의 시간적 상관관계와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의 이상 유무 확인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랫폼 구성요소 간 통신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As sensor technology grows up in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hazards detecting system, ubiquitous sensor network, intelligent robot, the sensing and detecting system for sensor is increasing. The sensor data is measured by change of chemical and physical status. Because of decrepit sensor or various sensing environment, it is problem that sensor data is inaccurate result. So the reliability of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s a reliable sensor signal processing platform for various sensor. To improve reliability, we use same sensors in multiple array structure. As sensor data is corrected by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or measured sensor data, reliability of sensor data can be improved. The exclusive protocol between platform components is designed in order to verify sensor data and sensor state in various environment.

      • KCI등재

        칸트와 헤겔의 자아에 관한 연구 - 유식철학의 알라야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종식 ( Park Jong-sik ),김준수 ( Kim Joon-s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이 논문은 칸트의 선험적 자아와 인식과정, 헤겔의 의식의 자기전개 과정을 탐구한 후 유식철학의 자아(알라야식)와 인식과 비교하면서 자아의 지위와 역할, 목적을 비교하고자 한다. 칸트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를 통해서 대상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이전의 인식론에서 벗어나서 대상은 선험적 자아에 의해서 구성된 이차적 존재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서 선험적 자아에 의해서 구성된, 그리고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현상세계와 우리의 인식의 한계를 넘어선 사물 자체(Ding an sich)의 세계를 구분한다. 인간의 인식은 현상세계로 제한된다. 사물 자체 개념은 인간의 인식 한계를 설정할 때 필연적으로 생각되는 인식의 한계 개념에 불과하다. 그러나 칸트는 인식의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사물자체 개념을 도덕적 실천과 연관시킨다. 인식 영역과 실천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사물자체 개념은 도덕 영역을 성립시키는 근거로서 작용 한다.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정신(의식)이 우리에게 나타나는 방식을 탐구한다. 의식이 자기 자신에게 나타나는 모습을 의식 자신이 탐구하는 과정을 밝힌다. 의식이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통해서 자신의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다. 의식의 자기관계, 즉 대상화된 의식과 대상화하는 의식의 순환적 자기관계를 통해서 의식은 타자와의 관계로부터 자신에 대한 자기관계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순환적 관계를 통해 단순한 의식이 최고의 의식, 절대적 의식(절대지)으로까지 전개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칸트의 현상과 사물자체의 이원론은 극복된다. 의식이 스스로를 전개하는 과정이 곧 『정신현상학』이다. 이것은 최고의 단계에 도달한 절대의식이 의식 자신의 여정을 복기(復碁)하는 과정이다. 대상은 곧 의식 자신의 외화된 모습임이 드러나게 된다. 궁극에 이른 절대의식은 사물 자체라는 스캔들을 극복하고 절대지에 이르게 된다. 唯識哲學은 인식대상과 인식주관을 실재적 객관 대상으로서 인정하지 않고 단지 假象으로 취급한다. 우리가 실체로서 간주하고 있는 인식주체(我)와 인식대상(法)은 가상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실재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집착하기 때문에 온갖 相과 轉變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우리에게 실재하는 것으로 현상하는 모든 대상들과 그 대상들을 파악하는 우리의 意識은 모두 근원적 意識인 알라야식에 의존해서 형성된 虛像이다. 따라서 실재하는 것은 오직 근원적 의식인 알라야識뿐이다. 그러나 알라 야식 또한 절대적인 독립성을 지닌 근원적 의식이 아니라, 여러 因緣 화합에 의해서 특정한 相으로 變現되는 의식에 불과하다. 유식철학은 모든 것이 알라야식의 轉變임 통찰함으로써 현상에 집착하지 않는 지혜를 얻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간은 실재처럼 보이는 假象에 대한 욕망에서 벗어날 수 있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Ego of Kant, Hegel and Yogacara`s alaya-vijnana from the standpoint of Kant`s and Hegel`s Philosophy. Especially, we want to look in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Ego of Kant, Hegel and Yogacara. According to Kant, we need the transcendental Ego as absolute in order to unite consciousness. Kant criticizes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argued that the mataphysicians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the substance. If they regard the transcendental Ego as empirical object, this attempt will be in vain, because they want to know the unknown things. Hegel`s consciousness is properly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knowledge. We will find the field of the 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itutes our whole world and gives the meanings to the world. Yogacara argues that what our ordinary consciousness (the sixth consciousness) regards as separat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or self and the world is an imagination that alaya-vijnana, the mind more profound than the ordinary consciousness, created. Yogacara`s alaya-vijnana creates the whole objects and the consciousness(the sixth), so we must regard them as the illusionary thing. Alaya-vijnana(the store consciousness) holds the seeds of all past experience. Everything that is taken as a self and objects, this is simply changing forms of consciousness. Based on this point of view, Kant, Hegel and Yogacara wan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 limits of the ordinary consciousness, and then they want to find the absolute truth(Everything) and want to be a man of freedom.

      • KCI등재

        王陽明과 Kant의 도덕철학 비교 연구

        박종식(Park, Jong-Sik),정해왕(Jung, Hae-Wa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이 논문에서는 왕양명과 칸트의 도덕철학을 비교하고자 한다. 왕양명 철학의 핵심 명제는 心外無物로 표현된다. 반면 칸트 선험철학의 핵심은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이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는 대상 중심적 인식론으로부터 주관 중심적 인식론으로의 이행을 표현한다. 왕양명의 良知와 致良知이론은 도덕성과 도덕법칙의 선천성과 내재성을 나타낸다. 이런 측면에서 왕양명의 良知論과 칸트의 도덕철학은 주관성에 근거하고 있다는 동일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마음(心)에 근거하고 있는 이러한 두 종류의 도덕철학의 구조와 관계를 탐구할 것이다. 우리는 왕양명과 칸트의 도덕철학이 내적인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왕양명의 心外無物이라는 명제는 모든 인식이 선험적 자아에 의해서 구성된다는 칸트의 견해와 일치한다. 그러나 우리가 파악할 수 없는 사물 그 자체(물자체)는 인식론적 관점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왕양명과 칸트에 따르면 자연의 모든 사물들은 마음에 의해서 구성된다고 한다. 지금까지 왕양명과 칸트를 직접 비교한 연구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런 주제를 다루는 본 논문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은 인간관, 도덕관, 세계관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동양과 서양이 서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탐구가 동서양의 이해와 화해를 이루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maral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that of Kant. The main proposition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is expressed "There are no things without mind."(心外無物) The core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by himself. Copernican Revolution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object-centered epistemology to the subject-centered epistemology. I think the theory of "Innate Knowing"(良知) and "Perform Innate Knowing"(致良知) contains the aporiority, immanence of Moral Law. In this respect, the theory of Innate Knowing in Wang Yang-Ming and Moral Law in Kant have the same structure grounded in subjectivity. I will pursue the relation of two kinds of Moral Philosophy on this ground of Mind.(心) In this respect, I will prove that they have internal relationship. The proposition there is only mind, there is no object(心外無物) in Wang Yang-Ming is to correspond with Kant"s theory that our cognitions are constituted through Transcendental Ego. But ‘things themselves ’(Ding an sich) which we can"t comprehend through the Ego have no sense from a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So all the things of nature are constituted through the Mind(心) in Kant"s and Wang Yang-Ming"s philosophy. We have few research paper on this theme until now, so this paper on this theme which I will pursu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way we makes the East and the West understood through the comparision on the respects of human, moral and world. I want to be a bridge to reconcile with the East and the West with this pap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