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작권법상 공중의 개념에 관한 소고-기존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겸하여-

        박인회 ( Park In-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외법논집 Vol.33 No.3

        Recently the definition of the public in the copyright law has been provided. The term of 'the public' in the copyright law is used in the connections of many separate copyrights, for example, the right of publication,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etc. In general, the concept of 'the public' is shaping the separate copyrights and limiting the range of the separate copyrights as well. Introduc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public' can be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has brought a settlement of the long argument in the literature. It has, however, brought another issues, and such definition itself has a logical fault. Even before the provision was made, a number of courts' decisions had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public as very similar way as newly defined in the copyright law. Furthermore, the present definition may be conflicted with other provisions, like the provision of exception of private copy. In the US the decision of the public is the matter of 'public place' while in Germany the relation of each member of multitude matters. If defining of the public is not necessary, the provision of the definition should be removed as before. Otherwise, the provision of definition should provide some standards of decision, which can be 'public place', 'relation of each member of multitude'.

      • KCI등재

        저작인격권의 비판적 고찰

        박인회(Park, In Hoi)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2

        작인격권은 저작재산권과 함께 저작권의 내용을 이루는 중요한 권리이다. 저작재산권에 관한 규정은 과학기술의 발달, 이용형태의 변경 등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지만, 이에 비하여 저작인격권 규정은 전면개정된 이래 큰 변화 없이 그 모습을 유지해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저작인격권 규정을 이용하여 재산적 이익을 보호하려는 경향이 나타나서 사회 곳곳에서 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저작인격권 규정이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는 크게 세가지 정도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저작자 일신에 전속한다는 제14조 제1항 규정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 의미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포기할 수 있는지 여부, 이에 대한 위임이 가능한지 여부가 모두 학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일신 전속성에 대한 막연한 규정 외에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작인격권의 존속기간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저작재산권의 존속기간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만 저작인격권에 대한 규정은 존재하지 않아서 이를 해석을 통하여 밝혀야 하는데 해석상 업무상저작물의 경우 영구히 그 권리가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저작인격권의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일성유지권이 다른 어떠한 입법례보다 강하게 보호되고 있어서 이를 악용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현행 법 규정의 해석으로는 이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동일성유지권 행사의 조건을 규정할 필요가 있고, 그 기준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은 베른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저작자의 명예나 명성을 훼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어찌 보면 오래 방치되었다고 볼 수 있는 저작인격권 규정들을 지금이라도 디지털 시대에 적합하게 개정하는 것은 저작권법의 목적인 문화 및 관련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이고, 저작인격권을 일종의 저작재산권처럼 사용하는 현재의 관행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법이다. Moral rights are an important right that constitute the content of copyrights together with author"s economic rights. While the regulations on author"s economic rights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use form, the moral rights regulations have been maintained without major changes since the whole revision.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rotect property interests by using these moral rights regulations, and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various parts of society. The problem that the moral rights regulation currently ha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First, the meaning of the provision of Article 14 (1) is unclear. Since this meaning is not clea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octrine must determine whether or not it can be abandoned and whether it can be delega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specify specific legislation rather than vague regulations. Second, there is no rule for the duration of moral rights. Although the duration of author"s economic rights is clearly defined, there is no provision for moral rights, which must be clarified through interpret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regulations on the duration of moral rights. 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ght to maintain the identity is protected more strongly than any other legisl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it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law regul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the condition of exercising the right to the integrity an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onor or reputation of the author" which is specified in the Berne Convention. It is a necessary work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which is the purpose of the copyright law, to revise the moral rights regulations, which have been abandoned.

      • KCI등재

        저작인격권의 일신 전속성에 관한 소고

        박인회 ( Park In-hoi ),이봉림 ( Lee Bong-r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외법논집 Vol.30 No.-

        The copyright law of Korea is ruling that the moral rights are inalienable in article 14, clause 1. That rule is common among many countries' law, and the courts and scholars of Korea take it as granted. That rule, however, has conflicts with article 9, which rules about employed authors. Unless we think the moral rights are alienable, we can't explain the exact meaning of article 9. Each rights which belong to the moral rights are the similar conflicts with article 14, clause 1. For example, the right of making public in article 11 of legal entity can't exist unless moral rights are alienable. To explain the copyright law of Korea in harmonious way, we need to doubt the inalienability of moral rights. If needed, we should make some exceptions to the inalienability of moral rights. There already have been some questioning of whether the moral rights are inalienable, and some countries made some exceptions to the inalienability of moral rights. From now, we need to study the inalienability of moral rights with open mind to keep the copyright law pace with real world and to accomplish the goal of copyright law.

