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효과를 위한 현지화 전략의 실패: 카카오톡의 일본시장 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황,김태중,남윤성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6 국제경영리뷰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대표적인 사례인 ‘카카오톡’이 일본시장에 진출을 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SNS 비즈니스는 스마트폰에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 가입자들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이므로, 가입자 수 확보를 통한 네트워크효과(Network Effect)가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독보적인 성공을 거둔 카카오톡은 일본으로의 국제화를 시도하여 일본 가입자 수의 확보에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2011년 8월에 처음으로 일본에 진입한 카카오톡에 비해 2000년부터 ‘한게임’을 내세워 일본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이미 전개하고 있던 ‘네이버’의 ‘라인’은 축적된 일본시장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현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카카오톡에 비해 2개월 여 선도진입한 장점을 통해 가입자 수 경쟁에서 카카오톡에 승리하게 된다. 이후 카카오톡은 일본에 대한 현지화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야후재팬’과 2012년 10월 합작투자를 진행하고 일본시장 탈환에 나서지만 뒤처진 가입자 수 경쟁을 끝내 역전시키지 못했고 누적 손실은 증가하였으며 결국 2014년 11월 야후재팬과 결별하게 된다. 카카오톡은 국내에서의 독점적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지역적으로 가까운 해외시장인 일본에 진출하였으나, 일본 내 소비자들에 대한 경험과 지식의 부족, 경쟁기업이 구축한 네트워크효 과를 극복하지 못하고 2번에 걸친 진입방식의 수정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의 ‘싸이월드’ 등의 실패사례와도 유사한 유형으로서, 향후 일본시장 진출을 시도 하는 국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기업들에게 반면교사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실증분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case study of Korea's leading Social Network Service(SNS) KaKaoTalk's Japanese market entry process. SNS business is a service for users to exchange information by downloading smartphone applications. The special feature is that its services are important for securing new users through network effect. As a leading SNS star application in Korea, KaKaoTalk attempted to internationalize Japanese market and focused on securing new Japanese users. However, in comparison to KaKaoTalk, Korea's another leading SNS application; Hangame by Line owned by Naver; Korea's leading search engine which provided localization service by accumulated its market entry experience and won over KaKaoTalk by advantage of two month early market entry experience. Since then, KaKaoTalk's effort to increase localization level in Japanese market, KaKaoTalk strategically formed joint venture with Yahoo Japan in Oct. 2012 and attempted to secure more users and reclaim Japanese market, however, it failed to overcome its competitor by numbers and the accumulated debts increased and eventually split with Yahoo Japan in Nov. 2011. Although KaKaoTalk attempted to enter Japanese market by monopolistic competitive advantage in Korea, however it failed to overcome network effect by its competitor, lack of Japanese market experience and eventually failed to enter Japanese market with two revised market strategies. It is a similar failure case by ‘Cyworld’ and a good failure example for Korean ICT companies to enter Japanese market and implies for the necessity of additional experimental analysis.

      • KCI등재

        국내 보안업체의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 : 이글루시큐리티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황,박은정,장경배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9 산업혁신연구 Vol.35 No.1

