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독서론과 독서 방식의 변화 -18세기 연암일파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박수밀 ( Park Su-mil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3 No.-

        This study observed the reading theory and the change of reading ways, so examined the intellectual attitude and the change of interests of highbrows. The reading of purpose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was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making the teaching of the sages. But realists pursued the truth and the pure pleasure with realistic interest. Till the middle Chosun Dynasty, they complied with a reading way of accepting of sages words. But Sungho school(성호학파) thought important of doubting objective actuality. Yunam school(연암학파) were aware of the changeability of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language. So they emphasized on the inside of readers. Till the middle Chosun Dynasty, required reading tought the codes of ethics and diciplines. However, the late Chosun Dynasty intended open society. A lively reception the Collection of the last period of Myoung era and the early of Chung era and reading heat changed cultural climate into emphasizing on wide reading and the erudition. Through the Chosun Dynasty, the highbrows samely doubted, emphasized on emptiness, talked about practicalism, but their aspect were different. They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in what doubting, what empty. The later highbrows regards characters as living universal natare, doughted everything, so they brought distinct reading ways and attitudes. Moreover, they rediscovered the existence of friends, carried on negotiations with the outside, amassed riches, so it enlarged scope of reading and leavened reading ways.

      • KCI등재

        노계 박인로 가사의 연구 경향과 연구사의 쟁점

        박수밀(Park, Su-mil)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7

        본 논문은 노계 가사 문학을 중심으로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노계 가사를 둘러싼 여러 쟁점을 살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노계 가사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다. 노계 가사의 창작 시기, 개별 가사 작품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경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노계 가사의 공간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다. 노계 가사의 공간은 영남 지역이라는 장소성이 두드러진다. 노계의 장소 경험, 지역의 로컬리티, 공간의 사회 정치적 상징에 더욱 주목하면 좋다. 나아가 노계 가사의 전환기 특성과 양면성을 깊이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노계 가사를 둘러싼 쟁점에서는 먼저는 작품의 창작 시기와 작가와 관련한 논란을 짚어보았다. 이어 첨예한 논란이 되어온 노계의 신분과 경제 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계의 신분이 한미한 향반(鄕班)인지 영향력 있는 사족인지는 작품을 해석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노계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도 영향을 준다. 여러 학자의 주장을 종합해 볼 때 노계는 한미한 처지의 향반이고 「누항사」에 나타난 화자의 처지는 노계의 실제 생활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고자 한다. 양반이면서 한미한 위치였고 경제적으로 매우 곤궁했다는 사실은 노계 가사의 문학성을 다시 점검하게 한다. 노계의 도학적 세계관은 한 개인의 치열한 실존적 고뇌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노계 가사의 초간본 작품을 잘 살펴 노계 가사에 나타난 작가의 진솔함, 발분(發憤) 의식, 인간적 고뇌 등을 읽어낸다면 노계 가사의 독자적인 문학성이 더욱 드러날 것이다. 요컨대 노계는 독특한 문학세계와 빛깔을 지닌 가사 문학 전문 가객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하며 노계 가사는 공간 미학과 양가적(兩價的) 내면 의식 층위에서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sum up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y in terms of the lyrics of Nogye’s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after reviewing many aspects about his lyrics. First of all, it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study for the lyrics of Nogye’s, especially of the writing periods and the current study status for his each lyrics. From this first approach, the location issue of his lyrics is to be considered seriously. It is a location, Yeongnam province. The key points are Nogye’s personal experience in this prov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ocation, and political, social symbols of its.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the feature of exchanging terms and the ambiguity. From the point of disputing issues of his lyrics there are writing period and writer himself. And then the critical issues about his social position and financial status are to be traced. The clarification of his social position, whether a low local elite or a nobleman, gives critical effect in interpreting his writings and in setting up his literary status. It turns out from many scholars’ opinions that Nogye was a local elite and it would be better to understand that the situation of narrator in ‘NuHangSa’ is actually Nogye’s real life. The fact that he was a mere local noble with humble financial status leads to renewing his literary property. His ethical point of view is to be reviewed in terms of his personal existential concern. Along with it, if the writer’s authentic, his disclosed awareness, human concerns would be found in his lyrics, by reviewing the works of his first drafts, the unique literary value of his lyrics could be discovered. In short, Nogye is to be considered as a great writer of unique literary points of view and his own colours, the study of his lyrics shall be continued more actively, considering space aesthetics and ambivalent inner consciousness.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조선후기 대청(對淸) 의식과 문화 수용 논리