      • 생명공학과 Open Source Model

        박인회(In-Hoi PARK)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2

        Open source software is s software distributed with its original source code, anyone can modify it, and redistribute it without the permission of original author. The research of big biotechnology projects with public funds, like Human Genome Project or International Hapmap project, needs to be shared publicly without any limitation. To make sure this purpose, they adopted the open source model. This share of research result, however, make it possible for some people or some commercial entity to acquire so-called “parasitic patent”. Because the software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 and most of biotechnology researches are protected by patent law, some mismatches are unavoidable. But, open source model is still useful to some points, people want to adopt it. To avoid the parasitic patent, new approaches of open source model(The Equitable Access License, CAMBIA License, etc.) were made, and are being tested about their effectiveness. We should bear in mind that intellectual property law is not only for authors or inventors, but also for society and community.

      • KCI등재

        증강현실에서의 상표권 침해

        박인회(Park In Hoi)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叢 Vol.25 No.2

        증강현실이란 헤드셋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비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와 콘텐츠를 실제 세계에 겹쳐서 표시하는 것이다. 증강현실의 경우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새로운 디지털 객체들을 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을 보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증강현실은 실제의 환경에 일정한 정도의 디지털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디지털 정보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면 일정정도의 상호호환성을 갖게 된다. 현실에서의 특정 사물이나 위치정보 등을 통하여 증강현실 디스플레이에 특정 디지털 정보를 표시할 때 이 디지털 정보에 상표가 포함되어 나타난다면 이는 우리 상표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현실에서는 해당 상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증강현실에서만 해당 상표를 표시한다면 이는 상표가 취소되지 않기 위해서 요구되는 3년 이내에 국내에서의 상표의 사용에는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증강현실에서 인식되는 특정 상표의 상품에 반응하여 경쟁사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행위는 다른 법적 요건의 판단 이전에 우선 해당 등록상표의 인식 이외의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실제 세상에 비치는 화면은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아니라는 점에서 현행 상표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타인의 등록상표나 등록상표가 포함되어 있는 광고를 지우거나 흐릿하게 처리하는 행위는 부정경쟁방지법에서 규율하고 있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 상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 정의 규정에 비추어 판단할 때 타인의 등록상표 자체가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없어서 이 역시 상표의 사용이라고 보기 어렵다. 앞서 살펴본 두 가지 경우 모두 상표의 사용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등록상표의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는 것 역시 어렵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가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 면책규정의 적용을 받아서 상표권 침해책임으로부터 면제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이 책임에서 면책되기 위해서는 면책규정에 해당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표법상에는 면책규정이 없고 저작권법에 규정된 면책규정의 적용을 받으려면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일 유형에 해당하고, 그 유형에 요구되는 면책요건들을 모두 만족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해석하기는 어렵다. An augmented reality is the display of digital images and contents over the real world through electronic devices such as headsets and smartphones. In case of augmented reality, because it is made by adding new digital objects to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it functions to supplement reality. Because augmented reality adds a certain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to the actual environment, if the digit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it will have some degree of interoperability. When a specific digit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ugmented reality display through a specific object or location information in reality, if the digital information includes a trademark, it can be regarded as the use of the trademark defined in the trademark law. However, in reality, if the trademark is displayed only in the augmented reality, not in the real world at all, it will be considered that the trademark has not used in the country within three years required to avoid the cancellation of the trademark. The act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competitor s product in response to a specific branded product recogniz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that there is no use other than recognition of the registered trademark before judgment of other legal requirement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creen by using the trademark defined in the current trademark law because it is no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line. In addition, the act of erasing or blurring the advertisements containing registered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marks of others may be regarded as an unfair competition act regulated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use of the trademark is also possible because it can not be seen that the registered trademark itself of another person is used. In both cases, the use of the trademark is not acknowledged, and consequently it can not be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trademark infringement of the registered trademark. In order to be exempted from this responsibility, whether or not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 can be exempted from trademark infringement liability by applying the online service provider exemption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pyright Act, it must be excluded from the liability, In order to be covered by the exemption regulatio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 must be a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 and satisfy all the immunity requirements required for that type of service.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e legal regulations so as to be able to compose various social phenomena including augmented reality, and to establish legal theories about them.

