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 분석 및 지원방안: 전북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 ( Shin Kyu Park ),이성희 ( Sung Hee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이혼증가 추세 속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이들의 특성과 해체 이후 삶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농의 복합도시인 전북 지역을 선정한 것은 거주지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지역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혼을 경험한 전북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해체 과정을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에 대한 분석은 결혼에 대한 환상, 배우자에 대한 정보 부재 등으로 인한 불안정한 초기 결혼생활 성립, 경제적 문제와 배우자의 폭력 등으로 결혼생활 붕괴가 이혼으로 연결, 가족해체 이후 주거 및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문제 직면, 향후 미래의 삶은 자녀와 함께 한국에서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더불어 미래의 삶을 한국에서 보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사회적 관계망과 지원체계는 빈약하여 향후 사회적 적응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혼을 통해 해체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제기되는 지원 방안은 다문화가족 해체 예방 차원의 정책개입에 대한 중앙정부의 역할과 해체된 가족에 대한 관리체계를 정비하는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서비스 지원강화, 가족관련 인프라 시설 등의 역할분담으로 지역적 네트워크를 통해 해체위기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례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reg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in growing divorce of a multicultural family and to find a support plan for life after family dissolution. Especially by selecting Jeonbuk, which are a mix of rural and urban areas, this study explores the family dissolu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y each residential type in order to establish the ways to support those women at the regional level. Thus,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were subject to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detailed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s found as follows: the illusion of multicultural marriage, unstable start of marriage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their spouses, economic difficulties and spousal abuse leading to divorce, and facing housing and economic hardship after divorce as well as child custody and parenting issues, though most divorced immigrant women still wish to stay in Korea to live with their children to the future. However, their poor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divorced immigrant women hinders their social adaptation and their future lives in Korea. As conclusions from the case studies of divorc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suggests engagement policy by central government for prevention of family dissolution,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family dissolution by local government, and the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providing a variety of support services. Also, the role sharing of various family support facilities may provide the regional network of assistan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facing the crisis of family dissolution.

      • KCI등재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여성농민운동의 발전

        박신규(Sin Kyu Park),정은정(Eun Jung Je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0 農村社會 Vol.20 No.1

        본 연구는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을 가지고 여성농민운동사를 살펴보았다.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으로 여성농민운동사를 고찰하는 것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정이 운동조직을 통하여 개인들의 주체화 과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행위자의 해석과 능동적인 행위가 여성농민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 그리고 참여관찰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970년대는 농촌의 근대화 과정에서 농촌 여성을 계몽과 농촌 개발 사업의 대상으로 설정된다. `농촌부녀`의 위치에서 `배우는 농촌여성 되기`로, 즉 계몽의 대상으로 표상된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여성농민조직이 생겨나고 1980년대 사회운동의 발전과 더불어 여성농민운동도 사회의 한 부문운동으로 발전한다. 비로소 여성농민들은 농업현실의 당사자임을 인식하면서 `농민`의 정체성을 회득하고, 남성농민 혹은 가부장제의 성차별 구조와 현실 또한 직시하면서 `여성`의 정체성도 동시에 형성한다. 1980년대 운동과 조직화의 역량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1990년대에 이르러 여성농민운동은 자주적 여성농민운동으로서 독자조직을 결성하고 여성농민들의 생산자로서의 지위향상, 사회참여 등을 실현하기 위한 운동을 펼쳐나간다.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사회의 농업·농촌이 급격한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놓이게 되면서 전체 농민운동은 수입개방농정 반대라는 단일대오의 운동이 형성되었고, 이에 여성농민운동 진영 또한 적극적인 투쟁을 하게 된다. 외세와 가부장제라는 이중의 경계긋기를 설정하고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사회적 정체성을 기획 하려 하지만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농업·농촌이 휩쓸리게 되면서 오히려 80년대에 비해 여성농민, 혹은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정체성을 구현해내는데 한계를 지닌다. 2000년대부터 현재 시점에 이르는 여성농민운동 진영은 `씨앗을 지키는 여성농민`을 내세움으로써 경계와 연대를 통해 정체성을 기획하고 확장하게 된다. 투쟁만으로는 지금의 농업현실을 풀어나갈 수 없다는 인식이 넓게 형성되면서 `대안을 만드는 투쟁`을 내세운다. 이런 투쟁과 대안이 함께 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 계기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of women peasants movement(WPM) in Korea with the concept of the `forming` and `changing`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It means the forming process of the women peasants` social identity has revealed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of the people through the social organization, and it sees the interpretation and active actions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WPM.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ch a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ural women had been targeted as the obje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rural modernization era in 1970s. They were projected as from rural women to `learning rural women`-the object of enlightenment`. By the late 1970s rural women`s organizations were formed, into the sub-sector of the social movement as the growth of social movements in Korea during 1980s. Not until then women peasants had got the `peasants` identity realizing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the agrarian reality. Also they had got the `female` identity realizing the gender-biased structure of the rural patriarchy. Since the rapid growth of the members and organizing ability in 1980s, WPM had been spread around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as an autonomous subject of the social movement through the motto of enhancing social status and participating as women agricultural producers in 1990s. The whole peasant movement of Korea had set the frontline against open market agricultural policy as Korean rural society and agriculture were attacked by rapid globalization trend, so had WPM. It set out the dual frontline as outer force and patriarchy and projected the social identity as autonomous women peasant, but it could be successful as the Korean agriculture·rural society fell to the victim of the globalization. The social identity of WPM has been recast and extended as the symbol of `seed-keeping women peasants` through bordering as well as associating. WPM has put ahead the concept of `struggles that mak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realization that struggles only cannot solve the agrarian problems. This kind of paradigm shift area border and solidarity has provided the critical momentum for reforming the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 KCI등재후보

