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제주도 도심과 배경지점에서의 CO2 농도 변화 및 복사강제력 영향 연구

        이수정 ( Soo-jeong Lee ),송상근 ( Sang-keun Song ),박연희 ( Yeon-hee Park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7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s and radiative forcing (RF) due to CO2 were examined at urban center (Yeon-dong) during 2010-2015 and background sites (Gosan) during 2010-2014 on Jeju Island. The RF at the two sites was estimated based on a simplified expression for calculating RF for the study period. Overall, annual mean CO2 concentrations at the Yeon-dong and Gosan sites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Yeon-dong (401-422 ppm) than at Gosan (398-404 ppm). The maximum CO2 concentrations at the two sites were observed in winter or spring, followed by fall and summer, with higher concentrations at Yeon-dong. The RF at Yeon-dong (annual mean of up to 0.70 W/m2 in 2015) was higher than that at Gosan (up to 0.46 W/m2 in 2014), possibly because of higher CO2 concentrations at Yeon-dong resulting from population growth and human activities (e.g., fossil fuel combustion). The highest monthly mean RFs at Yeon-dong (approximately 0.92 W/m2) and Gosan (0.52 W/m2) were observed in spring 2015 (Yeon-dong) and spring 2013 (Gosan), whereas the lowest RFs (0.17 and 0.31 W/m2, respectively) in fall 2011 (Yeon-dong) and summer in 2012 (Gosan).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주지역 미세먼지의 장기변동 및 농도변화에 관한 국지기상 분석

        박연희 ( Yeon Hee Park ),송상근 ( Sang Keun Song ),이수정 ( Soo Jeong Lee ),김석우 ( Suk Woo Kim ),한승범 ( Seung Bum Han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1

        Long-term variations of PM_{10}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y related to its concentration changes were analyzed at 4 air quality sites (Ido-dong, Yeon-dong, Donghong-dong, and Gosan) in Jeju during two different periods, such as PI (2001-2006) and PII (2007-2013), over a 13-year period. Overall, the long-term trend of PM_{10} was very slightly downward during the whole study period, while the high PM_{10} concentrations in PII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PI.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PM_{10} during the study period was clarified in correlation between PM_{10}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e.g. the low (high) PM_{10} concentration with large (small) precipitation or high (low) radiation and in part high PM_{10} concentrations (especially, Donghong-dong and Gosan) with strong wind speed and the westerly/northwesterly winds. This was likely to be caused by the transport effect (from the polluted regions of China)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of local emission sources. The PM_{10} concentrations in “Asian dust” and “Haze” weather types were higher, whereas those in “Precipitation”, “Fog”, and “Thunder and Lighting” weather types were lower. The contribution of long-range transport to the observed PM_{10} levels in the urban center (Ido-dong, Yeon-dong, and Donghong-dong), if estimated by comparison to the data of the background site (Gosan), was found to explain about 80% (on average) of its input.

      • KCI등재

        서정주와 1970년대 영원주의-『西으로 가는 달처럼…』을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1970년대 후반 서정주의 세계여행시 『西으로 가는 달처럼…』(1980)을 중심으로 ‘전통주의’와 ‘순수문학’의 관계를 재론하고자 한다. 서정주 문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영원주의(영원성)’는 역사적 순간을 초월한 일종의 통합적인 시간이며,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한국 순수문학론의 핵심 이념이기도 하다. 1970년대 이후 ‘신라(新羅)’를 대신해 ‘질마재’가 부각된 것은 서정주 문학이 지닌 내셔널리즘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데 흥미로운 쟁점이다. 그의 세계여행은 바로 이 ‘질마재적인 것’의 지구적 확장을 의미하는 사건으로 해석 가능하다. 다시 말해 서정주에게 세계여행은 민족, 전통, 동양을 세계적 보편성을 지닌 이념으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민족문학론이 급부상한 시기에 발표된 『西으로 가는 달처럼…』은 서정주 개인의 세계여행시이자 순수문학 또는 영원주의의 초민족적 판본이라 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ism’ and ‘pure literature’ focusing on Seo Jeong-ju’s world travel essays in the late of 1970s. The ‘Perennialism’ (or Eternity), one of his significant literary characteristics, is a kind of integrative time transcending historical moments, in addition, is the central ideology of the Korean pure literary theory which searches for the deep essence of human. After the 1970s, the fact that ‘Jilmajae’ emerged, instead of ‘Shill’, became the interesting issue in reviewing that nationalistic nature that his a variety of literature carry. It is possible to interpret his world travelogue as a meaningful event that expanded worldwide the ‘things of Jilmajae’. In other words, his travel served as a momentum to extend nationality, tradition, and the East to world as an ideology which possesses world universality. Therefore, his poetical works, the moon going to the West, published during the 1970s in which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suddenly emerged, deserves to be called a trans-national text of pure literature and perennialism as well as his individual world travelogue.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회계원리 교수학습 설계

