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지궤도위성에서의 다중머리 별추적기 최적 배치에 관한 연구

        영웅,임조령,종석,Park, Yeong-Ung,Im, Jo-Ryeong,Park, Jong-Seok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최근에는 정지궤도위성에도 지구센서 대신 별추적기를 탑재하는 추세이다. 별추적기의 경우 태양이나 지구와 같은 밝은 물체가 시야각에 들어올 경우 자세결정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별추적기 최적 배치를 위한 해석이 요구된다. 그런데, 정지궤도위성의 경우 24시간을 주기로 태양이 적도면을 회전하고 또한 동지와 하지를 최대로 하여 적도면과 23.5도의 기울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추적기 배치에 많은 제한이 발생한다. 별추적기 성능을 최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탑재되는 광학계가 서로 직각이 되어야 하지만 태양 위치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직각이 될 수 없으며 이 경우 성능은 약간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항상 태양을 회피하기 위한 최적 각을 적용하거나 태양이 들어올 경우만 성능 손실을 감수하면서 이외의 경우에 별추적기 최적의 성능을 얻고자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최적 각을 소개하였고, 다중머리 별추적기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중머리 별추적기는 하나의 전장품에 광학계가 여러 개 장착되는 제품으로 최근에 우주이력(heritage)를 갖기 시작하였다.

      • 정지궤도 위성 탑재 궤도전파기 예비 설계 및 해석

        임조령,영웅,최홍택,Im, Jo-Ryeong,Park, Yeong-Ung,Choe, Hong-Taek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위성의 지향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정밀한 자세명령을 생성해 주어야 하는데, 정밀 자세 명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준좌표계를 잘 결정해야 한다. 저궤도 위성의 기준좌표계는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성의 위치와 속도 및 시각 정보로부터 기준 시각의 좌표계를 생성하게 된다.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에는 GPS 위성을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계속 지상에서 궤도 정보를 올려주거나 탑재 컴퓨터에 궤도전파기나 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위성의 궤도 정보를 계산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정지궤도 위성의 궤도정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하는 궤도전파기/궤도 생성 알고리즘의 개념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저궤도위성에서 사용한 방법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궤도 정보를 바탕으로 내부 탑재 궤도전파기를 사용하여 실제 궤도 정보가 이용되는 시간까지 궤도 정보를 전파하여 기준좌표계를 생성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다음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에서 사용한 탑재 궤도 전파기/궤도 결정 알고리즘을 검토하고 새로 개발하는 정지궤도 위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궤도 정밀도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만족하는 탑재 궤도 전파기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요구조건 만족과 설계 결과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골 병적 골절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1$

        임효순,진균,정태웅,윤웅,강형근,Im, Hyo-Sun,Park, Jin-Gyun,Jeong, Tae-Ung,Yun, Ung,Gang, Hyeong-Geu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7 No.2

