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 개발

        박자경(Ja-Kyung Park),최수정(Su-jung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고용가능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고용가능성의 개념을 명확히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으로 외부 환경적 요인을 포함시켜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고용가능성 그 자체의 정의를 고용능력과 자신감으로 개념화하고 외부 환경적 요인은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이 아닌 선행요인으로 판단하였다. 고용가능성의 개념을 개인 내적 측면으로 개념화하고 고용능력과 고용자신감의 두 구인을 구성하였다. 그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구인을 측정하고자 하는 문항의 속성을 구성하고 5문항, 4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문항을 기준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직업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하는 고용가능성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외부 환경적 요인을 제외한 고용가능성의 측정과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mployability scale for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t Meister high school. To this end,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was clarifi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mployability. In previous studie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been included as a component of employability. However,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employability itself was conceptualized as employ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judged as antecedent factors rather than constituent factors of employability.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internal aspect, and two constructs, employ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confidence, were constructed. The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attributes of the items to be measured for each construct were constructed, and preliminary items of 5 and 4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were conducted for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t Meister high school. Based on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secur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for future employability-related studies targeting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employability exclud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박자경(Ja-kyung Park),배수현(Suhyun Bae),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민지식(Jisik Min),최수정(Su-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 KCI등재

        근로장애인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종진(Kim Jong-Jin),박자경(Park Ja-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장애인의 고용특성과 빈곤 실태를 파악하고 근로장애인의 빈곤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장애인 근로자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χ²,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역, 그리고 가구원 수가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특성 변수에서는 장애정도, 장애발생시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질 변수 중에서는 고용형태, 업종, 직종, 취업기간, 직장 내 지위 등이 근로장애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근로 자체만으로는 장애인들의 빈곤이 해결되지 않으며, 근로장애인의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고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들과 중증장애인들의 소득보장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lthough linkages between poverty and disability are often noted, until recently they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examined in Korea.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tend to become poorer because they lack access to jobs. And income support programs are not sufficient. But more severe is people with disabilities in labor market tend to be po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major determinants of poverty. For this, '2005 Survey on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gion where they live, the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 the severity of disability, the onset of disabi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in determining their poverty status. Als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 type, industry type, numbers of years in current job are major determinants of their poverty statu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서예린(Yelin Shu),박자경(Ja-Kyung Park),고귀영(Gwi-young Ko)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이 연구는 머신러닝의 대표적 기법 중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변인 중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7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포함하여 총 60개의 변수를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명변수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배경, 가족(자녀 및 손자녀, 부모 및 형제자매), 건강, 고용, 소득과 소비, 자산, 주관적 기대감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방법은 59개의 설명변수 중 중요도가 높은 변수들을 도출하기 위해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들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500개의나무와 13개의 분할변수를 사용한 랜덤 포레스트 분석 결과, 우울증 정도, 월평균 용돈, 주관적 계층의식, 수명 기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손자녀 수, 연령, 일자리 기대감, 개인 총자산, 지원받은 금전 총액의 10개 변수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 상위 10개 변수에 따른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분 의존성을 분석한 결과 변수별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패턴이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 상위 10개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평균 용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계층의식, 주관적 건강상태, 수명 기대감 순으로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이러한 결과는 부분 의존성 결과와는 다소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변수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살펴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뿐만 아니라 부분 의존성 분석까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이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삶과 관련한 연구가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분석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의 분석에서활용된 현재 노동 여부 외에도 고령자의 고용과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의삶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by using a random forest, one of the representative techniques of machine learning, an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7th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was used, and a total of 60 variables includ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explanatory variables were largely composed of demographic background, family (children and grandchildren, parents and siblings), health, employment, income and consumption, assets, and subjective expectations. For the analysis method, random forest was used to derive variables with high importance among 59 explanatory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andom forest analysis using 500 trees and 13 split variables showed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average monthly allowanc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hierarchy, life expectancy, subjective health, number of grandchildren, age, job expectation, personal wealth, total amount of money receiv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10 variables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al dependence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according to the top 10 variables of importance, the patterns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by each variable were very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the top 10 variables of importance, it was found that the monthly average pocket mone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hierarchy, subjective health, and life expectancy. However, these results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artial dependence results, indicating that not only regression analysis but also partial dependence analysi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lives of older adults needs to be analyzed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Second, in addition to the current working status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is needed on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of older adults. Thir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support for the lives of older adults should be provided from more diverse aspects

