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Reading culture” refers to the society`s general shared awareness and value system manifested in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categories(literary works, publishing, reading activities, communicative reading, the textual change, textual canonization, and etc.) In reading culture, there is a visible and an invisible level. While the regulations related to reading, normative value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could be considered as the 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visible elements of the reading culture includes consciousness for reading, resistive values in reading, digital media space, and null curriculum related reading and etc. When the cultural studies have appeared as the practice-centered humanities research,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effects of criticism on the reading culture diverged as well. As the reading demand for non-literary texts is increasing while the reading tends to be consumed more widely in our daily lives, the barrier between digital content and reading is collapsing. Traditionally criticism has affected reading. It has strengthened the expertise of the reading activities, seeks the text-centered absoluteness and have apprentice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readers. However, in the Post-modern era, the role of criticism has been transformed. The literary criticism functions in helping the merge and transfer of knowledge, opens the mutual contextual space to the readers and builds the communicative overtures between the critics and the readers. Currently in order to develop the reading culture in Korea, it faces a few questions. First, the researches examine the cultural hegemony in the reading cultural space and the reading criticism would be requir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mediums must be changed in the future-oriented and complementary direction. Third, how reading has been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education would have to be improved. Fourth,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to diagnose and seek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various reading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utilized. Firth, the reading community of various incidences has to be specifically formed. In order for the reading culture and criticism to develop with desirable reciprocity, a number of efforts would be needed. First the reading criticism based on reading expertise must be institutionalized. Second, the field of book review and meta-criticism are necessary.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criticism and the readers must be newly established. Fourth,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regarding the reading culture infrastructure must be prepared. Firth, the social issues internalizing the values of reading should be consistently shared by our society. Lastly, the reading in school would have to surpass the genre of reading, seeking the thesis-centered reading.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연구의 교육적 기획과 접근

        박인기(Park In Ge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3 기전문화연구 Vol.29-30 No.-

        문화 연구는 교육과 불가분의 관련을 가진다. 문화는 교육의 중심 내용으로 인정되어 왔다. 문화는 학생을 이해하는 중요한 전경(前景) 또는 배경으로 작용한다. 삶과 의식의 토양 위에서 인간과 교육을 볼 수 있는 통로를 문화가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교육대학교의 역할 정체성에 맞추어서 새롭게 조명해 보자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문화를 학문으로 연구하는 문화인류학 이 20세기 중심 학문으로 자리 잡은 이래 문화를 보는 이론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문화생태학, 문화 해석학, 문화 기호론 그리고 현상학적 인류학 등의 관점은 문화 연구의 방법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20세기 이후 문화연구(cultural study)는 인문학적, 사회학적 맥락을 확대해 왔다. 따라서 문화연구는 학제적(學際的) 속성을 띠지 않을 수 없다. 문화연구는 비평적 창의(創意)를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 특히 역사, 철학, 사회학, 민속학, 언어학 문학 등이 학제적 연관을 강하게 가진다. 문화 연구는 그 결과가 바로 교육의 기획과 내용에 연계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문화 현상의 맥락에 교육이 위치하고 교육 현상의 맥락에 문화가 놓여 있다. 이들 양자의 상호 작용이 이전에 비해서 훨씬 더 다양하고 밀도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교육에서 문화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1) 문화의 교육적 기능 : 삶의 텍스트로서 문화/교육 텍스트로서의 문화 2) 문화적 리터러시(cultural literacy)의 중요성 3) 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그 내용 구체화 4) 다원적 가치 현상 속에서 주체 기르기 5) 문화 이해를 통한 타자 이해 기전문화연구소의 연구 발전 전략 또한 이러한 문화 개념의 확장 및 역동성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연구 발전 방향 및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교육과 문화의 상호성을 극대화하는 문화 연구 기획 둘째, 기존 연구의 해석학적 조명과 재개념화 노력 셋째, 일상적 삶을 문화 연구의 대상으로 삼기 전략 넷째, 문화 활용을 위한 기능적 연구 시도 다섯째, 문화 활용에 대한 비판적 연구 시도 여섯째, 연구 자료의 다양화 노력 일곱째, 연구 방법의 개방화 노력 The cultural study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education. The culture has been traditionally recognized as content of education. Culture works a kind of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in understanding the student. Because the cultural phenomena imply the channels to see through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human and educatio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it clear that how cultural study is performed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ts identity. Since anthropology occurred as a regime of scholarship in the 20th century, many a theories of culture have been developed. Various kinds of methodology of cultural study have derived from cultural ecology, cultural hermeneutics, cultural semiology, and phenomenal anthropology. The cultural study has enlarged its context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for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cultural study has an high level of interdisciplinary attribute containing the creativity of criticism, for example,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folklore, linguistics, and literature. The cultural study has a significanc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s results relate to the educational planning directly. The cultural phenomena and the educational phenomena interact dynamically. In this point of view the culture has much significance as followings. 1) Educational function of culture has enlarged : the culture as text of life and education 2) The importance of cultural literacy 3)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its specify 4) Raising the children as subjective human being in the plural value system 5)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the cultural education The Institute For Kyeongki Cultural Stud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nlargement of concept of cultural study for its successful development. There are some effective strategies to development the Institute as followings. 1) The planning of cultural study that encourage the mutuality between the culture and the education. 2) The endeavor to reconceptualize and illuminate the established cultural study by the elder researchers in post-modern surroundings. 3) The strategy to establish an object of cultural study as the ordinary and daily life. 4) The enforcement of the study about the practical use of cultural contents. 5) The enforcement of the critical study about the practical use of cultural contents. 6)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terials of critical study. 7) The pursuit of open methodology of critical study.