        지역 다문화가족 청소년 실태와 지원정책 개선방안-경북과 전북 사례 비교-

        박신규 ( Park Shin-ky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6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8 No.-

        본 연구는 지역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의 삶과 욕구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지원정책의 연결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 단위의 다문화가족 청소년에 대한 실태 조사가 진행된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도농 혼합도인 전북과 경북 다문화 청소년들의 실태와 정책수혜 및 요구도를 분석해 보았다. 결과 전북과 경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삶에서 거주, 성별, 연령별로 차이와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 차별, 정책수혜 경험과 요구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현재 각 지자체 단위에서 수립,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에 대한 지원 사업은 중앙정부의 다문화지원 사업에 의존하는 반면 각 지역 다문화 청소년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 방식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향후 지역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개별적 특성에 기반을 둔 청소년 지원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은 일반 청소년들과 동일한 지원 내에서 하되 선별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분리하여 지원하는 ‘이중적 지원시스템’ 마련되어야 하며 이것은 정책이 ‘대상’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vity issues with the local youth reality of a multicultural family life and the desire of young people to investigate their support policies. For research purposes, we analyzed the situation and the needs of policy beneficiaries of Jeonbuk and Gyeongbuk Multicultural Youth by making use of raw data on 「A study on tn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As a results of this survey, it is appeared to differ according to gender, age, residence, school adjustment, social discrimination, benefit from the policy experience and needs. But now it established in each local government unit, support projects for youth in multicultural family was foun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master plan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support. Multicultural youth policy is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local multicultural youth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center around the 'service', but in the same center as the general youth support and proposed a dual support system should also be established separately for the part which supports the screening support.