        박수밀 ( Su Mil Park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본고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封淸 의식과 他 문물 수용 논리를, 팔자의 안목에 의거해 ``문화 수용``의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해 본 것이다,華夷觀, 北伐, 北學 담론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접근했다. 먼저는 타문화 접촉의 핵심 공간이었던 북경의 유리창에 대해 살펴보고, 조청 간의 좋은 교류 여건에도 불구하고 교류를 가로막았던 요인을 생각해 보았다. 문화 교류를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북벌과 對明義理였고 그 이론적 기반은 화이론이었다. 북벌의 완고한 이념과 조선만이 中華라는 인식은 배타적 우월주의를 낳았고 정당한 문화 교류를 가로막았다. 그리하여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강대국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려는 지식인들의 노력을 살펴보았다. 특히 北學派인 홍대용, 박지원에 이르면 생활양식을 도덕 윤리로부터 분리하는 진정한 문화 의식이 이루어졌으며 지역, 민족, 문화의 상대성까지 이르렀다. 이를 토대로 小中華 의식과 朝鮮中華主義, 북벌과 북학의 인식 거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학파의 문화 수용 태도에는 먼저 자신을 반성하는 태도와 더불어 他者를 존중하고 타자와 相生하려는 의식이 담겨 있었다. This study is the general approach, in terms of receiving the culture. to the attitude, of the intellectual against Ch`eong Dynasty and the theory of receiving the culture, by the writer`s point of view. Its approach is made in a sense of ``Wha-Lee-Ron`` (Considering China as a barbaric country), Book-Beol`(Conquering the north) and ``Book-Hak``(the study of the north). First of all, it examines Liulichang of Peking, the main place of contacting the other culture and the reasons to block the culture exchange in spite of good condition of it between Chosun Dynasty and Ch`eong Dynasty. The main big obstacles were ``Book-Beol`` and the strong previous friendship with Myoung Dynasty, its theoretical base was ``Wha-Lee-Ron``. The firm idea of ``Book-Beol`` and Chosun Centralism has caused the closed chauvinism, blocking the reasonable cultural exchange. Then it found the effort of the intellectual to receive the advanced the products of culture of the powerful nation, realistically and objectively. Especially. Hong Dae-Young, Park Jee-Won, the party of the study of the north, have realized the sense of culture to divide life style from moral ethics, leading the relativism of region, race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his, it revealed the distance of appreciating ``Small China``, ``Chosun Centralism``. ``Book-Beol`` and ``Book-Hak``. The attitude of the scholars of the study of the north contains the attitude of self-reflection, of respecting the others and of coexisting with the others.