      • KCI등재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영흥(Young-heung Kim),서예린(Yelin Suh),박자경(Ja-Kyung Park)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력 수준이 노동시장 성과인 고용여부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패널조사 데이터의 1차, 3차, 6~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시 STATA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Mincer의 임금함수를 토대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택편의를 보정하기 위해 처치 확률가중치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월평균 가구소득 및 교육비, 부모학력, 고등학교 소재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여부에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에 학력 수준, 경력년수, 역량,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편의 보정 이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쩨, 개인의 최종 학력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남성 및 여성과 같은 개인의 성별이 노동시장 성과 중 하나인 개인의 고용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력 수준은 근로자의 임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력년수와 개인의 역량과 같은 입사 이후의 변화 가능성이 높은 요인들도 근로자의 임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education on employment status and wages, which are labor market outcom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nalysis data used the data from the 1st, 3rd, and 6th to 12th years of the 2005 panel survey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Mincer's wage func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A 17.0 program, and treatment probability weighting techniques were used to correct for selection bia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major influence on determining an individual's final level of education. Second, rather than the level of education, gender, such as male and female, affects whether an individual is employed, which is one of the labor market outcomes. Third,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major impact on the wages of workers, and this wage premium effect still exists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selection bias according to the parents'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which affects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Fourth, factors that are highly likely to change after joining the company, such as years of experience and individual competency, also have a major impact on workers' wages. Based on these conclusions,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세연(Se-Yun Kim),구인순(In-Soon Ku),박자경(Ja-Ky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을 알아보고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고용확대 및 직업유지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과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제 2차, 3차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차 조사 시점에서 고용상태에 있는 여성장애인이 3차 조사 시점에서도 고용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용현황을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보다 저임금(p<.001)과 비정규직(p<.001)의 비율이 높은 고용특성을 보였다. 반면 직무조정(p<.05)과 근무시간 조정(p<.001)에 대한 배려경험은 남성장애인보다 많았지만, 배려받지 못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직무만족도는 취업의 안정성 항목에서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p<.05), 임금수준(p<.05), 직무조정 배려 여부(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임금수준, 직무 조정은 여성장애인이 직업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여성장애인의 고용관련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d the third PSED are used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We analysed whether women with disability who were employed in the second PSED maintain employment in the third PSED.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with disabilities had lower wages(p<.001) and higher non-regular work(p<.001) than men with disabilities. Also,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more consideration of job(p<.05) and working time(p<.001) than men with disabilities. The job stability among job satisfactions of women with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men with disabilit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health status(p<.05), wages(p<.05), consideration of job(p<.05).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health status, wages, consideration of job were needed to consider when establishing employment policy for wom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성화.마이스터고졸 초기경력자의 후진학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진모(Jin-mo Kim),최수정(Su-jung Choi),김영흥(Young-heung Kim),박자경(Ja-kyung Park),정지용(Ji-yong Jeo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이 연구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졸 초기경력자의 후진학 참여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들여다봄으로써 후진학 참여 과정과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자 중 재직경력 7년 미만의 초기경력자로 후진학 유형, 기업규모 및 직무분야를 고려하여 총 9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24개의 주제, 11개의 주제 묶음 및 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시사점은 첫째, 초기경력자의 후진학 참여 동기는 대체로 고등학교 재학 중에 소속학교의 홍보와 담임교사의 추천으로 생기게 되며, 기업에 재직 중 대학 학력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면서 생기게 되는데, 후진학 참여 및 접근성에 지역별 편차가 존재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기경력자의 소속 기관에서 등록금 지원, 수업 참여를 보장하는 등의 우호적인 경우가 있을 시 보다 효과적으로 후진학 제도에 참여할 수 있으며, 후진학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근무시간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후진학에 대한 조직의 지원이 미흡한 경우엔 참여에 어려움을 느낀다. 셋째, 초기경력자는 후진학 제도에 참여한 이후 대체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나, 후진학 유형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내용 및 방법을 포함한 교육과정이 담당 직무와 관련성이 적은 경우가 많아 후진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및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초기경력자는 후진학 제도에 참여함으로써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등의 수행능력 향상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관련 자격과 대학 학위취득을 통해서 개인의 경력을 개발하여 더 나은 직장으로의 이직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후진학 성과를 제도화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early career employees’ participation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those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 with early career experience of less than 7 yea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se subjects, and 29 themes, 12 theme groups, and 5 categories were derived.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First,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of early careers are generally generated by the promo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eacher while in high school, and comes from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college education while working at a company. There are regional variations,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m. Second, if there are favorable cases such as support for tuition fees and guarantees of participation in classes at the affiliated institution of the early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articipate i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If the organization s support for Work First-then to College is insufficient, such as not being done,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Third, after participating i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early career experienced people generally have higher satisfac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r program of Work First-then to College,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is often less related to the job in charge. It needs improvement and effort. Fourth, early careers may experience improvement in performance, such as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work site by participating i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but generally develop their personal career through the acquisition of related qualifications and university degrees, leading to a better workplace.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최수정(Su-jung Choi),김진모(Jin-Mo Kim),김영흥(Young-heung Kim),박자경(Ja-kyung Park),박주원(Ju-won Park)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일어나게 되는 여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비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목표 및 과제를 설정하고 학계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등직업교육의 발전 비전은 ‘지속가능하고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한 중등직업교육’으로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둘째, 이에 따른 전략 목표로는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한 학교, 학생 중심의 스마트 수업,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지원, 포용적 교육생태계,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환경으로 구성하였다. 각 전략목표에 대해서 델파이 조사 결과 일부 전략을 제외하고는 모두 타당한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고 미흡한 문항은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언으로는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방향으로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타당화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검토하여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결과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방안과 사업이 마련되어야 하고,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발전방향의 탐색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ew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o cope with the various changes that will occur after COVID19.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strategic goals and tasks to realize it were set,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academic and field experts to verify the validit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pinions were gathered that the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was generally valid as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at can be operated sustainable and flexibly’. Second, the strategic objectives were composed of flexible schools responding to change, student-centered smart classes, employment support for decent jobs, an inclusive educational ecosystem, and a safe and happy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for each strategic goal, opinions were collected as all valid except for some strategies, and insufficient questions were revised and presented.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research methods to validat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a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carry out follow-up research, and a specific plan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