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후 핵연료 관리 정책과 국제 동향

        박원재,Park Won-Jae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6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4 No.3

        At the end of 2005, 443 nuclear reactors were operating in 32 countries worldwide. They had provided about 3,000 TWh, which was just over 16 percent of global electricity supply. With the generating capacity of 368 GWe in 2004, the spent fuel generation rate worldwide, now becomes at about 11,000 tHM/y. Projections indicate that cumulative amounts to be generated by the year 2020, the time when most of the existing NPP will be closed to the end of their licensed lifetime, may be close to 445,000 tHM. In this regard, spent fuel management is a common issue in all countries with nuclear reactors. Whatever their national policy and/or strategy is selected for the backend of the nuclear fuel cycle, the management of spent fuel will contribute an impending and imminent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foreseeable future. The 2nd Review Meeting of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Joint Convention was held in Vienna from 15 to 24 May 2006. The meeting gave an opportunity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of spent fuel management of the Contracting Parties, to discuss their situations, prospects and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national policies in this field an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directions that national effor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is area should be taken.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national and global trends of spent fuel management is discussed. In addition, some directions are identified and recent activities of each Member States in the subject area are summarized.

      • KCI등재

        『장자』 ‘나비 꿈[胡蝶夢]’ 우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물화(物化)’의 의미에 대한 근래의 해석들을 중심으로

        박원재 ( Park Won Jae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4 No.-

        『장자』「제물론」마지막에 등장하는 ‘나비 꿈[胡蝶夢]’은 예로부터 「소요유」의 ‘대붕의 비상’과 함께 장자철학의 근본 주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우화로 꼽혀 왔다. 장주와 나비의 상호 변용이라는 이야기를 통해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이치를 잘 담아내고 있다고 평가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일까,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일까[不知周之夢爲胡蝶, 胡蝶之夢爲周與]”라고 하는 구절과 “장주와 나비 사이에는 반드시 구분이 있을 것이다[周與胡蝶, 則必有分矣]”라는 구절 간에 존재하는 표면적인 문맥상의 단절로 말미암아 근래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제기되고 있다. 문장구조를 바꾼다든가, 핵심어인 ‘물화(物化)’를 기존과 다르게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장자철학의 근본 문제의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 입각한다면, ‘나비 꿈’ 우화는 아무런 단절 없이 정합적으로 독해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관점이란 장자철학이 추구하는 것이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삶’임을 인정하면서도 ‘타자와의 소통’ 또한 그 하위 주제의 하나로 중시된다고 보는 시각이다. 「인간세」에 투영된 문제의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장자철학이 추구하는 ‘자유로운 삶’은 출세간적이라기보다는 입세간적이다. 그러므로 장자적인 삶에서 타자와의 ‘완전한’ 소통은 자유로운 삶의 불가결한 조건이다. 그런데, 「인간세」의 ‘심재(心齋)’ 일화가 말해주듯이, 『장자』에서 이 소통은 주로 ‘자기 비움’의 형태로 나타난다. 스스로 ‘거울[鏡]’이 됨으로써 타자를 완전하게 받아들이는 방식이다. 이 각도에서 접근할 경우, ‘나비 꿈’ 우화는 주체와 객체 사이의 완전한 소통에 대한 은유로서 「제물론」첫 머리에 등장하는 ‘오상아(吾喪我)’와 수미쌍관적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점에서 앞서 이야기한 문맥상의 단절은 결코 단절이 아니라 주체와 객체가 존재론적인 구분을 견지하면서 도달하는 완전한 소통에 대한 묘사로 충분히 자리매김 될 수 있다. The allegory of butterfly dream, which is in the last chapter of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齊物論], Zhuangzi, has been considered to be a primary fable which shows the fundamental subject of Zhuangzi thought compressively as the soaring of a roc in “Free and Easy Wandering”[逍遙遊] has. This is because it has been acknowledged to express the logic of ‘All things being the same[萬物齊同]’ through the story of a mutual transformation between Zhuangzi and butterfly. However, because of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phrase “whether Zhuangzi was dreaming of being a butterfly, or whether a butterfly was dreaming of being Zhuangzi” and “There must be distinction between Zhuangzi and a butterfly”, a new interpretation on this has emerged among recent Researchers. It includes attempts to change the sentence structure of ‘butterfly dream’ and to interpret the keyword ‘Transformation of things[物化]’ in negative way, unlike traditional one. But in the new perspective of the gut issue of Zhuangzi thought, these aspects of butterfly dream can be read coherently without any problem. This perspective regard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s one of important sub themes while admitting that Zhuangzi thought pursue a free life which is not tied to any confinement. As it can be found in the critical mind reflected via “In the World of Man”[人間世], free life for which Zhuangzi thought seek means an attitude accepting secular values, rather than denying them. Thus, It is indispens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completely in achieving Zhuangzi’s free life. Yet, as seen in the anecdote ‘Fasting of the Mind[心齋]’ of “In the World of Man”, this communication in Zhuangzi is most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emptying oneself’, which means embracing others consummatively by becoming a ‘mirror’ on one’s own. Adopting this access, it can be said that there lies correlation between ‘butterfly dream’ and ‘I have lost myself[吾喪我]’ since the former signify consumm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etaphorically as the latter does in the beginning of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In this point, the inconsistency between two phrases can be read as a representation of complete communication accomplished by adhering to ontological division of the subject and object, not a disconnection in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대붕은 어디로 날아가는가 ― 장자사상의 정치철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구(1)