      • KCI등재

        『熱河日記』 伯夷 記事의 형상화 방식과 쓰기 전략

        朴壽密 ( Park Su-mil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본 논문은 『熱河日記』 伯夷 기사의 형상화 방식을 살펴 燕巖의 은밀한 쓰기 전략을 이해하고 백이 기사가 지닌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는 백이 신화의 형성 과정을 정리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백이 기사의 작가 의식을 살펴보고 연암이 어떠한 방식으로 백이 기사를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았다. 백이 기사에는 세 개의 일화가 나오는데, 공통으로 고사리가 주요 소재로 등장했다. 연암은 고사리가 해를 끼치는 독물이라고 함으로써 백이 의리를 신봉해온 春秋 義理論者의 허위의식을 조롱하였다. 백이에 대해 풍자의 영역까지 나아간 작품은 백이 기사가 유일하다. 다음으로 연암이 어떤 방식으로 백이 기사를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백이 기사는 날짜를 재배치하고 입체적인 구성을 하였다. 『열하일기』 7월 27일의 백이 기사는 본래 7월 26일에 일어난 일이었다. 날짜를 바꾸어 일화를 수록한 것은 전략적인 배치였다. 7월 27일의 백이 기사는 과거의 이야기에 다시 더 과거의 일화 2개가 들어 있는 구성이고, 세 개의 일화는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암은 과거를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기술함으로써 자신이 글의 책임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두 번째는 객관적 거리두기이다. 연암은 자신이 사건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거리두기를 하였다. 이는 자신에게 가해질 비난에서 빠져나가기 위한 쓰기 전략이다. 백이 기사에는 하나의 일화가 끝날 때마다 주위 사람들이 모두 웃었다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 또한 연암의 의도된 표현 방식이다. 세 번째는 사건의 戲畫化이다. 백이 기사에서 풍자의 칼끝은 대상 자체를 겨누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꺼낸 말에 있었다. 『열하일기』의 백이 기사에 이르러 백이는 희화화되고 춘추 의리는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연암은 노련한 쓰기 전략을 통해 풍자를 희석함으로써 일화가 과거의 가벼운 小品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This study is to appreciate the writing strategy of YeomAm and its meaning of Baekui articles by reviewing the way of embodying those articles. The first approach is to sum up the process of making Baekui mythology. On this approach, the writer consciousness of Baekui articles is to be examined and the process of embodying to be analysed. In Baekui articles there are three episodes, in all the bracken is found as a key common element. YeonAm considered bracken as a harmful plant, in this way he ridiculed the empty formality of the supporters of the Spring & Autumn period of praising Baekui royalty. The Baekui articles are the only one satire work about Baekui. Then the way of embodying those Baekui articles is to be researched. Firstly, in Baekui articles there are rearranged dates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 『Yeolhailggi』 the Baekui article on 27th of June was the story happened actually on 26th of July. This is strategic rearrangement in writing. The article on 27th of July is rearranged and ha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borrowing two more older previous episodes on the past story. He tried to be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of writing in a way of just rearranging and telling the past stories. Secondly, it is to make objective distance. YeonAm made a distance, not involving directly in the events by himself. It is the strategy of writing to be free from any expected criticism to himself. There are expressions about people laughing at final moments of each episode, it also is his intentional way of expression. Thirdly, it is to make caricature of story. The final target to be criticized in Baekui articles is not to the objects themselves, but to the talks of theirs. In Baekui articles of 『Yeolhailggi』, Baekui is to become caricatured and the fidelity of Spring & Autumn period to be ridiculed. YeonAm made intentionally the episodes light happening by diluting satire with skilled writing strategy.

      • KCI등재

        조선후기 산문(散文)에 나타난 꽃에 대한 인식과 심미의식 - 리옥(李鈺)의 산문과 신문체(新文體) 작가들의 꽃에 대한 비유를 중심으로 -

        박수밀 ( Su Mil Park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 논문은 꽃에 대한 탐구의 하나로써, 조선후기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심미의식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이옥의 산문과 신문체 작가들에게 나타나는 꽃에 대한 의식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는 고전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기록들과 꽃을 대하는 유학자들의 보편적인 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산문에 나타난 꽃에 대한 심미 태도를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는 산문 작가 가운데 꽃을 가장 미적으로 바라보았다고 판단되는 이옥의 꽃에 대한 심미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을 관습적이고 윤리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지않았다. 이옥이 꽃에서 주목한 것은 꽃의 운치와 향기가 아닌 꽃의 변화와 사라짐이었다. 그는 꽃의 사라짐에서 무상성과 두려움을 느꼈는데, 이는 다른 문인들에게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이옥 고유의 감수성이었다. 이 지점에 문학이 도덕에서 분리되는 유미주의 정신이 있다고 보았다. 또 하나는 조선후기 신문체 작가들에게서 보이는 꽃의 비유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글의 독자적 개성, 문체의 다양성을 주장하는 글에는 꽃을 비유로 든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들 신문체 작가들은 글의 다양성에 대한 정당함을 주장하기 위해 꽃의 생태를 끌어들였다. 이들은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고 상대방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꽃을 선택했다. 신문체 작가들이 꽃을 핵심적인 비유 대상으로 삼은 것은 당시 꽃 애호 풍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한편으로 같은 신문체 작가들일지라도 각기 성향에 따라 꽃에 대한 취향이 다르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꽃에 대한 비유가 인간과 삶이 아닌 글쓰기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은 꽃이 윤리와 도덕의 영역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a kind of observation of flowers, to reveal the esthetical awareness shown in the pro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recognition of flowers presented in the prose of Ok-Lee and the new style wri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records of flowers in classics prose and the common understanding of Confucian scholars for flowers. On the basis of these, it approaches the aesthetical attitude toward flowers in the pro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with two aspects. First, it focuses on the aesthetical awareness of Ok-Lee who among all writers is considered as the best writer looking into flowers in an aesthetical way. Ok-Lee did not look into flowers in a habitual and ethical way. His point of viewing flowers is not on the picturesque or perfume of them, but on the change and evanishment of them. In consideration of evanishment of flowers, Ok-Lee felt fear and frailty, which are not usually the characteristic views from any other writers, but they are very unique in Ok-Lee`s sensitivity. In this point, an aestheticism has been initiated, which departs the literature from ethics. Another point of view comes from the metaphor aspects of flowers shown among the new style writers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writings in the late Chosun searching for the unique personality and the variety of writing style had the common point that they contained the metaphor of flowers. These new style writers attracted the ecology of flowers in order to urge the legitimacy of variety in writing. They chose flowers to increase the power of persuasion to their opinion and to make others understood more effectively. The fact that prose writers used flowers as the main object of metaphor is deeply related with the trend of loving flowers. Meanwhile, even the same prose writers had different tast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liking. The fact that the metaphor of flowers was made in a level of writing, not of human or life, reveals that flowers was getting out from the domain of ethics and morality.