        박연희(Yeon Hee Park),구정호(Jeong-Ho Koo),박경안(Kyoung An Park)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직무중심의 회계원리를 구성하고, 회계원리의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보조해주기 위한 스마트 러닝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회계원리는 학습자가 회계원리에 쉽게 다가가기 어려워 교수학습 설계가 쉽지 않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통의 근간이 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적극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빠르고 정확한 피드백과 실시간 평가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을 고취시켰다. 일차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계원리에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요즘 대세로 떠오르고 앞으로의 가야할 방향인 NCS 직무단위를 교과목과 접목하여 학습모듈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회계원리 교수학습방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수업에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NCS 중심의 회계원리 학습의 재설계를 통해 학교교육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능력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쉽게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의 앱을 통해 학습자가 쉽게 자율적으로 부족한 학습을 보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셋째, 교수자는 스마트 러닝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수법을 수정하고 개선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designs Accounting Principle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nd implement the smart learning to support the teaching methods more effectively.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teaching learning in accounting subjects because students can’t access accounting easily. But these days, active teaching methods using phone devices such as pad and smart mobile encourage students to study hard through the fast feedback and real time evaluations in class.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case of using smart mobile application, augmented reality, in Accounting Principle. And then, we show how to link the NCS to learning modules of Accounting Principle using augmented rea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 Mainly, it can reduce the gap between industry needs and academic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redesign on Accounting Principle based on NCS. Second, students may be easily supplemented to the shortage of learning in class with mobile applications which they can access by themselves anytime. Third, we can check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but also reflect the learning speed in class through smart learning. It will become the foundation of improving and modifying pedagogics.

      • KCI등재

        ‘김지하 붐’과 김현, 문지, 최승자

        박연희(Park, Yeon Hee)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6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지하에 대한 비평사적 평가가 가장 활발하게 진전된 1980년대에 주목해 그 의미와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다. 197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백낙청은 김지하의 시문학을 제3세계문학론의 한국적 표상으로 고평했고, 이를 통해 리얼리즘 문학에서 한국문학 가능성을 논증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동시대 지식인의 서로 다른 제3세계 인식과 그 비평적 전유가 전경화되었다. 즉, 백낙청 중심의 제3세계 문학론의 핵심이 여러 논자들에 의해 좀더 다양하게 산포되는 가운데 한국문학 담론에 일어난 일련의 변화가 있어 주목된다. 특히 ‘생명’을 후천개벽의 공간적 개념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김지하의 제3세계 민중론은 백낙청의 그것과 이미 상당한 거리를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 백낙청도 김지하의 초역사적인 민중 개념을 의문시하기는 마찬가지였으며, 이는 1970년대 이후 지속된 『창작과비평』의 제3세계문학론 내부의 균열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김현과 문지 계열의 시인들이 제3세계 시각의 어느 결절점에서 등장했는지 재독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특히 김지하 시문학을 대상으로 1980년대 이후 제3세계 문학 이념 및 시각의 한국적 전유 양상을 해명하고자 했다. In the late 1970s, Baek Nakcheong highly valued the poetic literature of Kim Jiha as the Korean representation of the literary theory of the Third World, and through this evaluation, he noted that there would be a new horizon to the realism literature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and reassess the meaning and context in the evaluation of Kim Jiha concentrating on the 1980s in which the literary criticism on Kim Jiha was at its peak. During this period, the literary estimations on the poetic literature of Kim Jiha diverged variously following their perspectives. That is to say, the representation of the Third World Literature by Kim Jiha was weaken in the process of division during the movement of progressive literature, and, later, in corresponding with the literary resistance of the moderate groups, Kim Jiha’s representation regained its literary evaluation. In other words, while the ‘Life” discourse of Kim Jiha were reviewed critically, the viewpoint on the Third World which Kim Jiha had represented, at last, was appropriated as the literary resistance by Kim Hyeon and the poets of Literature and Intelligence (Munji).

