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진구 범죄예방 및 치안환경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Though various crime prevention projects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each local self-government, the limitation of proceeding with them has been raised to solve the substantial problems due to absence of management system and its discontinuous progress.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basic plan so that the guideline that is the standard of preventing crime and establishing security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managed and operated systematically. The spatial scope of this research is Gwangjin-Gu and the scope of research content is crime status analysis, direction of crime prevention plan, integrated direction, guideline for each type and direction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Gwangjin-Gu. The basic plan was established by general status investig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social environment investigation, physical environment survey, field observation through field investiga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of the investigat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reenforcement of residential stability was required against the areas with high density as floating population and crime rate were high at commercial area near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o, the execution-centered direction was needed to be set for safe cit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Gwangjin-Gu needed guideline for each region through objective index due to absence of systematic crime status analysis and insufficient environment management for each area. Third, Gwangjin-Gu will proceed with the project constantly to establish the safe urban culture in future.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was suggested for each step of project so it can be operated efficiently and smoothly and the plan that can operate project monitoring constantly by establishing systematic and cooperative governanc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o be the one that can be the base of safe environment establishment project in future plan as the leading one that suggested the integrated progressing strategy to make self-governing city safe on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ecute the sequential projects in future. 지자체별로 다양한 범죄예방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관리체계의 부재와 연속성 없는 사업 추진으로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추진의 한계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예방 치안환경 구축을 위한 기준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운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광진구로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광진구 범죄 관련 현황분석, 범죄예방 계획의 방향성, 통합방향, 유형별 가이드라인, 관리운영방향이다. 연 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일반현황 조사, 사회적 환경조사, 물리적 환경조사, 현장조사를 통한 현장관찰, 설문조사, 조 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광진구 지역 특성상 역사 주변에 위치한 상업지역이 유동인구가 많고 범죄율이 높게 나타나 밀집지역에 대한 주거 안전성 강화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안전도시를 위한 실행중심의 방향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광진구는 체계적인 범죄현황 분석 부 재와 지역별 환경 관리 미흡으로 객관적인 지표를 통한 지역 유형별 가이드라인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 광진구는 향후 안 전한 도시 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 할 것이다. 이를 보다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사 업단계별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유기적인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사업 모니터링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자체 안전도시를 만들기 위한 통합 추진전략을 제시한 선두주자로서 향후 계획되는 안전 환경 구축 사업들의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계된 순차적 사업을 실행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본다.

      • KCI등재

        지역 특징을 반영한 도시 진입관문 적용 타당성에 따른 디자인 방향 도출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 진입관문 경관을 중심으로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도시 진입관문은 가장 먼저 도시를 접하게 되는 지점이 되므로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첫인상을 결정하고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지역적 특색에 적합한 도시의 이미지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의 대표 도시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도시이미지를 위한 진입관문 조성 사례를 지역별로 유형화하여 논리적인 모델제시를 위한 방향도출과 도시경관 향상과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여 기존의 이론적으 로 도출된 방안 연구와 차별성을 두어 실제 사업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디자인(안)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세종시 주요 진출입 대상지 10곳이며,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다른 도시진입관문 사례들을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세종시의 도시 진입관 문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여, 10곳 대상지 중 우선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해 진입관문 적용의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점 진입관문을 도출하고 기본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진입관문 적용 대상지 도출 시 필요한 요소의 기준을 유형화하여 정합성 있고 객관적인 타당성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행정수도 중심 세종시만의 정체성이 담긴 각 지역별 고유의 문화적 특징 요소를 발굴하여 특화 요소를 통해 세종시의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 공감형 결과를 분석하여 대상지를 선정하였고 대표이미지 기준을 수립하였다. 네 번째, 세종시 도시 정체성 구현을 위한 방향성 도출로 향후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사업 및 홍보에 확대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의 특성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진입관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며 향후 세종시가 시민들과 공감하는 도시 진입관문을 계획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city entrance gate is the first point in contact with the city, so it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landmark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city. This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first impression and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n urban image,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image of a city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express the representative urban image of the region, this study categorized cases of entry gate creation for urban image by region, presented a design direction reflecting logical model presentation and identity. The spatial range is 10 major entry and exit sites in Sejong City,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cases of other city entry gates, leading to the design direction of Sejong City's city entrance gate. Based on this, the key entry gate was derived and the basic design direction was proposed.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for factors necessary to derive the target site for entry gate application were categorized and consistent and objective feasibility analysis criteria were prepared. Second, it discovered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elements for each region, including Sejong City's unique identity centered on the administrative capital, and derived a direction to reflect Sejong City's identity through specialized elements. Third,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of citizen empathy were analyzed to select the target site and establish representative image standards. Fourth, by deriving the direction for realizing Sejong City's urban ident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its application to projects and public relations that form an urban image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ejong City will contribute to planning an entry gat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the c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형 안내사인 공공시설물 개발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0 No.-