      •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박수밀 ( Su Mil Park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문무자(文無子) 이옥(李鈺, 1760-1815)의 작품에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한 것이다. 먼저 생태 글쓰기의 개념을 점검하고이옥에게서 생태 글쓰기를 살피려는 근거를 알아보았다. 이옥은, 작가는 의지적 주체가 아니며 천지만물이 작가를 빌려 글을 쓰게 하는 것이라 한다. 그리하여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셋으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이옥은 만물은 제각기 모두 다르고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간다고 한다. 이옥의 글에 흔히보이는 반복과 열거 표현은 모든 존재가 가치 있고 동등하게 관심 받아야 한다는 이옥의 생태적 세계관을 반영한 글쓰기이다. 둘째 이옥은 벌레의 존재성을 통해인간의 모습을 투영한다. 이옥은 인간과 벌레를 같은 종(種)으로 바라보아 모든존재는 동일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벌레의 생태에서 인간의 모습을 병치시키고 인간의 내면을 성찰케 하는 글쓰기를 수행한다. 셋째, 이옥은 사물의 입장으로 돌아가 사물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는 의인화 방법을 쓴다. 본래 의인체 산문은 사대부들의 지적인 교양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옥은 사물의 본질을 담아내기 위해 의인화를 활용했다. 다음으로, 연암 박지원과의 비교를 통해 이옥의 생태 글쓰기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옥과 연암은 사물을 대하고 바라보는 시선이 유사했다. 둘은 쓸모없다고 배척했던 존재에게 더 관심을 갖고 이들을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둘은 차이가 있었다. 연암의 생태 글쓰기가 인간과 사회를 교정하고 개선하는데 있다면 이옥의 생태 글쓰기는 사물자체가 갖는 아름다움, 사물의 생태적 특성에 의미를 두었다. 그런 점에서 이옥은 고전문학사에서 특별하게 심미성을 지향한 작가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Ee Ok’s works, and to find its meaning. First of all, it reviews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and researches for the basis to investigate into his ecological writing. It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his literature. Firstly, EeOk considered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different and survive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ways. The way of repetition and enumeration expression in his writings proves that all existence is valuable and worthy of deep concern as his ecological point of view. Secondly, he reflected a feature of human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insect. He considered human and insect as the same species keeping the same attribute. So he placed the ecology of insect and the features of human in juxtaposition, carried out his own writing to introspect human inner world. Thirdly, Ee Ok stands on the position of things and talked as they talk in their position in a way of personification. Basically the prose of personification had been a way of representing intellectual refinement of noble men. But Ee Ok’s personification was to include the nature of things. After all, this study searches for the meaning of Ee Ok’s ecological writing, comparing with Yeon Am, Park Ji-Won’s ecological writing. Ee Ok and Yeon Am have similar point of view toward and about things themselves. Both have deep concern and interest in the things considered as worthless by others, took them as the objects for learning. But there is different point. Yeon Am’secological writing tended to rebuild and develop human and society, but Ee Ok’s ecological writing found the meaning on beauty of things themselves and on their ecological features. In this sense, Ee Ok is an aesthetic writer in a specific position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소통의 맥락에서 본 조선후기 우정논(友情論)의 양상