      • KCI등재

        독서정책의 방향과 과제 -독서의 사회,문화적 작용과 정책화

        박인기 ( Park In Gee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1

        독서는 한 사회의 지식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바탕이기 때문에, 독서진흥 을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 삼는 것은 당연하다. 독서정책은 독서현상의 문제 를 발견하는 데서 시작되어 독서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독서정책을 기획, 집행, 평가하는 과정에서 독서가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주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독서정책은 국민의 경제, 복지, 보건 등을 다루는 정책에 비해서 정책으로서의 성격이 명료하게 부각되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 정책을 추진하는 프레임도 강력하지 못하고, 정책을 구성하는 내용의 밀도도 약하다. 독서정책은 정책 목표와 정책 수단이 일관하는 국민독서진흥정책이 대표 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 정책은 명분만 강조되고 정책의 실질적 수단들이 부실하였다. 독서는 다른 어떤 정책 목표의 정책 수단으로서 역할 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앞으로는 이런 독서 기능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정 책, 문화정책, 복지정책 등의 정책 수단으로서 독서의 기능과 작용이 더욱 증대될 것이기 때문이다. 독서정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사회적으로 문화 적으로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그것의 활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독서와 다른 정책들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을 분석하여 독서정책이 다른 정책들과 높은 상호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급하게 변해가는 독자환경에 대한 통찰과 그것의 정책 반영이 요청된다. 국가 교육과정의 총론에 독서의 중요성을 천명하고, 대중문화의 각 영역,특히 미래 엔터테인먼트 여가사회에 독서 가치를 조화롭게 발전시켜야 하 며, 복합문식성(multi literacy) 환경에서 살아가는 독자를 위한 미래지향의 독서정책이 지금부터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고전독서를 현대 대중들에게 현대적 생태에서 수용하게 하는 독서문화를 조성하는 것도 독서정책의 과제 이다. Reading is the base of the society to develop its knowledge and culture, so it is natural to take reading promotion as a national policy. The reading policy starts from finding a problem of reading phenomenon to improve such. It is necessary to have efforts to have attention to how reading is effecting in socio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reading policy. The reading policy has a weakness that cannot be clearly stands out as a policy compare to other policies of economy, welfare, and health. The frame to promote the policy is not strong enough, and the density of contents that constructs the policy is weak, too. For the reading policy, a national reading promotion policy that has a consistent policy target and policy measures is the representative one. However, in case of Korea, this policy only emphasizes the cause, but had weak realistic measures. Generally reading is playing a role as a means of policy of the other certain policy target, but in the future, this function of reading should gain attention. This is because the function and effect of reading as a means of policies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will gradually increase. To establish more effective reading policy, the study of how reading could socially and culturally have effect on and such usage should be strengthened. Moreover,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other policies should be analyzed to allow the reading policy to have superior reciprocity compare to others. Also, discernment on rapidly changing reader environments and its policy reflection are required. In general n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reading should be clarified, each area of public culture, especially the value of reading in the future entertainment leisure society, needs to be harmonically developed, and preparation of future-oriented reading policy for readers who live in the multi literacy environment is necessary. Furthermore, creating the reading culture that allows the modern public to accept a classical reading in the modernized environment is another task of the reading policy.