        제주특별자치도는 한 해 약 1,500만명의 관광객이 입도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또한 화산섬이라는 특수성으로 현무암과 같은 고유의 재료와 문화적 특성 및 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고유의 문화를 고려하고 레지블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안내사인 개발을 통해 경관 저해를 방지하고 관광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으로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안내사인 현황분석과 관광형 안내사인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일반현황 조사, 현장조사를 통한 공공시설물 현황조사, 선진사례 조사, 디자인 연구개발은 디자인 기본 구상, 관광형 안내사인 개발이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제주특 별자치도는 한반도와 다른 지형적, 기후적 특성을 보이는 서정적 분위기를 매력으로 하는 관광지로 경관의 연속성을 위해 곳곳에 분포한 현무암을 공공시설물의 재료로 적극 활용하되 시설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각각의 고유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두 번째, 강한 해풍의 영향을 고려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고 돌출부를 최소화한 구조를 설계 하였다. 세 번째, 외국인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방문하는 도시로 관광객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표준화된 표기체계와 다국어 표기 등의 정보 범용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가 가지고 있는 지역 고유의 경관을 강화하는 관광형 공공 시설물 개발의 기초가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품목의 관광형 공공시설물 표준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the representative tourist place that about 15 million tourists visit a year. It possesses the unique material like Basalt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view due to the specialty as the volcanic island. So,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hindrance to landscape and the vitalization of tour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guidance sign applying the legible and universal design by considering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region. The spatial scope of this research is whole area of Jeju an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igns and also to develop the design of tourist guidance sign public facilities. The research method is status investig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status investigation of guidance sign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dvanced case stud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sign is basic concep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tourist guidance sign desig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Jeju uses basalt distributed everywhere was actively used as a material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continuity of landscape while each unique image was 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Second, on top of using materials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by considering the impact of strong sea breeze, designed the structure minimizing projection. Third, this research secured the information versatility like the standardized marking system and multilingual notation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ouris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basics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t public facilities of Jeju,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t public facilities standard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완주군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실행계획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Since the public design promotion general plan in the national unit was established, total 245 metropolitan & basic local governments obligatorily have formed the local promotion general plan.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each theme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in Wanju-gun, and also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guideline for each type for the concrete detailed design regulation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whole area of Wanju-gun.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Waju-gun,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and the guideline for each type that is classified into public visual media, public facilities, public building, and public space. This study suggests the expansive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a general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urrent design status of Wanju-gun through field study, a survey, and the analysis on the upper pla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nju-gun needed a design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opul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design status of Wanju-gun, the regulations for each different design were needed. Third,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idents of Wanju-gun needed a design plan and local landmark that could emphasize the image of natural green clean area. Fourth, based on the surveyed contented, the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each theme and the direction of guideline for each type were dra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come a basic study for the future promotion plan as a leader in the promotion plan of local government public desig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takeoff of public design of Wanju-gun in the future. 국가단위의 계획인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245개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의무적으로 지역진 흥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완주군의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하여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세부 디자인 규정을 위한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완주군 전역으 로 연구의 범위는 완주군 현황분석과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공공시각매체, 공공시설물, 공공건 축물, 공공공간으로 분류한 유형별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일반현황 조사, 현장조사를 통한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 설문조사, 상위계획 분석을 바탕으로 발전적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완주군은 고령인구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 한 결과 각기 다른 디자인에 대한 규정사항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 설문조사 결과 완주군민들은 자연녹지 청정지역 이미지 를 강조할 수 있는 디자인 계획과 지역 랜드마크를 필요로 하였다. 네 번째,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및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선두주자로서 향후 수립되는 진흥계 획에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완주군의 공공디자인이 도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봉암리 안전마을 환경개선사업 디자인 개발 연구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일대를 중심으로-