        In this pap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Company, Igloo Security’s international market advancements are examined. The method of entry and strategy was split into three parts (Initial, second entry and re-leap) and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gloo Security has entered the US and Japan, which are the centre of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its competitive advantage in Korea, in the form of a green field. Soon after, Igloo Security contracted the largest “Ethiopian country Cyber Safety Center Construction Project ". Especially, based on exclusive technologies that Igloo Security have, they were able to introduce ESM Solutions, control operation technologies, education, and various security service to Ethiopia. While economic crisis happened, they faced difficulty in advance to overseas. However, Igloo Security focu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is future growth power through digital transition, they were able to solve security problems all over the IoT lifecycle and creating new business value. As a result, Igloo Security was able to re-leap with digital transition’s core element IoT and mobile marketing platform. Igloo Security settled these problems with Digital transition, introducing Secure IoT platform, and Strategic M&A. Currently, they become a global security management company. 본 연구는 국내 정보보호업체로 대표적인 “이글루시큐리티”가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진입방법 및 전략 등에 대하여 총 3단계(초기, 2차 진입, 재도약)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이글루시큐리티는 국내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정보보안의 중심인 미국, 일본에 그린 필드(Green Field) 방식으로 진출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글루시큐리티는 단일 해외 계약 건으로는 최대 규모인 “에티오피아 국가사이버안전센터 구축 사업”을 수주 하게 된다. 이렇게 수주한 사업은 이글루시큐리티가 보유하고 있는 독점적 기술을 바탕으로 ESM 솔루션 그리고 관제 운영기술, 교육 등 여러 보안 서비스를 에티오피아에 도입하면서, 에티오피아의 금융망과 국방망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관제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글루시큐리티는 세계 금융위기로 해외 진출의 어려움이 발생하면서 고비를 겪게 되었다. 이글루시큐리티는 경영전략을 수정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맞추어 디지털 전환하게 된다. 디지털 전환은 미래 성장 동력인 IoT(사물인터넷) 모바일, AI(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에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글루시큐리티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핵심요소인 IoT와 모바일 활용한 마케팅 플랫폼전략으로 재도약을 하게 되었다. 그 후 디지털 전환 및 IoT 플랫폼(Secured IoT Platform) 출시와 전략적 M&A를 통해 해외진출 문제를 해결하였고 결국 글로벌 보안관리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뚜레쥬르의 중국시장진출 사례연구: 마스터프랜차이즈 방식을 중심으로

        박수황,김태중,남윤성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7 국제경영리뷰 Vol.21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베이커리 업체인 뚜레쥬르가 중국 베이커리 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있다. 진입방법, 추구한 전략 등에 대하여 현지의 기업 및 국내기업의 방식과 비교하며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뚜레쥬르는 중국 베이커리 시장에 초기 진입 당시 그린필드(Green Field) 방식으로 진출했으며 직영점을 이용한 방법으로 매장을 확장해 나갔다. 하지만 비싼 임대료, 무리하게 점포 오픈, 그리고 종업원들의 서비스 마인드 부족 등으로부터의 문제점들이 발생하면서, 뚜레쥬르는 직영점의 운영과 동시에 마스터 프랜차이즈 (Master Franchise)형태의 투자방식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렇게 전략을 수정한 뚜레쥬르는 직영점을 통하여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를 고수 및 강화해 나가고, 마스터 프랜차이즈를 통하여 제품별, 지역별 현지화를 통해 중국 내 각 지역에서의 요구에 부합하는 운영을 할 수 있었다. 직영점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Master Franchise)를 동시에 진행한 투트랙(Two-Track) 전략을 통해 중국 내 6개 주요 도시와 9개 성 및 1개 자치구에 신속하게 진출할 수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매출액 증가를 누릴 수 있었다. 이후 뚜레쥬르는 선진 베이커리 기술 이전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식품위생 향상 등 현지 문화수준 향상에도 기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뚜레쥬르는 투트랙 (Two-Track) 전략을 통하여 중국 외 8개 국가에서 매장을 개설 되었고 결국 글로벌 매장 수가 총 210개로 확장되면서 국내 1위 업체인 파리바게뜨의 글로벌 매장 수도 넘어서게 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ocess of Chinese market penetration of Tous les Jours who is in charge of bakery business of CJ group. It covers the entry mode, strategy, etc. in comparison with those of foreign and domestic competitors.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uld find that Tous les Jours entered Chinese market by green field mode at first, and increased its direct management stores in the early stage in order to build premium brand image in China. However, Tous les Jours changed its entry mode into master franchising, still operating direct management stores at the same time. It is because Tous les Jour has faced expensive rent, impractical store growth, and lack of service mind of employees, when it opened and operated direct management stores. After changing its strategy, Tous les Jours could keep and enhance its premium brand image through direct management stores as usual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Tous les Jour additionally could respond local demands of each region of China through master franchising. Tous les Jours conducted this two-track strategy which enabled it not only to penetrate rapidly into 6 large cities, 9 provinces, and 1 autonomous region but to achieve rapid sales growth concurrently. Tous les Jours is now endeavoring to enhance the level of food culture of China in some aspects such as safe and sanitary food by advanced bakery technology. Through above two-track strategy, Tous les Jours has opened up to 210 global stores in 8 countries even except the stores in China at the end of 2015. And this number is the biggest number of bakery stores which exceeds that of Paris Baguette who is one of the best bakery player in Korea.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이 글로벌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수황,김광호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1