        목적: 장골(long bone)에 발생한 병적 골절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순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과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장골의 병적 골절로 확진된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4세에서 75세로 평균 25.8세이었다. 단순촬영에서 골절의 부위와 형태를 분석하였고, 병적 골절로 진단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기저 병변의 발견유무와 병변의 양상, 골외종괴 형성 유무, 연부조직 변화 등을알아보았다. 결과: 병변 부위는 대퇴골 9예, 상완골 6예, 경골 3예였다. 기저질환은 골전이암 6예, 양성 골종양 5예, 원발성 악성 골종양 4예, 골수염 2예, 호산구성 육아종 1예였다. 단순촬영에서 전체 18예중 16예에서 골절이 관찰되었고, 2예에서 골절이 관찰되지 않았다. 골절부위는 골간단 10예, 골간 5예, 골간단골간이행부 1예였다. 골절의 형태는 횡상골절이 10예로 가장 많았으며, 사상골절 3예, 나선상골절 1예, 수직상골절 1예, 감입 골절이 1예였다. 단순촬영에서 골절을 보였던 16예 중 12예에서는 병적 골절로 진단이 가능한 병변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는 관찰되지않았다. 자기공명영상으로 전체 18예 모두에서 병적 골절의 기저 질환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골전이암과 원발성 악성 골종양의 경우 고형 종괴의 형성이 있었으며 이중 5예에서는 골외 종괴 형성이 함께 있었다. 양성 골종양 5예의 경우, 순수한 낭성 종괴의 형태를 보인 경우가 2예, 조영증강되는 고형 성분을 지닌 낭성 종괴의 형태를 보인 경우가 2예, 약간 조영증강되는 고형종괴의 형태를 보인 경우가 1예였다. 연부조직의 혈종을 형성한 경우는 전체 18예중 3예였으며 연부조직의 부종은 고도가 5예, 중등도가 7예, 경도가 6예였다. 결론: 장골의 병적 골절에서 자기공명영상은 기저 질환의 형태와 침범정도를 잘 평가할 수 있었으며 단순촬영에서 확신하지 못하는 병적 골절을 진단하는데 유용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R imaging of pathologic fractures of the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In 18 patients aged between four and 75 (mean, 25.8) year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pathologic fractures of the long bones, plain radiographs and MR imag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former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location and type of fractur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underlying disease causing fracture; and the latter in terms of underlying disease, extraosseous mass formation, and soft tissue change. Results: The long bones involved were the femur in nine patients, the humerus in six, and the tibia in three. Underlying diseases were metastatic tumor (n=6), benign bone tumor (n=5),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n=4), osteomyelitis (n=2), and eosinophilic granuloma (n=1). Plain radiographs showed the fracture site as the metaphysis in ten cases, the diaphysis in five, and the metadiaphysis in one. Fractures were either transverse (n=10), oblique (n=3), spiral (n=1), vertical (n=1), or telescopic (n=1). In two cases, the fracture line was not visible. MR images revealed underlying diseases in all cases. A solid mass was present in all cases of malignant bone tumor, and an extraosseous mass in five such cases. Two benign bone tumors took the form of a cystic mass, two were a cystic mass containing an enhanced solid portion, and one was a solid mass. A soft tissue hematoma was seen in three cases. Conclusion: Where pathologic fracture of a long bone had occurred, or a pathologic fracture in which the findings of plain radiography were equivocal, MR imaging was useful for evaluating the pattern and extent of an underlying lesion.

      • KCI등재
      • KCI등재

        고온조건에서 등숙이 양호하고 도열병에 강한 조생 고품질 벼 ‘중모1024’ 육성

        정지웅(Ji-Ung Jeung),강경호(Young-Seop Shin),최임수(Im-Soo Choi),장재기(Jae-Ki Chang),김명기(Myeong-Ki Kim),이점호(Jeom-Ho Lee),향미(Hyang-Mi Park),양창인(Chang-Ihn Yang),전용희(Yong-Hee Jeon),서정필(Jung-Pil Suh),최인배(In-Bae Cho 한국육종학회 2016 한국육종학회지 Vol.48 No.1

        ‘Jungmo1024’ is a blast resistant early maturing rice cultivar with high 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Jungmo1024’ was derived from a sodium azide treatment on ‘Suweon472’, a high yielding japonica elite line which was latterly registered as ‘Namil’. Comparison with the agronomical traits of ‘Namil’, ‘Jungmo1024’ was uniquely characterized as the induced gained function due to the reduced culm length, increased tiller number, strong blast resistance and especially high 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The high temperature tolerance of ‘Jungmo1024’ was supported by two years experiments by comparing the head rice ratio produced in ordinary paddy field and green house condition. The heading date of ‘Jungmo1024’ was July 29 in central plain area, which was 9 days earlier than that of ‘Hwaseong’.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Jungmo1024’ was about 4.98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Jungmo1024’ had 69 cm in culm length, which was 15 cm shorter than that of ‘Hwaseong’, 20 cm in panicle length, 16 in tiller number, and 22.3g in 1,000 grain-weight of brown rice. ‘Jungmo1024’ exhibited strong rice blast resistance, but do not have any clear resistance gene sources against bacterial blight, viral diseases and insect fests. ‘Jungmo1024’, nevertheless, would be a useful rice cultivar could be used as a donor line for the breeding programs for developing southern plane adaptable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 with enhanced rice blast resistance, lodging tolerance, and especially high temperature tolerance during grain filling stag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간의 조영증강 양상: 경변성 간과 정상 간의 비교