      • KCI등재

        재일한인의 고령화에 따른 개호서비스 이용과정 및 특성 분석 -오사카 사랑방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Shin-Kyu Park),이토 히로코(Hiroko ITO)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재일한인의 고령화와 일본 개호보험제도를 연관하여 재일한인 고령자의 개호서비스 이용과정 및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재일한인 고령자는 올드커머라는 존재적 기반으로 인해 법적, 제도적 보장과 사회복지제도의 수혜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공적개호보험제도가 설립되면서 재일한인 고령자도 개호보험 적용 대상이 됨에 따라 이들의 개호서비스 이용과정과 특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오사카 지역의 사랑방을 질적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사카 지역은 민족조직을 중심으로 개호보험제도 이전에 개호서비스를 운영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호보험제도 하에 노인복지서비스 지원체계를 수립하였다. 둘째, 재일한인 중심 개호시설은 민족성을 토대로 운영하였고 동시에 지역밀착형 개호서비스 실행과 서비스 기관의 관리 규제 유연화가 재일한인 중심 개호서비스 기관의 정착에 기여하였다. 셋째, 재일한인의 고령화 심화와 세대교체라는 여건 하에 재일한인 고령자 중심의 개호서비스 시설 운영은 과도기적인 시기에 놓여 있었고 운영프로그램에서 민족성과 다문화성을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일한인 사회의 개호서비스 운영 계기, 재일한인 고령자 중심의 개호서비스 특징, 개호서비스가 운영되는 공간에서 운영자, 종사자, 이용자의 상호관계성을 역동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를 두며 향후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개정과정으로 인해 발생한 재일한인사회의 개호서비스 변화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care services for elderly Korean-Japanese. This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aging of Korean-Japanes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The elderly Korean-Japanes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beneficiaries of legal and institutional guarantees and social welfare systems due to the existing basis of old com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lderly Korean-Japanese are also eligible for nursing care insurance. It was intended to summariz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of care services. For the study, the Sarangbang in Osaka was us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saka region has experience of operating nursing care services prior to long-term care insurance centering on ethnic organizations. Based on this, the elderly welfare service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Second, nursing care facilities centered on Korean-Japanese were operated based on ethnicity, and at the same time, the implementation of regional nursing care services and flexibility in management regulations of service institution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service institutions centered on Korean-Japanese. Third, under the conditions of intensifying aging of Korean-Japanese and the change of generations, the operation of nursing care service facilities centered on the elderly Korean-Japanese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and measures to coexist with ethnicity and multiculturalism in the operation program were being sought. This study looked at the operating opportunities of nursing care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care services centered on Korean-Japanese. It is significant to dynamically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of operators, workers, and users in the care service operating space.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e future, we will study the changes in nursing care services i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두 재외한인의 삶을 통해 본 귀환이주의 특징분석 - 사할린 한인 S와 중남미 한인 P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박신규 ( Park Shin-ky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귀환이주의 개념과 논의의 확장을 도모할 목적으로 재정착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 두 재외한인의 사례를 통하여 각각의 사례에 나타난 귀환이주의 성격과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두 재외한인의 생애사를 통해 분석된 귀환이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주자가 처한 개인의 위치, 모국의 사회경제적 상황, 재외동포에 대한 정책 수용과 변화라는 요소들이 중첩적으로 맞물려 있었다. 또한 여기에 귀환이주자의 적응과 재적응의 과정의 본국의 상황과 조건에만 좌우되는 것이 아닌 확대된 초국주의에 기반을 둔 초국적 공간에 대한 인식과 삶의 실천적 과정과도 맞물려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분석을 토대로 이후 다양한 귀환이주자의 삶을 고찰하여 재외한인의 한국사회로의 귀환이주에 대한 특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meaning of return migration in each case through the case of two overseas Korean immigrants who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to expand the concept and discussion of return migration in Korean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urn migration analyzed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wo overseas Korea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individual,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mother country, the policy acceptance and change for the overseas Koreans were overlapped. It was also linked to the recognition of transnational space based on expanded transnationalism and to the practical process of life, which is not dependent only on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home country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re-adaptation of returning immigrants. In conclus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return migrants to Korean society.