        박수밀 ( Su Mil Park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소통의 맥락에서 조선후기 우정론의 양상을 살핀 글이다. 먼저는 조선후기에 우정 논의가 활발해지게 된 현상을, 소통 부재의 현실이라는 관점에서 짚어보았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우정론의 층위를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자기와의 소통이다. 이 태도는 외부와의 소통을 거부하고 자신과 소통하는 행위이다. 나는 나를 벗 삼겠다는 말에는 자아와 소통함으로써 자기를 지켜나가겠다는 삶의 의지가 담겨 있었다. 두 번째는 공동체 내부와의 소통이다. 이는 같은 뜻을 지닌 이들끼리 모여 공동체끼리 소통하는 경우이다. 주류 사회와 소통할 수 없었던 소외된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집단의식을 공고히 하며 공동체 고유의 우정 담론을 형성했다. 연암 그룹은 친구를 가족 개념으로 이해했고, 남인은 『교유론』을 수용하여 ``친구는 제2의 나``라는 생각을 적극 받아들였다. 이들이 관심을 가진 것은 집단 내부의 이익이 아니라 더 나은 세계를 위한 고민이었다. 세 번째는 이방인과의 소통이다. 담헌과 항주 세 선비와의 우정은 조선 지성사에서 가장 창조적이고 진정성 있는 소통이었다. 이들이 天涯知己를 맺은 과정을 통해 진정한 소통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요컨대, 우정은 두 존재가 대등한 관계에서 만나는 것이기에 소통의 의미를 되새겨 보기에 좋은 제재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spect of friendship theory in terms of communication in the late of Chosun. Firstly, it reveals social environment and condition causing active talks about friendship, view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reality. On this base, there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 friendship theory. The first aspect is on internal communication with self. This attitude is to refuse extern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only with self. The statement that I want to make friendship with myself contains the strong intention to keep ego, communicating only with self. The second aspect is on internal communication inside community. This case is about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one community having common purpose. Yeon Am group considered friends as family members, Nam Party accepted 『theory of social intercourse』, so a friend was considered as an another self. Their concern was not about the internal benefits of community, but about the better world. The third one is on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The friendship among Dam Hyen and three noble men of Hang Joo became a brilliant communication model of creativity and sincerity in the intellectural history of Chosu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of CheonAeJiGee, the condition of real communication has deeply been considered. In short, friendship is meeting between two different existences in equal relationship, it is a good element to consider the meaning of real communication.

      • KCI등재

        생태 글쓰기(Ecological Writing)의 가능성과 전망

        박수밀 ( Su Mil Park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8

        본 논문은 생태 글쓰기의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을 살피고, 생태 글쓰기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박지원, 이덕무, 이옥, 이규보의 글을 중심으로 논의를 펼쳤다. 먼저는 생태 글쓰기라는 개념을 생각하게 된 동기를 이야기했다. 다음으로 생태 글쓰기를 수행한 작가들의 생태적 세계관을 살펴, 이들 작가들에게서 생태 글쓰기라는 개념을 알아보게 된 정당성을 들려주고자 했다. 생태 글쓰기를 수행한 작가들은 자연 사물도 각자의 삶을 영위해가는 존재이며 인간과 동일하게 소중한 생명이라 생각했다. 나아가 인간과 사물의 근원이 동일하다고 여겼다. 이를 바탕으로 생태 글쓰기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생태 글쓰기는 생태 정신과 글쓰기를 결합한 용어로써 생태적 사고를 바탕으로 사물을 통해 인간의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내는 글쓰기이다. 생태 글쓰기는 생태 사상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작법으로서의 글쓰기 차원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생태 글쓰기에는 작가의 생태적 사고와 아울러 작가가 사물과 교감하여 얻은 발견을 글로 표현해내기까지의 글쓰기 과정을 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생태 글쓰기를 수행한 작가들의 생태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암의 생태 글쓰기는 ``관찰하기 → 발견하기 → 적용하기``의 단계를 거치고 있었다. 사물에서 얻은 발견을 인식론이나 미의식의 문제로 치환하고, 그런 다음 현실 비판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연암의 생태 글쓰기 방식이었다. 이덕무의 경우, 그의 글에서 자연은 도덕을 드러내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된다. 그의 생태 글쓰기에서 자연 사물은 한 인간의 마음을 바꾸는 변화의 장(場)이자 내면을 씻어주는 치유의 공간이 된다. 이옥은 사물의 입장으로 돌아가 사물의 처지에서 이야기함으로써 사물의 본질과 생태를 담아낸다. 사물의 세계를 인간 세상과 병치시켜 사물의 생태로부터 인간을 돌아보게 하거나 생태적 깨달음을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생태 글쓰기가 지금의 현실에서 왜 중요한지를 살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logicality of ecological writing and to consider its meaning. For this reason, the writings of Park Jiwon, Lee Dukmoo, Lee Ok and Lee Kyubo are represented. At the beginning the motivation to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is given an explanation. Then it reveals the world view of those writers to try ecological writing and proves the legitimacy to review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among them. They thought that natural things lead their own lives and they themselves are precious living existence. And more they are the same root as human being. On the basis of this concept, the concept and features of ecological writing have been considered and studied. Ecological writing is a concept of mixing ecology spirit and writing approach, a writing to derive the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f human being through the things in a way of ecological thinking. It is not just to express ecology spirit, but to go up to the level of writing approach. Ecological writing contains the process of writing to express the communication with the things, together with a writer`s ecological thinking. On this base, th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by ecological writers have been revealed. The ecological writing of Yeon Am has the process from investigating through discovering to applying. His writing is that the discovery found in the things is shifted into epistemology and aesthetic sense, then is extended to the critic of reality. In case of Lee Dukmoo, in his writings nature is not just an expression of morality, but the subject to change human being. In his ecological writing, nature things are the subject to change human being and the space to heal the spirit of human being. Lee Ok puts his position on nature, telling something in the position of nature, so he gains the nature and ecology of things. He talks about ecological recognition, caring for human from ecology of thing and placing the world of things and human world in juxtaposition.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writing in today`s world.