      • KCI등재

        가상현실/증강현실과 관련된 저작권법적 문제

        박인회(Park, In Hoi)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연구 Vol.59 No.3

        정보통신기술과 컴퓨터 관련기술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보다 현실적이게 되었고, 이러한 현실감은 이 기술의 사용자수를 급속하게 늘릴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이 저작물의 이용형태를 혁명적으로 바꾼 것처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또다시 이전에 생각하지 못한 방식으로 저작물의 이용형태를 바꿀 수 있다. 가상현실이란 인공적인 환경(artificial environment) 하에서 가상의 존재(simulated presense)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대화형 컴퓨터시스템을 말하지만, 증강현실이란 헤드셋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비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와 콘텐츠를 실제 세계에 겹쳐서 표시하는 것이다. 증강현실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장소가 특정되기 때문에 증강현실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의 경우에는 준거법 결정에 있어서 일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가상현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준거법으로는 일반 인터넷상 저작권 침해의 경우와 유사하게 파악하여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저작물을 수신한 이용자가 있는 국가의 법, 즉 수신국법을 준거법으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설상 공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장소의 공개성과 모인 사람 간의 상호연관관계이다. 문제는 이 두 가지 기준 모두 가상현실에서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장소’라는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공중의 판단기준으로 ‘사람들의 직․간접적인 상호 연관관계’라고 그 기준을 넓힐 필요가 있다. 가상현실/증강현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시적 저장에 대하여,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진 이후에 필요하다면 적절한 정당화 규정을 신설하고 그 때까지는 일시적 저장을 무조건 복제행위로 볼 것이 아니라 복제권 침해가 문제될 수 있는 것만을 복제행위로 보고, 일단 복제행위로 평가된 행위가 복제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는 일단 제35조의3 공정이용 조항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이 저작권법에 근거한 책임이 아니라, 민법상의 공동불법행위 책임인 이상, 민법 제760조의 요건을 만족한다면 가상현실/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 역시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져야 하지만, 저작권법에서 규정하고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면책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 현행 저작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 중 어느 한 유형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면책받을 수 없다. 그러나 면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면책을 위해서는 엄격한 요건을 요구하지만 저작권 침해뿐만 아니라 상표권 침해나 더 나아가 가상현실/증강현실 서비스제공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면책유형을 신설하는 것도 검토해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외에도 가상현실/증강현실 상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행위가 저작권법상 의미를 갖는 특정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가상현실/증강현실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술이 갖는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아날로그 저작물에서부터 디지털 저작물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행위개념(복제, 공연 등)에 대해서 이번 기회에 그 개념의 기초에서부터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computer related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become more realistic, and this reality will rapidly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of this technology. Just a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revolutionized the way a work is use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an again change the way a work is used in ways not previously thought. Virtual Reality is an interactive computer system in which an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is made in an artificial and virtual environment, and a user’s motion is detected for this purpose. On the other hand, Augmented Reality means that a specific digital image or information is added to or overlapped with existing real reality by us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headset or smart phone. Since the place where an augmented reality device is used is specified, in the case of copyright infringement occurring in augmented reality, it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case of copyright infringement for a general work in determining the governing law. In the case of copyright infringement, it is appropriate to adopt the law of the country where the user who received the copyrighted work as the governing law. The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publicity is theoretical is the publicity of the place and the relation of the people who are gathered. The problem is that both of these criteria are difficult to apply in virtual rea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place’ first, and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criterion as ‘direct and indirect mutual relation of people’ as the criteria of publicity judgment. In the case of temporary storage frequently occurring in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after sufficient discussion has been mad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ppropriate justification provision, and until then temporary storage should not be regarded as unconditional copying activity, It is desirable to solve the problem of duplication right by the Article 35(3) fair use clause. Because the responsibility of the online service provider is not th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copyright law but the common illegal act in civil law, the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 should also be liable to joint tort liability if i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Civil Law Article 760. It can not be exclud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e whether it can be covered by the online service provider’s immunity regulations for any of the type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that the current copyright law provides. However, if it is deemed necessary for immunity, it would be worthwhile to consider establishing a generic immunity type that can be applied to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copyright infringement, as well as trademark infringemen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not only to understand the technologies used in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an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echnologies in order to judge whether a large number of behaviors on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correspond to specific behaviors with the meaning of copyright law, but also to discuss the concept of conduct (cloning, performance, etc.) used from analog works to digital works.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의 저작권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박인회 ( In Hoi Park ) 한국법정책학회 2012 법과 정책연구 Vol.12 No.2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우리가 체감하는 것보다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현실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정의 가능한 하나의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아니라 각자가 개별적으로 발전시킨 다양한 기술을 통칭하여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부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논의의 전제로 삼을 만큼 명확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선 기업적 차원에서는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과 분산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산자원을 거의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이용자 측면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지칭한다고 개략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관련하여 이용자 측면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에 대하여 정리하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는 저작권법상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해당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침해행위에 대하여 방조행위가 존재하였다고 판단되면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지게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제공자가 저작권법 제102조상의 책임 면제 요건을 충족하였다면 그 책임이 면제되고 이러한 책임 면제는 형벌규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에 관한 기존논의는 그 서비스 이용자를 일종의 최종 소비자로 전제한 것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는 2차적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로서 그 책임을 져야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는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개별 저작권 침해와 관련하여 복제권 침해 여부에 대하여, 우선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경우에 이용자 자신의 복제는 복제에 해당하지만 사적복제 조항에 의하여 정당화될 가능성이 크지만,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는 복제에 해당하고, 비록 서비스 이용자의 특정 행위를 매개로 복제가 이루어지더라도 스스로 복제행위자로 인정되어 사적복제 조항에 정당화될 가능성이 많지 않아 보인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설비 등을 제공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같은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신호 변환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시적 저장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짧은 순간동안 RAM이나 하드디스크에 순간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고정``으로 보지 않을 수 있도 있다. 고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면 지적재산권 제한 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복제권 침해로 인정되지 않게 된다. 전송권 등의 침해여부와 관련하여 공중의 정의규정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권리 규정 및 저작재산권 제한의 해석에 있어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공중의 개념뿐만 아니라, 전송행위자의 주체를 서비스 제공자로 보는 현재 법원의 견해에 따르면, 미국 Apple사에서 제공하는 iTunes Match서비스 역시 전송권을 침해한다고 판단될 것이다. 보다 명확하게 분명한 분쟁 해결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건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복제나 전송과 같은 기본 개념을 분명히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Cloud computing service is being used more than we think. There is, however, no simple definition, we have to make a temporary definition to progress the legal discussion about it. In the enterprise level, cloud computing service is the service which provide the enterprises with the almost unlimited computing power on-demand based on the hardware virtualization technique and the distributed processing technique. In the consumer level, cloud computing service is the service which make it possible to use her content with various device in anytime, in anywhere. In relat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online service provider,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 can be included in the online service provider and if all requirements are met, it can be immune from criminal liability as well as the respon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enterprise level,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 can be perceived as online service provider of online service provider, its status is not clear as a secondary online service provider. First of all, as to the infringement of separate rights of copyright, the copy of the user of cloud storage service can be concluded as a copy in terms of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reproduction, but it can be exempted from liability as a private copy exception. the copy of cloud storage service provider may be concluded as a copy in terms of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reproduction, and it cannot be exempted from liability because it might not be judged as a private copy exception. As above mentioned, the responsibility of the cloud computing servide provider as a secondary online service provider is unclear. It can cause controversy, but it can be said generally that saving at RAM of hard disk driver in very short time might not be a fixation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copyright, if so, it does not infringe the right of reproduction. As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transmission etc., the definition of the public has contradiction per se, and can cause problems in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separate rights and limitation of copyright as well as in case of cloud computing service. Current view of the court in which service provider itself, not service user, could be the performer of transmission make it illegal the iTunes match service of Apple. As the scale of cloud computing service industry grows, the number of copyright disputes would be grow as well. To prepare the future, we should not only solve the specific cases, but also clarify the basic concept like reproduction or the public.