        박원재 ( Park Won Jae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8 No.-

        이 글은 장자사상을 정치철학적 시각에서 독해하려는 첫 번째 시론이다. 장자사상의 근본 주제는 일반적으로 ‘고통’, ‘죽음’, ‘운명’ 등으로 상징되는 삶의 실존적 상황을 극복하고 어디에도 매이지 않는 정신적 차원의 ‘절대 자유’를 추구함으로써 자연으로부터 받은 생명을 온전히 보존하고, 마침내는 그 자연으로 다시 온전히 돌아가는 것이라고 이야기된다. 『장자』에서 이러한 ‘자유’를 방해하는 것으로 지목되는 대표적인 요소는 ‘(外)物’이다. ‘(外)物’은 ‘사물’과 ‘사건’을 포괄한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자연적 요소뿐만 아니라 인위의 산물인 문화적 요소들도 포함된다. 그렇다면 장자가 추구하는 ‘절대 자유’는 인간사회에 대한 탈주 또는 거부를 필수조건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기대와 다르게 진정한 ‘소요’는 인간사회를 떠나야 달성된다는 생각은 내편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장자는 오히려 인간사회 속에서의 ‘소요’를 곳곳에서 강조한다. ‘사람사는 세상’이라는 의미를 지닌 ‘人間世’가 편명의 하나로 쓰이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사람 사는 세상을 떠나지 않고 그 속에서 서로 평등하게 自適하는 삶들의 자유를 추구하는 장자사상의 정치적 측면을 드러낸다. 장자가 추구하는 ‘절대 자유’라는 주제가 잘 드러나 있는 단편으로 여겨지는 「소요유」도 이 시각에서 읽을 때 그 정치철학적 맥락이 온전히 드러난다. 「소요유」는 탈속적이며 절대적인 자유를 노래한 단편이라는 통상적인 해석과 달리, 장자가 추구하는 ‘자유’의 성격과 그것을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요청되는 실천적 행위를 우화와 일화의 형식으로 압축적으로 표현한 단편이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바람직한 삶의 이상(첫째 단락)과 그것의 정치적 맥락(둘째 단락) 그리고 그것의 구현을 위해 요청되는 실천적 행위(셋째 단락)라는 구조로 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내편의 나머지 단편들 역시 「소요유」에서 제기된 이 주제를 각각의 문제의식에서 이어받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자사상에 대한 정치철학적 읽기는 ‘정치’를 키워드로 이들 각 단편들의 의미를 일관되게 엮어내고, 그 안에 담겨 있는 주요 사유들을 이 범주 속으로 끌어들여 적절하게 의미화할 때 완성된다. This article is the first essay to read Zhuangzi's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hilosophy. It is said that the fundamental theme of Zhuangzi’s thought is to fully preserve the life received from nature by overcoming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life symbolized by ‘pain’, ‘death’, and ‘fate’, and pursuing ‘absolute freedom’ at the spiritual level which is not tied anywhere. Zhuangzi points out ‘External thing(外物)’ as the representative element interfering with this ‘freedom’. External thing encompasses 'things' and 'events', which means that it includes not only natural elements but also cultural ones produced by the artificiality. If so, the 'absolute freedom' pursued by Zhuangzi can be thought to presuppose an escape from or a rejection of human society. However,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the idea that true ‘Wandering Far and Unfettered(逍遙遊)’ is achieved only when one secludes oneself from the society is hardly evidenced by The Inner Chapters. Rather, Zhuangzi emphasizes the ‘Wandering Far and Unfettered’ which is done inside the human society throughout The Inner Chapters, one of which chapter’s name is ‘In the Human World(人間'世)’, meaning ‘a world in which people live’. These factors reveal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idea of Zhuangzi's thought that pursues the freedom of lives while not leaving the world people who are equal to each other live in. In this light, the context of political philosophy is fully revealed when reading “Wandering Far and Unfettered”, a short story exemplifying the theme of ’absolute freedom’ pursued by Zhuangzi. “Wandering Far and Unfettered”, far from the typical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it a short story longing for an unworldly and absolute freedom, is in fact a compressed short story in the form of fables and anecdotes that articulates the nature of ‘freedom’ pursued by Zhuangzi and the practical actions requested in the process of achieving it. To be more specific, it conveys this message in a structure consisting of the desirable ideal of life (paragraph1), its political context (paragraph2) and the practical act requested for its implementation (paragraph3). On the whole, the rest of The Inner Chapters also plays a role in taking over this topic raised in “Wandering Far and Unfettered” in the light of each problem consciousness, thus deepening it. Reading Zhuangzi's thought through the lens of political philosophy can be completed when each of these chapters is coherently compiled using ‘politics’ as a keyword, and the main reasons contained in them are drawn into this category and properly semanticiz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