      • KCI등재

        브라질 한인사회에서 ‘한인여성’으로 살아나기

        박신규(Park, Shin-Kyu),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브라질 한인여성의 개인 구술사를 통해 브라질 한인 사회의 특성 및 한인여성의 삶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결혼이주를 통해 삶의 전환점을 맞이한 한 여성의 삶을 연속적인 관점에서 조망하여 생애사적 방법으로 그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인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이 브라질로 이주해서 살아 온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의 브라질 한인 사회 특성을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 본 결과, 브라질 한인 사회의 인구는 지난 5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한인들은 주로 브라질의 남동쪽 지역에 집중하여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수가 자영업에 종사하지만 절반이 넘는 한인들이 무주택자로 남아 있으며, 유입되는 대졸자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도소매업에 종사하는 한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브라질 한인사회의 일반적 특징과 함께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의 생애사는 시기별로 생애 전환점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그 주제는 1) 개인과 가족전략으로서 결혼이주 2) 초기 ‘결혼’ 이주자의 삶과 적응 3) 의류봉제업을 통한 이주‘노동자’, 그리고 가장 4) 브라질 ‘한인’여성으로서 삶의 안정과 노년기로 정리되어진다. 이 생애과정들은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의 삶의 행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으로 매 시기마다 삶에 대한 전략을 가지고 브라질 한인이주여성의 삶을 살아나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사례자는 41년간 브라질 한인여성으로 아내, 어머니, 며느리, 의류봉제사업가, 교인이라는 사회적 위치에 맞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생애사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rough a life history of a Korean immigrant woman, Jung-Soo Im, and an analysis of five decades of Brazilian census data to capture the socio-historical context for her life in Brazil, this study begins with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Brazil as well as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unity in the country. At the later part of this article, her life history- underscored by a life changing moment of marriage based immigration to Brazil- is interpreted and analyzed chronologically using a narrative method. Although her life history shares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immigrants in Brazil as reflected in census data, her life is marked bold by some major turning points and she strategically lived her life in given circumstances. Specifically, the major turning points in her life can be themed into four categories of 1) marriage immigration as a family strategy; 2) adaptation to Brazilian society; 3) apparel industry as an immigrant niche; and 4) life adjustment as an elderly immigrant woman. We found that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building her life history in Brazil during the past 40 years performing multiple social roles simultaneously as a Korean woman, wife, mother, daughter-in-law, immigrant entrepreneur, and communicant.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박신규 ( Shin Gyu Park ),박영관 ( Young Kwan Park ),김중욱 ( Jung Wook Kim ),정원우 ( Won Woo Chu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한국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단계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을 하였으며 5단계의 리커트 형식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의 과학교과서에는 한국과학사 자료가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한국과학사를 활용한 교육적 가치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4학년 담임교사의 경우는 다른 학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학사 자료를 교육과정에서 본 차시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applying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202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asked to reply the questionnaire of 5-point Likert scale an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4th grade science textbooks does not include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a majority of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its educational value. 4th grade teachers showe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 on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very positive about including it as the main classe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영유아 양육환경과 발달상태에 관한 연구

        박신규(Shin Kyu Park),이성희(Sung Hee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다문화가족 영유아기 자녀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다문화 영유아 교육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의 모와 교육기관의 교사를 통해 다문화 영유아의 양육환경 및 영유아 발달실태를 파 악하고, 다문화가족의 영유아양육환경 및 발달상태에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에 대한 차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의 양육행동에는 출신국과 체류기간, 학력, 소득수준에 따 라 차이가 나타났고,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발달상태에 대하여 다문화가정의 모는 신체발달을 가 장 낮게 평가하고 인지발달, 언어발달을 높게 평가한 반면, 교사는 신체발달을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인지발달, 언어발달이 낮은 것으로 평가 하였다. 그러나 자녀연령이 증가할수록 모와 교사 들은 영유아의 모든 발달영역의 평점이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문화가정의 영유아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원 하는 비율이 높고 재원기간이 길수록 자녀의 발달상태에 대한 평점도 높 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의 영유아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 복지가 통합된 종합 복 지서비스 지원의 필요성, 영유아다문화가족과 영유아의 발달특성 및 요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 제공, 영유아교육기관 중심의 정책지원 방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verse an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llabuk-do and draw out research data that might reflect their needs with a design customized for the children.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status of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their mothers and their teachers.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ffecting both the parent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statu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find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differ depending on their country of origin, length of stay in Korea,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Regarding the developmemtal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mothers rank physical development lowest and rank cognitive development and linguistic development high: in contrast, the teachers rank physical development highest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linguistic development low. The older the children, however, the higher ratings in all areas of children’s development according to both mothers and teachers. Morever, the higher the rate of children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the children’s attendance, the higher their developmental status rating. Therefore, to suppor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s that integrate education and welfare, provide servic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a method of policy support that focuses o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