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박수미(朴秀美)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본 논문의 목표는 그간 우리 신화 연구의 주된 기조였던 기표에 대한 해석에서 벗어나,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분석방법을 통해 고조선의 단군신화와 고구려의 동명왕신화를 새롭게 조명하는 것이다. 두 신화 간에 존재하는 구조적 유사성과 그 구성 원칙, 통시적이고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기의가 전하는 메시지를 파악하였으며, 단군신화와 동명왕신화가 각각 반대되는 이항의 양축에 위치하는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단군신화는 결핍과 소멸에 대한 두려움을 신이란 개념을 도입하고 인정 함으로써 극복하고자 하는 기원이었으며, 동명왕신화는 과잉과 혼란이 초래할 불안한 미래를 왕에게 지배 권력을 부여함으로써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를 통해 논증할 수 있었던 것은 단군신화가 단순한 개별적 서사나 허구가 아니라 동명왕신화와 공명하는 대비 구조였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론은 고조선과 고구려 간에 존재했던 문화적 유대의 근거로도 기능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ring a new academic view on the national birth myth of Old Choson and Koguryo with the structuralism. Until now, the main stream of Korean myth research is focusing on significant analysis. There are certain structural resemblances between two myths. The constructions of these myths have very similar principle and both of them show recognizable diachronic-universal messages. The Themes of Dangun myth and Jumong myth are located on the two poles of opposite side. The Dangun myth could be understood as a petition for the equilibrium, which is threatened by the Dearth. And The Jumong myth could be understood as an endeavor to avoid from the anxiousness, which is occurred by the superfluity and Chaos, by accepting the King’s authority. What I could approve with this paper is that the Dagun myth and Jumong myth are not two independent stories nor fictional. In the structural view, it is making a perfect harmony with the other myth and in structural contrast with each other. I believe this con clusion also could be worked as the proof of the cultural relation between two ancient countr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수일(朴守一),이희선(李熙善) 한국공공관리학회 201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3 No.1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인 카리스마, 지적자극, 동기부여 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리더신뢰가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서울지역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카리스마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리더신뢰를 통하여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적자극도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리더신뢰를 통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동기부여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리더신뢰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리더신뢰는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책임자들이 향후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지적자극, 카리스마, 리더신뢰, 동기부여 등의 변수들을 효율적인 관리수단으로 채택함과 동시에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력 크기를 고려하여 반영해야 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三島由紀夫「女方」論 - 越境するジェンダーとセクシュアリティの混沌に注目して -

        朴秀?(Park, SooJung)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 硏究 Vol.- No.56

        Yukio Mishima’s novel Onnagata (1957) is an important literary work that represents Mishima’s interest in Kabuki. Mangiku, the main character of this novel, is a male actor who plays female roles in Kabuki, that is, Onnagata. Masuyama, an observer of Mangiku, is intoxicated with the charm of Mangiku, who crosses the boundary of gender. The narrator in this work focuses on Masuyama and defines Mangiku’s gender. Previous studies have not offered sufficient reviews of Masuyama till date. However, this paper analyzed, in detail, how Masuyama recognizes and names Mangiku’s gend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suyama derives femininity from the appearance of Mangiku behind the stage, regardless of Mangiku’s gender identity, and calls Mangiku “her,” a female pronoun, after knowing about Mangiku’s same-sex love. This confusion between gender roles and sexual orientation represents a contradiction to the sexuality expressed by Onnagata, and the gender norm of heterosexuality is latent in the background. Moreover, Onnagata received relatively lesser attention among Mishima’s novels depicting male homosexual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worthy of re-evaluation. This is because Mishima also applied a number of motif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Confessions of a Mask (1949) and Forbidden Colors (1951-1953), to Onnagata. Therefore, Onnagata needs to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se preceding texts.

      • KCI등재

        日本と植民地朝鮮における性科学言説の展開とその相違に関する一考察

        朴秀?(Park, Soo-Jung)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 No.91

        Sexology, which flourished in Europe in the 19th century, regards sexuality as representative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It is a discipline that classifies individuals as “correct” or “incorrect” based on their sexualities and ostracizes those with non-normative sexualities. Sexology,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orms pertaining to sexuality in modern Western civil society, began to be imposed in Japan between the end of the Meiji era and the beginning of the Showa era, and the idea reached colonial Chosun through Japan.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sexology became known in Chosun, mainly by intellectuals who had studied in Japan and delved into sexological works through Japanese materials. However,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are any aspects of sexology in Chosun that differ from the sexology prevalent in Japan and, by extension, in the West. On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 that Western sexology considered confessions of individuals regarding their non-normative or “perverted” sexual desires as “cases,” relying on such information to substantiate their sexological theory. In addition, Japanese sexology reproduced sexological discourses according to such a mechanism. However, since the social and literary backgrounds of Chosu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Japan and the West, individual confessions are not found when searching the works in which the knowledge of sexology was sta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uch differences to clarify how sexology in Chosun progressed differently than in Japan, despite its Japanese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