      • KCI등재

        문화교육의 뿌리와 줄기 : 문학교육학의 이론 생성 토양 가꾸기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8 No.-

        Theorizing efforts required for completing literature education as one literary field have been lacking. It is because they were under a very heavy and strong influence of literature theories and also epistemology which escapes from traditional curriculum which identifies literature subjects as a scholarship is yet to be developed. It is safe to say that literature education has formed its identity on a practical level rather than on a theoretical level. The following efforts to develop a system of theories with an identity would be needed for literature education. First, efforts to seek philosophi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establish the philosophies as a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have been in shortage. In this respect, there is a need for examining achievements of existing educationall philosophy from a perspective of a win-win between academic fields. The philosophies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must meet universal topics in life and reality and demands of the real life. Second, for establishing the theories of literature education, strategic ideas for communicating and combining the theories from other fields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have interac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does not have much room for newly establishing ``a network of theory developing`` as ``literature``. Also it is also notable that for developing theories of literature education could later become the key content in soci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academic education. Third, there must be sustainable discourses for the research community of theories in literature education. There is an understanding that theories are only significant when they satisfactorily meet the reality but, there are research communities whose pure goal is in theories themselves. Indeed, this is on the basis that literature education can contribute to overall development in some way.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is focused too much on finding development tasks and therefore, it must reflect on the fact that theories are not leading the developments.

      • KCI등재

        ``욕설언어현상``에 대한 교육적 문화적 진단과 대안 모색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욕설언어현상을 ``언어문화의 문제``로 보고 개선하려는 것은 미래지향적이고 바람직하다. 과거처럼 불량 언어를 단순히 규범으로 통제하고 교정하던 방식으로는, 현대사회의 언어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없다. 청소년이 사용하는 불량언어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1) 또래집단내의 은어 사용이 증가한다. 2) 인터넷 댓 글을 통해서 욕설언어가 매개되고 확장된다. 3) 문어 활동이 줄어들면 불량언어가 생활 속에 많이 들어온다. 4) 영화 매체가 청소년 불량 언어에 영향을 주었다. 5) 공식적 소통에서 소외될수록 불량 언어에 노출된다. 욕설언어문화를 개선하려면 학생들에게는 심리적 처방, 사회적 처방, 그리고 문화적 처방 등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심리적 처방은 ``욕설하는 자아``를 동기나 과정 면에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는 처방이고, 사회적인 처방은 ``욕설행위``가 사회생활에 어떤 어려움과 문제를 만들어내는지를 인식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처방이다. 문화적 처방은 욕설행위를 일종의 잘못된 문화현상으로 보고, 그 문화를 비판하고 대안문화를 실천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욕설언어문화 개선을 위해, 욕설현상 관련 각종 지표들이 개인차원사회 차원에서 개발되고 적용되어 일반화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국민욕설지수``나 ``욕설태도지표`` 등을 만들어 통용해야 한다. 교육 차원에서는 보다 전문화된 욕설언어예방프로그램들이 학교와 사회 양 영역에서 운용되어야 한다. 이를 지도하는 교사나 소프트웨어에 상당한 전문성과 기술이 함께 갖추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It is future-oriented and advisable to view the abusive language phenomenon as ``an issue of language culture`` and improve it. With an existing method which tried to control and revise abusive language with mere standards in the past, language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annot be dealt with effective. Abusive language which teenagers us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use of slang by peer groups increases. 2) Abusive language is passed on and spread through the replies on the Internet. 3) As literary activities decrease, abusive language seeps into our life. 4) The film media has affected abusive language of teenagers. 5) As they become isolated from formal communication, they become more exposed to abusive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e of abusive language,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measures must be applied in conjunction to the students. A psychological measure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self that uses abusive language`` from the aspects of intention and process. A social measure focuses on making one recognize what problems and issues the ``swearing behaviors`` cause in social life. A cultural measure views searing behaviors as a erroneous cultural phenomenon and focuses on instructing people to criticize such culture and carry out the alternative culture. Various indicators related to swearing behaviors should be developed on the individual and society levels and applied generally to improve a culture.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국어과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전망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2 No.-