      • KCI등재

        저작권법상 일시적 복제에 관한 소고 - 한미 FTA 합의문을 중심으로 -

        박인회 ( Park In-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외법논집 Vol.34 No.1

        Discussions about temporary copy have mainly focused on the temporary copy on the RAM(random access memory). Copyright law demands two requirements to be copy; to be tangible material and to fix. Many scholars have said that the temporary copy on the RAM cannot be copy because there is no fixation, the temporary copy, therefore, is not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With the progress of technology, the distintion between save on the RAM and save on the hard disk became vague and needless. For example, some parts of the hard disk can be used as swap memory, which is just extension of physical memory and do the same function as physical memory. Furthermore Korea-USA FTA demand that temporary copy should be considered as "copy" as the USA have always demanded to FTA-partnership country. Thus the necessity of re-examine the definition of temporary copy and it boundary has taken place. Actually, many scholars in the USA have been argued about the MAI decision which stated that the temporary copy could be included in copy. If the temporary copy is defined as the act of saving works in the manners that after substantial time, the original works would be deleted or cannot be restored as it were, many technologies like caching, copies in the transmissions and streaming can be included in the new definition of the temporary copy. After the ratification of assembly, if we revise the copyright act simply so as to include the temporary copy in copy, the revision can make more profound problems. First of all, current copyright act doesn't have sufficient provisions that can be applied to re-defined temporary copy. For example, proxy server cannot be free from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because there is no provision that immunize its responsibility. Secondly, the provisions about the new definition of the temporary copy is scattered without any system in the copyright law, this can make the copyright ac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badly organized. Thirdly, the balance between the right-holder and the user can be seriously tipped to compare with the copyright of foreign country. Many other countries have the provisions about exemption of the temporary copy under special conditions. Without those provisions,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would be substantially restricted. It is necessary, therefore, that new immunization provisions and the new standard about the temporary copy should be made. The new provisions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full consideration of existing provisions such as private copy exception, Korea-USA FTA, open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chnology and three step test of Berne convention. We should keep it in mind that the absence of the new provison, or even lack of consideration could bring lots of lawsuit and confusion.