      • KCI등재

        준정부기관의 국제회계기준 도입준비 사례

        박연희(Yeon Hee Park),조석희(Seok Hee Cho),박성진(Sung Jin Park) 한국경영학회 2013 Korea Business Review Vol.17 No.1

        현재 전 세계 150여 개국이 국제회계기준(IFRS)를 수용하였거나 수용할 예정이며 OECD 가입국의 80% 이상이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국제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도부터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민간부문에서의 회계투명성 향상의 노력은 공공부문인 준정부기관의 회계제도에도 영향을 미쳐 준정부기관도 2013년부터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보고를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준정부기관이 국제회계기준을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실제사례를 통해 실행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준정부기관이 K-IFRS 도입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으로 K-IFRS에 적합한 회계 인프라 즉, 상각단위세분화 검토를 위한 프로세스, 손상검사를 위한 프로세스, 공정가치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매각예정비유동자산 분류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을 제시하였으며, 결산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기업의 회계제도의 경우 2011년에 시행된 ``공기업·준정부기관 회계기준``을 따르고 있으나 현행 공기업 회계기준은 민간기업과 상이한 공공부문의 회계적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여 공공부문의 비효율적인 경영형태와 재무구조의 불투명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준정부기관이 K-IFRS를 실제로 도입하기 전에 투자자, 감사인, 감독기관 등의 대응전략 및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Currently more than 150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introduced or are expected to accommodate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and more than 80% of OECD member countries are adopting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To respond to global trends, Korea have to apply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from 2011 for listed companies. Public sector`s accounting system is affected by the private sector`s efforts in improving fiscal transparency, so financial reporting should be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for public sector. In this paper, we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IFRS for public-sector and give assistance in the preparation for public-sector which should introduc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road-map from 2013. The implementation strategy are as follows for successful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In particular, the quantitative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public sector need to be modified because fair value could adversely affect capital productivity indicator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nified accounting principle and system of disclosure to compare the financial information between public sector.

      • KCI등재

        제 29차 도쿄 국제펜대회(1957)와 냉전문화사적 의미와 지평 -1950년대 후반 미국 문화원조와 동서문화교류 담론을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upport on the Korea PEN by The Asia Foundation. During the Cold War, the Asia Foundation is an American nonprofit organization which has supported major Asian nations in country rebuilding, anticommunist educ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foundation established an office in an aid-receiving country and actively attracted local literary people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programs. In Korea, above all, this culture-aiding system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international base of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PEN Korean Center in 1954 through the aid and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it was able to institutionalize the program for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activities of the Korea PEN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culture which specialized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difference of the Eastern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e “Resolution on Translation”, which had been passed in the 29th international PEN in Japa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EN conference of Japan, the role of Japan had been stressed on the bridge between the Asian literature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 assignment of Kawabata Yasunari, the president of Japan PEN, stood out at the meet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the business contents of Korea PEN and the aspect of increase in literary translations and their relating book reviews which had changed after the 29th international PEN in Japan. More importantly, from the international acceptance of Korean writer, Hwan Sunwon, in Encounter published in 1959,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translation forum of the Korean literature of 1950s which had been shaped as the output of the Asia Foundation.

      • KCI등재

        한국 펜(PEN) 이후 자유문학과 민족문학론의 분기(分岐)