        국어과 평가 논의에서 전제되어야 할 점은 국어과 평가가 교육 평가 일반론으로 환원되지 않는 국어과 평가의 특수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국어과 하위 영역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리는 평가 담론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국어과 평가의 역할 위상을 학교 내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으로도 확장해 나아가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국어과 평가는 학문중심교육과정 하에서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가 주조를 이루었다. 또한 표준화와 공식적 평가(Formal evaluation)의 양태가 국어과 평가의 전부인 것처럼 단조롭고 획일적이었다. 이후 국어사용과정과 기능에 초점을 두는 활동중심 평가가 강조되고, 이어서 학습자중심의 언어체험의 수행성과 탐구과정을 강조하는 비공식성이 강한 평가들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식성과 언어사용의 소통성을 강조하는 평가가 부각되고 있다. 국어과 평가는 1) 평가를 공학적 체제(engineering system)로 보려는 관점이 지배적이었고, 2) 언어수행에 대한 평가가 소극적이었으며, 3)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중심의 평가 관습에 지배되었고, 4) 수행평가 정착이 실패했으며, 5) 문학교육 평가의 답보가 두드러졌다. 이런 점이 국어과 평가의 결함으로 지적될 수 있다. 국어과 평가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요구된다. 1) 국가 수준의 국어 능력 평가 체제를 상시 체제로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각급학교 학생들의 국어 능력과 일반 국민의 국어능력을 종단 평가(縱斷平價)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2) 국어 수행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배려가 필요하며, 평가 도구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어사용 생태 변화를 반영하는 살아 있는 평가 자료들을 개발해야 한다. 3) 국어과 평가의 자료와 피드백 방식을 질적으로 풍요롭게 해야 한다. 이는 국어사용과 관련한 지식, 기능, 태도, 윤리 등 국어과 평가 요소의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 4) 문화적 리터러시에 대한 국어과 평가의 새로운 영역을 확충해야 한다. The matter to presuppose in discussion abou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is that it should pursue the peculiarity of Korean subject evaluation which is not restored to generalization of education evaluation. Furthermore, evaluation discourses that increas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subcategories of Korean subject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Moreover, the role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should be expanded from inside to outside the school. The mainstream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has been norm-referenced evaluation under academic-oriented curriculum for the past half of a century. Moreover, the pattern was monotonous and uniform as if only standardized and formal evaluation were existed. However, activity-oriented evaluation that was focused on function of the process to use Korean were started to be empathized. And then, some informal evaluations that were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ploration process of learner-oriented language experience were started to get attention. Recently, evaluations that emphasize diverse literacy and communication of language use become significan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was 1) predominant with the perspective to see evaluation as an engineering system, 2) passive for evaluation language performance, 3) predominant with summative evaluation, 4) failed to settle performance assessment, and 5) evaluation on literature education was clearly standstill. These can be pointed out as defects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Therefore, the following efforts are demanded for futuristic development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1) Stat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regular system. So Korean proficiency of all the students of nation should be chronically evaluated with a system. 2) Diverse concerns on Korean performance evaluation are necessary, and the evaluation tool should be diversified. So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pursue to integrate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nd ethics. 3) Material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evaluation and feedback method should be plentiful with good quality. Living evaluation Material that reflects the change of Korean use mode are required. 4)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establish a new field for cultural literacy.