      • KCI등재후보

        온라인게임 퍼블리싱계약과 관련된 저작권적 문제에 관한 연구

        박인회 ( In Hoi Park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13 과학기술법연구 Vol.19 No.1

        퍼블리셔란 사전적으로는 출판업자나 공표자 등을 의미하지만 현재는 영화나 음악 등의 배급사를 의미하는 단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게임 퍼블리싱계약이란 게임물에 대한 지적재산권자와 퍼블리셔가 게임 퍼블리싱을 목적으로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이러한 계약의 기본적인 형태로 게임 제작사는 기본적으로 해당 게임의 공동개발주체로서 이러한 게임을 개발하고, 퍼블리셔는 해당 게임을 서비스하는 것에 대한 여러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퍼블리싱계약의 경우 게임의 개발 정도에 따라 개발자와 퍼블리셔 간의 역할 분담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수성에서 작가-출판사라는 일반적 관계와는 다른 저작권적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공동저작물 성립 여부에서 전통적인 저작자-출판·배급사의 분업관계와는 달리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은 협업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 특성을 달리하게 된다.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에서는 창작과 배급이라는 정적이고 이분법적인 이론 구성을 지양하고, 협업이라는 동적이면서 구체적인 이론 구성이 중요하게 된다. 이렇게 이론 구성을 함에 있어서 기존의 ‘공동저작자’ 혹은 ‘공동저작물’ 이론은 중요성을 갖게 되고 이의 요건인 ‘공동 창작’, ‘공동 창작의 의사’, ‘기여부분의 분리 이용 가능성’ 역시 중요성을 갖게 된다. 새로 도입된 배타적발행권 제도는 아직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충분한 논의나 판례의 축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 역시 배타적발행권으로 볼 여지가 없지 않다. 이는 기본적으로 사안마다 계약의 해석을 통하여 그 계약의 본질을 밝혀야 하는 문제이지만, 기존에 이루어졌던 논의를 단순하게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에 대입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 계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온라인 게임 퍼블리싱에 있어서 보통 게임 자체에 대한 데이터는 게임 제작자가 관리하고, 마케팅이나 결제, 회원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게임 퍼블리셔가 관리하기 때문에 각각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권리를 갖게 된다고 볼 수 있으나 사안에 따라 구체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게임 퍼블리싱 계약은 기존의 창작자와 배급자라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벗어나 그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이를 사안별로 파악해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것은 장래 다양하게 발생할 저작권 계약을 분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A publisher can be defined as a entity who takes a role to distribute copyright works such as movie or music. Game publishing contract means a contract between game producer and game publisher for the purpose of the game publishing. Game Game publishing contracts generally have a frame that a game producer takes a duty to develop the game to a certain degree and a game publisher takes a duty to service the game to the public and to roll out marketing campaigns. Because that these kinds of contracts need collaboration between both parties, these are different from typical contract relating to copyright works. In judging whether results from these kind of collaboration are joint works or not, Game publishing contracts have a main difference from the general cooperation because the collaboration has a large spectrum due to the contract. We, therefore, should reexamine and redefine the classic requirements for joint works such as ``joint creation``, ``a intention of joint creation`` and ``possibility of separate utilization``. The right of exclusive publication which is newly adopted in our copyright act, can be applied to game publishing contracts. Because the right make an exclusive right, the interpretation of game publishing contracts as contracts about the exclusive publication should be cautious b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ight of exclusive publication to game publishing contracts make clear the nature of game publishing contracts. Generally game producers maintain data about game itself and game publisher maintain data about payment or member`s information. Of cause each has a right to their own database, but the right ownership should not be judged simply because of the nature of collaboration. Game publishing contracts are new kinds of contracts beyond classic dichotomy between producer and distributor. To analyse and classify these game publishing contrac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a standard of various copyright contract of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