      • KCI등재

        조선의 중국 서적유입 양상과 그 의미 -서반(序班)과 유리창(琉璃廠)의 존재를 중심으로-

        박수밀 ( Su Mil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중국의 서반(序班)과 유리창을 중심으로,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중국의 서적 유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서반의 궤적을 따라가며 중국 서적 구입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았다. 서반은 본래 외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일종의 접빈관(接賓官)으로서 서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청나라가 들어선 이후에야 서반은 서적 거래상으로서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서반은 조선의 사신들과 단독으로 서적 거래를 할 수 있었다. 서반은 이 권한을 이용해 가격을 마음대로 올려 폭리를 취하곤 했다. 또한 조선 사신들이 다른 경로로 서적을 구입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방해했다. 그러다가 18세기 중후반 북경 유리창의 등장은 조선의 중국 서적 유입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조선 사신들이 점차 자유롭게 관사 밖으로 드나 들게 되고 유리창이 번성하면서 서반의 통제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유리창에서의 서책 구매는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으며 사신들은 원하는 책을 마음껏 살 수 있었다. 서반의 상행위는 조선 사신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춰졌지만, 금서를 거래하는 데에 서반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으로 조선 사신들이 원하는 책을 구입하기까지에는, 서반과 유리창 서점의 존재뿐만 아니라 이들 출신이 출판문화의 본거지인 강남이라 는 점, 대운하를 이용해 강남에서 북경으로 올라오는 서선(書船)의 존재까지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유리창에서 구입 서적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기록이 별로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금서(禁書)의 문제를 살피고, 서적 구입이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중국 책 유입에는 다양한 동기가 있었으며, 이러한 모습들이 조선 사회의 물줄기를 바꾸는 거대한 역할을 했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of importing Chinese books to Chosun, and its Meaning in terms of SeoBan and Liulichang. Especially it traces SeoBan, the place of playing important role in distributing Chinese books, and looks into changing ways of importing Chinese books. SeoBan was originally like guest house for VIPs from abroad, something different place from books concern. Just after Cheong Dynasty in China had began, SeoBan became the place of distributing books. In SeoBan, they could officially and directly trade with Chosun`s diplomats who wanted importing Chinese books. The traders of SeoBan took the unreasonable high profits and prices by their only right of distribution. They blocked the other ways of exporting Chinese books through or by Chosun`s diplomats. Since the middle and the latter of 18thCentury, Liulichang of Peking made a bigchange in importing Chinese books to Chosun. Chosun`s diplomats could come to China more freely and Liulichang became popular for them, SeoBan became losing the controlling power of books distribution. In Lilichang, they traded quite freely, Chosun`s diplomats could purchase any books as they wanted. Trade and purchase inSeoBan was negative for Chosun`s diplomats, but SeoBan was a good place where they could buy the banned Chinese books. Meanwhile, in a sense that Chosun`s diplomats bought Chinese books, SeoBan and Liulichang had serious sense and role, all the more originally those Chinese distributors came from the southern parts of China, the main center of Chinese publications and distribution, they could transport the books by the special vessels of books, through The Great Channel, from the southern parts of China to Peking. This study found this unique vessel of book distribution. And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record about the kinds of imported books and the quantity of them, it traces the matter of banned books and the meaning of importing the books at that time. There are various kinds of motivation in importing Chinese books, and this even provided changing the main stream of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