      • KCI등재
      • KCI등재

        신화적 서사의 해석과 교육적 활용

        박인기(Park In Ge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4 기전문화연구 Vol.31 No.-

        신화는 서사의 방식으로 존재한다. 신화적 서사는 신화의 속성을 일정 부분 지닌 서사물을 일컫는 것으로, 신화 텍스트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신화적 서사는 상징, 제의, 원형 등을 내포하며 반영의 총체성을 담는다. 신화의 가치가 형성되고 인식되는 층위는 다양하다. 신화는 궁극적으로 문화적 가치를 드러낸다. 대부분의 신화적 서사는 인간의 성장에 의미 있는 가치를 지닌다. 신화 자체도 발달과 쇠퇴의 흐름을 가진다. 이런 특성을 토대로 경기 인천 지역과 관련되는 신화적 서사의 해석과 그것의 교육적/문화적 적용에 대한 시사는 다음과 같다. 1. 비류 백제 시조 신화의 경우 ① 신화를 지역적 산물로 좁게 해석하지 말고, 고구려 시조 신화의 전체성 속에서 이해한다. ② 지역 주민에게 비류 백제에 대한 인식을 세대별로 파악하여 신화적 가치의 흐름을 안다. 2.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의 경우 ① 텍스트 내에서 강화도라는 지역 공간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해 본다. ② 지금 여기 의 강화도와 상호성을 살려가면서 텍스트를 다양하게 해석한다. 3. 바리공주(중서부 전승본)의 경우 ① 이 텍스트의 소통, 공유 방식을 폭넓게 파악하여 이 텍스트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한다. ② 이 텍스트의 퇴조가 의미하는 지역 문화적 양상, 또는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한다. Most of myths are in existence with narrative style. In this thesis mythological narrative is used in the meaning of extended myth text, and defined the narrative text that embraces mythological attribute internally. Mythological narrative involves symbol, ritual and archetype, and shows us the totality of reflectivity. The aspects that mythological value is composed are much various. And mythological value is recognized in diverse method. Most of mythological narrative endows meaningful value to help human development. Mythological narrative works in relation to cultural value ultimately. There is a certain stream of progress and decline in mythology itself. Some representative mythological narratives in Gyeong-gi and Incheon region have special features based on locality. And these mythological narratives give some suggestions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s followings. 1. Bireu, the originator of Michuhol, myth ① To understand this myth in relation to totality of the foundation mythology of Koguryeo, not to treat this myth in explanation of regional episode simply. ②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eam of mythological value of this text through investigating 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residents. 2. Kangdo-Mongyurok ① To actualize the historical/cultural meanings of Kanghwa-do through this text. ② To relate this narrative with now and here of Kanghwa-do. 3. Bari princess(middle-west version) ① To recognize cultural value of this text, through knowing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of this text among the residents. ② To understand the cultural paradigm that the declination of this text suggests.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미래적 생애의 시공간(時空間)을 향한 문학교육의 역할-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은 미래사회의 개인이 살아가는 생애 전체의 시간과 공간을 함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혁신을 해야 한다. 문학이 생활과 다양한 방식으로 호환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미래사회에서 문학교육은 생애 전체를 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소통``을 경험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 고도의 기술문명 속에서 학습자에게 ``심미적 도야``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애교육은 역동적이 될 수 있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술사회학이나 문화사회학의 영향 가치를 잘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교육의 문학교육``은 탈제도화를 지향하고, ``생애교육의 문학교육``은 제도화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should look into the entire life-long time and life-space of each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and a curriculum innovation is needed for interaction of those two(life-long time and life-space). It should develop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literature is compatible with life in various ways. The literature education in future society should be done through the whole life and focus on leading students to experience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ir every lifetime and life-space. Moreover,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m to pursue ``esthetic cultivation`` in high-degree technical civilization and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can become dynamic. The content and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value based on sociology of art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aim deinstitutionaliz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aim institutionalization. And it is advisable that both sides interact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