        최고경영자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최고경영자의 신뢰, 명성, 역할, 가치관, 영향력, 해외 경험 등의 다양한 특성이 기업의 사회적・재무적・기술성과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주로 탐구해 왔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경험과 이해 정도는 기업의 전략과 기업 성과에 다양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지만, 그러한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이 기업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이 기업의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과 조직민첩성, 기업혁신, 그리고 글로벌 지향성의 관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총 255개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이 조직민첩성과 기업혁신에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민첩성과 기업혁신이 글로벌지향성에 정(+)의 영향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고경영자가 높은 수준의 디지털역량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디지털 환경에 대해서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고, 기업혁신을 통해 외국인 비용을 지불하고도 해외에 진출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최고경영자 이론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환경에서의 최고경영자가 어떤 역량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또한, 본연구가 더 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디지털역량에 대한 초점보다 최고경영진이나 중간관리자까지 포괄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디지털 전환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RSN중심으로

        박수황,장경배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2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8 No.3

        Corporations operate within long term strategy. The Chief Executive Officer (CEO) makes decisions and has responsibility for all executive activities which affects the corporate performance. If the CEO makes strategic choices through reasonable decision making, it could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corporate’s rise and fall. So the CEO's decision making is very important. As rapid change in the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 happened, through digital transition, corporations have been working on increasing corporate performance by practical and academic methods. However prior research was restricted to CEO’s affect on organization, innovation or innovative activitie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linking CEO’s characteristics to digital transi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the digital age is coming, research on how CEO’s characteristics affect digital transi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direly needed. From the case of domestic Big Data corporation RSN Co. ltd’s digital transition success,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CEO, digital transi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prior researches, and developing research model and research proposition was set. Research was performed on RSN co. ltd’s case analysis, and how characteristics of CEO’s matter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proposition, when the CEO conjugates digital technology, the corporation was able to successfully complete digital transition and it also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lso, this research’s other point is that CEO’s may have limits on thoughtful decision making.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try an empirical study in the future. 기업은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영활동을 책임지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최고경 영자(CEO: Chief Executive Officer)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경영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전략적 선택을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기업의 흥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고경 영자의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급격한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변화로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업성과를 높이고자 학문적, 실무적으로 많은 노력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조직·혁신성 과, 혁신 활동 등에 관한 연구로 한정되었고,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디지털 전환과 기업성과에 연결되는 연구는 너무나 부족하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 해 연구해 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국내 빅데이터 업체인 ㈜RSN사례를 통해 최고 경영자의 특성, 디지털 전환, 기업성과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 명제를 설정하여 ㈜RNS의 사례분석을 통해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디지털 전환과 기업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필수요소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성공하게 되었고 기업성과에 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최고경영자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실증적 연구를 시도해볼 필요성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개인정보 유출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판례를 중심으로

        박수황,장경배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6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3 No.3

        본 논문은 개인정보유출 사례를 분석하여 개인정보유출방지 및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공공기관, 민간기업 그리고 개인 모두에게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 불법 개인정보 수집 처벌 강화 즉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수집할 경우 강력한 민․형사상 처벌이 이루어 저야 할 것이다. 두 번째, 개인정보 불법 공유 및 불법거래에 대한 처벌 강화이다. 세 번째, 직원 보안 교육 및 보안관리 체계 확립이다. 기존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들은 연간 2회 정도 내부 직원 보안교육을 실시 하지만 실질적으로 기업여건 등으로 인해 보안교육을 미실시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주기적으로 관리 감독을 통해 민간 기업들을 관리를 해야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 개인의 스마트기기 및 PC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In this paper, we provide not onl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nd its implications by analysing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ut als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First improvement is the intensification of penalty for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illegally, that is to say, when somebody collect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consent of all parties. severe civil and criminal penalties could be imposed. Second is the intensification of penalty for sharing and trading personal information illegally. Third is to establish the system of security education training for employee and security management.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already offerd security education training to theirs employees twice every year, but the number of businesses offering security education training by the rules due to the business conditions is decreasing. Therefore, public organizations control private organizations through a periodic management and supervision. Finally, individuals need to manages rigorously their smart devices and PC.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개인정보유출에 대안 사례연구