        박석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Recently in Korea, the national anxiety has been rising because of many social crimes. Thus, many local governments are carrying forward diverse projects applying CPTED to reduce the crime rat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rural complex city and the principles of CPTED, and also to establish the opportunity for residents to directly participate in project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residential area in the whole Bongam-ri, Eunhyeon-myeon of Yangju-si. The scop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design, and the residents’ participatory program. Study methods ar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PTED, research on the current state of the subject site, survey & interview with the residents.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 as an aging village with the high percentage of the elderly, Bongam-ri showed the low passenger flow. In order to improve it to an energetic village, there should be a plan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activity.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residents felt anxious about neglected deserted house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design using the deserted houses was needed. Third, the concept of core safety village, formation of local base of core safety,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he improvement of night lighting were suggested. Fourth, as a pla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the residents’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in which the village residents and foreign workers could naturally meet with each other was plan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developing the crime prevention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problems of urban-rural complex cities. 최근 우리나라는 여러 사회적인 범죄 발생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여러 지자체에서는 범죄율을 낮추기 위해 CPTED를 적용한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농복합도시의 특성과 CPTED원리를 적용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주민들이 사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일대 주거지역이다. 내용적 범위는 디자인개발, 주민참여 프로그램 계획이다. 연구 방법은 CPTED에 대한이론적 고찰, 대상지 현황조사, 대면조사 및 주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회적환경을 분석한 결과 봉암리는 노인의 비율이 높은 고령화 마을로 유동량이 낮았다. 활기찬 마을로 개선하기위해 활동량을 높일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물리적 환경을 분석한 결과 주민들은 방치된 폐가로 인하여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폐가를 활용한 디자인 개선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 안심마을 컨셉, 안심거점 형성, 보행환경 개선, 야간조명 개선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주민 참여 계획으로는 마을주민과 외국인 근로자가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도농복합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문제를 고려한범죄예방 디자인개발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수원시 공공보행안내 시설물의 표준디자인 개발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Many cities in the world are carrying forward the project for realizing the walkable city. It aims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rate of pedestrians and also to vitalize commercial district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pedestrian volume. Thu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Suwon-si to become a walkable c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guidance facilities considering the universal design that could be easily understood by every one. The spac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whole area of Suwon-si,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guidance facilities design. For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the general current status, spacial current status, advanced cases, and paradigm of Suwon-si were researched. The development of design is composed of basic plan, and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brand, appearance design, and content desig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place filled with plentifu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won-si would be needed to have the customized-pedestrian guidance plan that could be easily cognized by foreign visitors. Secon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current status, the classification of facilities and the direction of appearance design and content design were drawn. Third, the master-plan and the materialization measures containing the identity of Suwon-si were suggested. Fourth, on top of establishing the pedestrian brand for the formation/spread of pedestrian culture in Suwon-si, the simple appearance design considering the pedestrian convenience and the function-centered content design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becoming a basis for forming a walkable city Suwon, and it would be contributing to Suwon-si’s planning of pedestrian culture together with its citizens in the future.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에서 보행친화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보행자의 교통사고율을 저하시키고 보행량 증가에 따른 상권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누구나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 인을 고려한 보행안내시설 개발을 통해 수원시가 보행친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 간적 범위는 수원시 전역으로 연구의 범위는 현황분석과 보행안내시설 디자인 개발이다. 현황분석을 위해 수원시의 일반현 황, 공간현황, 선진사례, 패러다임을 조사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기본구상, 보행브랜드 개발, 외형디자인, 내용디자인 개발 이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수원시는 풍부한 역사 문화자원을 가진 곳으로 외국인 방문객들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맞춤형 보행안내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현황조사를 토대로 시설물 분류, 외형디자인, 내용디자 인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 수원시의 정체성이 담긴 마스터플랜, 구체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수원시의 보 행문화 형성 및 확산을 위하여 보행브랜드를 구축하고 보행편의성을 고려한 간결한 외형디자인, 기능 중심의 내용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행친화도시 수원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수원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보행문화를 계획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한국어 신어에 나타난 성역할 양상 변화: 2012-2021년 [+사람] 신어를 중심으로