        신상수,정용연,강형근,임효순,윤웅,서정진,진균,Sin, Sang-Su,Jeong, Yong-Yeon,Gang, Hyeong-Geun,Im, Hyo-Sun,Yun, Ung,Seo, Jeong-Jin,Park, Jin-Gyun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1

        목적: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지연기 영상에서 간경변 환자군과 정상군 사이에 간실질의 조영증강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60명(간경변 환자군 35명, 정상군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1.5T 자기공명영상 기기에서 위상배열 다중코일을 사용하여 조영전과 Gd-BOPTA를 일시에 정맥 주입하고 60분 후에 in-phase와 opposed-phase T1강조 경사에코 영상을 각각 얻었다. 모든 영상은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간실질의 신호잡음비 (signal to noise ratio,이하 SNR)와 조영증강값 (signal enhancement,이하 SE)을 구하여, 간경변 환자군과 정상군 사이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간경변 환자군에서는 Child-Pugh분류에 따른 SNR과 SE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간의 조영증강 양상을 두 명의 방사선과의사가 합의하에 균질성과 비균질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간실질의 SNR은 간경변 환자군 (p<0.001)과 정상군 (p<0.001)모두가 지연기 영상에서 조영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Gd-BOPTA 조영증강 in-phase(p<0.001)와opposed-phase(p<0.001)T1강조 경사에코 영상에서 간경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경변성 간의 SE는 정상 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in-phase:p=0.002,opposed-phase:p=0.011). 경변성 간에서 간실질의 SNR은 Child-Pugh A군(p<0.001)과 B군(p<0.001)모두가 지연기 영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Gd-BOPTA 조영증강 in-phase(p<0.001)와 opposed-phase(p=0.022)T1강조 경사에코 영상에서 Child-Pugh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SE는 in-phase T1강조 경사에코 영상에서 Child-Pugh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04).간경변 환자군에서는 35명중 20명(57%)에서 비균질성의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지만,정상군에서는 모든 예에서 균질성의 조영증강 양상을 보였다. 결론: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지연기 영상에서 경변성 간은 정상 간에 비해 조영증강의 정도가 낮았으며,간경변 환자에서 간기능이 떨어질수록 조영증강의 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지연기 영상은 간기능의 보존정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enhancement features of hepatic parenchyma between cirrhotic and normal liver, using Gd-BOPTA-enhanced delayed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60 patients (35 with cirrhotic and 25 with normal liver) included in our study underwent Gd-BOPTA-enhanced MR imaging using a 1.5T system with a phase-array multicoil. In all cases, T1-weighted in-phase and opposed-phase gradient-echo MR imaging was performed before and 60 minutes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 bolus of Gd-BOPTA. All images were quantitatively analysed by comparing the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ignal enhancement (SE) of cirrhotic and normal liver before and after contrast enhancement, and in cirrhotic patients, SNR and SE were also compared in terms of the Child-Pugh classification.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hepatic enhancement patterns of cirrhotic and normal liver were classified as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according to the consensual findings of two radiologists. Results: At contrast-enhanced imaging, both cirrhotic (p<0.001) and normal liver (p<0.001) showed substantially increased SNR relative to unenhanced images, and the SNR of cirrhotic liv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livers at both in-phase (p<0.001) and opposed-phase (p<0.001) imaging. The SE of cirrhotic liv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liver (in-phase: p=0.002; opposed phase: p=0.011). Both Child-Pugh class A (p<0.001) and B (p<0.001) cirrhotic liver showed a substantial increase in SNR at contrast-enhanced imaging relative to unenhanced imaging and the SNR of Child-Pugh class 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Pugh class B at both in-phase (p<0.001) and opposed-phase (p=0.022) imaging. In addition, the SE of class 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lass B at in-phase imaging (p=0.004). Cirrhotic liver showed heterogeneous enhancement in 20 of 35 patients (57%), whereas normal liver showed homogeneous enhancement in all patients. Conclusion: At Gd-BOPTA-enhanced delayed MR imaging, cirrhotic liver showed less enhancement than normal liver. In cirrhotic patients, hepatic enhancement and hepatic function decreased in tandem. Gd-BOPTAenhanced delayed MR imaging may be useful for evaluating the functional reserve of the l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