        박수황,장경배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4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1 No.6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싸이월드, Facebook, Twitter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통해 사회적 관계(인적 네트워크)가 보편화 되었다. 특히 개방성을 근간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다양한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빠르게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발전 가운데 소 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사용자들에게 느끼지 않을 정도로 많은 역기능이 노출 되어 사용자들에게 피 해를 주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점으로 봐야 될 것은 개인정보 유출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관리체계 중 보안관제의 필요 성을 확신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Cyworld, Facebook, Twitter, social relation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was common Korea Since 2000. and the social relationship (human network) was generalized. It had been being rapidly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various user and applications and the inverse function which is a lot among this development as much as Not feel from the users amo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exposed and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ich especially has openness with the basis is causing a damage to the users and judging as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o should see that medium as the pivotal point most. In order to minimize the pivate information leak incident through this case study accordingly, it's convincing of the need of the security control among the technical administration system.

      • KCI등재

        공직자의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 만족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수황(Park, Sool Hwang),김미향(Kim, Mi Hyang),장경배(Jang, Kyung Bae),김태중(Kim, Tae Jo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업무 자율성, 업무수행역량, 직무 만족과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이를 정부 중앙·지방부처의 조직성과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조사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습득했고 이를 분석에 활용했다. 또한,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46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은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정(+)의 관계에 대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의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직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의 직무 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상정한 가설이 모두 지지가 되었고, 그 결과로 그간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는 동시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에 대한 변수들이 직무 만족과 조직성과에 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개인, 조직 차원서 영향을 주고 이는 곧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으나 기존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국가 차원으로 전이되는 구성 요소를 찾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public servant educational training on organizational success was empirically analysed. For this purpose, variable for analysis was set to four parts, public servant’s educational training, work autonomy, work performance capability, job satisfaction, and verified a 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Federal-Provincial Government’s organizational success. Subject of analysis was aggregated from the 2018 Survey of Public Servant’s Life,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ith information from Public Information Portal, and used for the analysis. Moreover, research empirical analytics subjects were from 46 Federal Departments, and 17 Provincial Government’s general Public Servants. Analysis results tell that Public Servant’s educational training affected their work performance and work autonomy positively and the theorem that their performance would be affected positively was confirmed. Moreover, Public Servant’s work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ir work performance and work autonomy positively. Lastly, Public Servant’s work satisfaction also affected organizational success positively. All of the theories presented by the researcher were adopted, which could be used for explaining that the study on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which had been relatively lacking, has been expanded, and the variables of work autonomy and work performance can be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clusion, it was analyzed assuming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would affect the autonomy of work and the performance of work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which would soon spread to the national level. However, there were limits for the current data, and it was not analysed practically. In future research,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to analyse how public education and training of public servants find and influence the components that are transferred from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to national level.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역량이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수황(Park Soo Hwa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기업전략과 성과 부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변수는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고경영자는 디지털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신사업과 의사결정 부분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역량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함과 동시에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기술 부분에서 자질과 효과에 대해서 실증분석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지식, 활용이 조직 민첩성과 연구개발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학습이 조직 민첩성, 연구개발 투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업의 조직 민첩성, 연구개발 투자는 혁신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고경영자가 디지털 역량이 높으면 불확실한 환경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고, 혁신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제품이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미비했던 사회적 현상을 디지털 역량이라는 새로운 렌즈로 살펴봄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을 밝혀내는 것과 동시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최고경영자가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digital competence on Innovation Activities in chief executive officers.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how had an impact on corporate strategy and performance. Howeve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CEO’s digital capability in the recent rapidly-changing digital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is paper aimed to provide a new concept, CEO’s digital competence and at the same time, verify CEO’s digital qualifications and effec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CEO’s digital knowledge and utiliz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orkforce agility and R&D investment But it was revealed that CEO’s digital lear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kforce agility and R&D investment and that corporate workforce agility. R&D investment and workforce agility and R&D investment had a significant Innovation Activities significant impact. It is considered that if CEO’s digital competence is high, he can recognize the uncertain environment quickly and through Innovation Activities it is judged that they can acquire new products or competitiveness.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in that the thing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precedent researches came to be revealed by looking at the social phenomenon incomplete in the precedent researches from the new lens of digital competence and at the same time, CEO’s digital competence is not an option but a must in digit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