        박석훈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2012년부터 2021년 사이의 [+사람] 신어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한국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양상의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을 위해 국립국어원 신어자료집과 신어 단행본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사람] 신어를 선별하였으며, 성별로 나누어서 단어의 의미를 제시하고, 인터넷 기사와 트위터의 용례를 추가하였다.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별로 정형화된 이미지를 살펴보기 위해 [+남성 사람] 신어와[+여성 사람] 신어를 외모·매력, 얕잡아봄·혐오 두 측면으로 분석하였으며, 시기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을 경제활동과 양육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각 주제분류별로 [+ 남성 사람] 신어와 [+여성 사람] 신어에서 전통적 성역할의 잔존뿐만 아니라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또한 언어사용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성역할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며, 수용·거부·변용 등 다양한 반응을 보임을 신어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신어에 한국 사회의 변화 양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더욱 세밀한 상황적, 맥락적 의미를 보기 위해서 신어의 실제 사용 양상과 그 분석에 더욱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한류스타를 활용한 응원봉 제품 디자인 개발 연구

        박석훈,김진성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Korean-Wave is currently facing changes into diverse areas and new growth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duct for in-depth Korean-Wave fans by using K-Beauty business with high potential value and K-Pop as the symbol of Korean-Wave in order to cope with the era in need of new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or design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Wave cont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fragrance products market out of K-Beauty business, and also researched the products for in-depth Korean-Wave fans. Secon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setting up the direction, purpose, and contents of design in the planning of design. Finally, we suggested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such as 3D simulation and conducted the final design development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creased interest and consumption of Korean-Wave contents, the continuous contents that could more strengthen them would be needed. Second, in order to build up new competitive brands by converging the rapidly-growing K-Beauty industry and K-Pop market, the direction and goal of product design for in-depth fans of Korean-Wave stars were presented. Third, through the development of lightstick product used for the communion between Korean-Wave stars and fans, the new cultural experiences and the diversity of K-Culture could be provided. This study could become a case of product development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new industry and experiencing the diversity of K-Culture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ntents. 현재 한류는 다양한 분야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필 요한 시대에 대응하여 잠재적가치가 높은 K-Beauty사업과 한류의 상징인 K-Pop을 활용하여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을 개발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한류 콘텐츠 현황과 K-Beauty사업 중 향기제품시장의 발 전가능성을 분석하고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디자인 기획에서는 디자인 방향 및 목적, 디자인 개발 내용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3D 시뮬레이션,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콘텐츠가 필요하였다. 둘째, 급성장중인 K-Beauty사업과 K-Pop시장을 융합하여 새로운 경쟁력 있는 브랜 드를 구축하기 위해 한류스타의 심층 한류팬을 위한 제품 디자인의 방향 및 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한류스타와 팬이 교 감할 수 있는 응원봉 제품개발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고 한류 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콘텐츠간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한류문화의 다양성을 경험 할 수 있는 제품개발의 사례 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옥트리 기반의적응적부호거리장을 이용한사면체요소망생성

        박석훈,최민규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2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8 No.1

        High-quality tetrahedral meshes are crucial for FEM-based simulation of large elasto-plastic deformation and tetrahedral-meshbased simulation of fluid flow. This paper proposes a volume meshing method that exploits an octree-based adaptive signed distance field to fill the inside of a polygonal object with tetrahedra, of which dihedral angles are good. The suggested method utilizes an octree structure to reduce the total number of tetrahedra by space-efficiently filling an object with graded tetrahedra. To obtain a high-quality mesh with good dihedral angles, we restrict the octree in such a way that any pair of neighboring cells only differs by one level. In octree-based tetrahedral meshing, the signed distance computation of a point to the surface of a given object is a very important and frequently-called operation. To accelerate this operation, we develop a method that computes a signed distance field directly on the vertices of the octree cells while constructing the octree using a top-down approach. This is the main focus of the paper. The suggested tetrahedral meshing method is fast, stable and easy to implement. 양질의 사면체 요소망은 유한요소법 기반의 변형체 시뮬레이션이나 사면체 기반의 유체 시뮬레이션 등에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옥트리 기반의 적응적 부호거리장을 이용하여 다각형 표면을 가진 물체의 내부를 양질의 이면각을가진 사면체로 채우는 볼륨 요소망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옥트리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에서 표면까지 다양한 크기의사면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요소의 개수를 줄이며, 옥트리의 인접 셀들 사이의 레벨 차이를 제한하여 양질의 이면각을가진 요소망을 얻는다. 옥트리 기반의 요소망 생성에 있어서 물체 표면까지의 부호거리를 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연산이다. 본 논문은 하향식으로 생성한 옥트리의 꼭짓점들에서 부호거리장을 빠르게 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논문에서제안한사면체요소망구성방법은 실행시간이빠르고 안정적이며구현이쉬운장점을 가지고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