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환경교사들의 봉사학습 경험 및 의미 탐색

        박마라나(Marana Park),장영효(Young Hyo Chang),김상채(Sang Chai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1

        본 연구를 통해 환경교육 비교과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 예비 환경교사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학습동아리는 학생 자치활동으로 독립적 ·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전공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진로탐색의 기회가 되었다. 둘째, 환경교육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이 환경교육 활동을 위해 상호협력을 통해 공동체의 환경교육 역량이 발달하였고, 공동체의 학습 역량을 지역사회로 전달하는 역할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셋째, 환경교육 봉사학습 경험을 통해 예비 환경교사들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예비환경교사의 봉사학습 경험은 실천적 지식의 5가지 외적 요소(교과내용지식, 학생들과의 관계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 환경교육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 환경교육 현장에 대한 지식)를 형성하며, 환경교육 역량과 전문성이 발달되었다. 또한, 교사로서 자아에 대한 성찰 기회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내적 요소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외적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사학습 운영 사례 제시를 통해 교과활동과 연계된 봉사학습 전환과 이를 교육봉사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were explored the availability of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by examining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circle was an autonomous activity by student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new recognition and career explo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community has significance meaning by delivering the capabil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local commun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for education activities. Third, pre-service teachers have formed PPK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in service learning. The pre-service teacher were formed 5 external factors of PPK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pedagogical knowledge, instruction knowled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field) by experiencing the service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ternal factors, environmental education competency and expertise were developed. And, the internal factor of PPK was formed by recognizing the knowledge of oneself as a teacher, and this was expressed by interacting the external factors. In addition, we proposed the service learning linked to curriculum activities and further educational service.

      • KCI등재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체색변이를 이용한 발생세대 예측

        이효석,정종국,임재성,박마라나,이승현,이준호,Lee, Hyoseok,Jung, Jong-Kook,Im, Jae Seong,Park, Marana,Lee, Seunghyun,Lee, Joon-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는 콩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견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성충 수명이 길고 발육기간이 짧아 야외에서 여러 세대가 혼재되어 발생하고 있어 각 세대를 구분하기 어렵다. 특히, 제2세대 성충의 발생시기는 콩의 착협기와 일치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어, 제1세대 성충의 방제는 제2세대 밀도를 감소시켜 콩과 작물의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충기간의 광주기가 성충의 체색변이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이용하여 야외 포장에서 월동세대와 제1세대의 발생시기를 구분하였다. 또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개체군 모형을 수립하고 적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여름형 성충의 비율이 20% 이상 되는 시기를 제1세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의 발생시기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2세대 성충의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방제시기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is one of the important insect pests of leguminous crops, which occurs in most areas of South Korea. It is hard to distinguish each generation in crop fields since not only the longevity of adult R. pedestris is long but also the developmental period is short. Especially, the 2nd generation adults cause enormous damage to soybean while the occurrence time is synchronized with the podding stage of soybean. Controlling the 1st generation of R. pedestris helps to decrease the damage by decreasing the 2nd generation den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1st generation and the overwintering generation by using differences in body coloration which is dependent on the day-length during the nymph stage. In addition, the difference was verified by the population dynamics model of R. pedestris. The occurrence time of 1st generation adults could be considered when the summer form is 20% or more. These results will be used for beneficial management decisions to reduce the 2nd generatio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