        박연희 ( Park Yeon-he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국제 펜클럽 한국지부(1954)가 창립된 시기는 미국 대외원조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급증하는 가운데 반둥회의가 개최되고 냉전의 다극화 현상이 나타난 중요한 분기점에 해당한다. 국내적으로는 이승만 정부가 중화민국, 필리핀, 베트남 등과 협의해 아시아집단안보체제(아시아민족반공연맹, APACL)의 결성을 모색하고 정부 주도의 반공/반일문화전선이 구축된 시기였다. 이 논문은 한국 펜의 국제적 활동이 어떤 성격과 규모로 소개되고, 그것이 한국 지식인의 세계성 인식과 민족문학론에 어떤 방식으로 연동되는지를 살핀 글이다. 한국 펜을 주축으로 발간된 『자유문학』(자유문학협회)은 자유아시아, 세계평화 등 정부 주도의 반공주의적 문화외교에 상응하는 독자적인 민족문학론을 전개했다. 특집 「고전과 전통」(1956)을 통해 알 수 있듯, 『자유문학』의 전통계승론과 동양문화론은 한국문인의 세계정세에 대한 전망을 포함한다. 「고전과 전통」 특집에서 최일수는 전통론 붐을 새로운 현상으로 지적하는 가운데 동서문화교류를 “현대와 전통을 역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하나의 계기”, 즉 전통계승론의 유력한 논거로 이해했다. 국제 펜대회 활동 등의 외부 조건이 자유문협과 한국 펜 문인뿐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문학에 관심을 둔 신진비평가에게도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을 만큼 그것은 추상적인 슬로건이 아니라 문인들의 국제경험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었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PEN Club, America's Foreign Support for Asia increased sharply. Furthermore Bandung Conference was held in 1954 and Cold War was multipolarized. Domestically it was the period when Lee Seungman's government sought the formation of APACL cooperatively witn Republic of China, Philippines and Vietnam, and made up the cultural frontline against Japan and cummunism. This paper is not only to examine what is the scale and Characteristic of international activities by Korean PEN Club, but to its influences on national literature and Koran intelletuals' recognition of globality. Free Literature largely published by Korean PEN Club had developed its own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equivalent for cultural diplomacy by government such as free Asia and world peace. The special section canon and tradition (1956) shown the evidences of making the journal's anti-communism with the theories on tradition succession and oriental culture.

      • KCI등재

        1950년대 한국 펜클럽과 아시아재단의 문화원조-세계작가회의 참관기를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스탠포드대학 후버 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아시아재단(The Asia Foundation)의 한국 펜클럽 파일을 정리해 1950년대 미국의 문화원조가 한국문학에 끼친 공과를 고찰했다. 아시아재단은 전후 아시아 지역의 개인 및 단체를 후원하는 미국의 민간원조 단체로서 국제 펜클럽(International PEN) 한국본부 설치와 긴밀한 관련이 있다. 무엇보다 콜롬보회의를 중심으로 아시아적 연대, 비동맹국가의 평화 촉구가 일어나고 ‘예술원 파동’ 이후 문인의 경쟁과 파벌의식이 공고해진 1954년 무렵부터 한국 펜클럽에 대한 재단의 원조가 시작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아시아 중심의 국제정세 변화 및 새로운 한국 문단권력의 형성 등과 맞물려 아시아재단 문화원조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펜클럽은 아시아-서구-세계라는 분절된 도식에 한국(문학)의 좌표를 재배치하며 자유 아시아의 표상을 경유하지 않고 한국문학=전후문학=세계문학이라는 논리를 익숙한 틀로 만들었다. 특히 펜클럽 멤버 대부분이 식민지기 『해외문학』 동인이자 외국문학자였던 배경에서 비록 펜클럽이 문단 헤게모니에서 밀려난 문학단체였어도 전후 학술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한국문학에 영향을 미친 사실은 간과할 수 없다. 펜클럽 문인들을 중심으로 1950년대에 비교문학, 번역문학이 활성화되면서 세계문학 개념이 한국문학의 전망을 평가하는 중요한 이념과 가치로서 강조되었다. 이것은 펜클럽 세계작가회의 참가 등의 국제적인 문화외교를 통해 펜클럽 문인들이 한국문학의 후진성 내지 세계 주변부로서의 종속적인 위상을 역전시키는 새로운 경험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mplate the merits and demerits of cultural support for the Korean literature in 1950s by organizing the reports of the Asia Foundation which have been housed in the Hoover Institution Archives in Stanford University. As a non-governmental aid organization in America which gave support to individuals and groups in Asian region after the war, the Asia Foundation was closely involv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headquarters of the International PEN. The effect of the cultural support of the Asia Foundation was maximized with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nd, going hand in hand, the new formation of literary power in Korea. However, the Korean PEN Club had justified the schema that equated the Korean literature with world literature through the medium of the Korean War not borrowing the representation of free Asia from America. This self-recognition was impossible without a dramatically new experience which enabled the Korean writers to reverse the subordinating or dependent status as marginal and its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ry circle by participating international and cultural diplomacy like the World Writers’ Con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