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교육 제도화의 그 의의와 성과: 환경교육프로그램 지정제를 중심으로

        박마라나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진흥법의 사회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인 지정제를 대상으로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정제의 신청목적과 제도의 개선 및 발전방향을 위한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정제에 대한 평가는 “지정제로 인한 교육활성화”와 “지정제의 지정과정 및 절차”의 두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모든 평가 항목은 “보통” 수준으로 지정제도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정제가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의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정제의 발전과 관련 제도인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자격 제도와 환경교육센터 지정제도의 균형적인 운영을 위한 사회환경교육 제도화에 대한 성과와 의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ertification (EEPC)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EEPA).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assessed by 52 individuals engag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ertification practitioner.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with "awareness of EEPC," "evaluation of process of EEPC," "evaluation the activating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 and "suggesting the improvement of EEPC." For analysi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 'mid,' and 'low'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EEPC and understanding the EEPA. As a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evaluation of process of EEPC‘, and "evaluation the activating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 according to awareness of EEPC. Otherwise, the variable, 'understanding the EEPA' is deem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e assessed that there are needs for improvement of EEPC. We obtained the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EEPC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in developing the EEPC and related policies and plans on EEPA.

      • KCI등재

        환경교육 전공자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환경교육 직업 인식의 관계: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박마라나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3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intended to verify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relationship between major's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121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ffects the satisfaction of a major. Second,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ccupational perceptions both personal and social facto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s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perceptions. Environmental education occupational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developing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circumstance for improving the major satisfaction, such as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through a network among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s to positively recognize environmental education occupations. 본 연구는 환경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와 환경교육 직업인식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환경교육과 졸업생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환경교육 전공선택의 내재적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환경교육 직업인식의 개인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에 영향을 준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전공만족도와 환경교육 직업인식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환경교육 전공자들의 환경교육 직업인식은 환경교육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이며, 본 연구를 통해 이에 영향을 주는 전공만족도와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교육과정과 다양한 비교과활동 등을 통해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와 환경교육 전공자들의 인적 네트워크 확장과 함께 이에 대한 신뢰와 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 환경교육이 환경교육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생태환경 융합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전남 목포 지역 예비 환경교사를 중심으로

        박마라나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4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onvergence competency of pre-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 The program was designed by analyzing a literature review and the 2022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on convergenc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pre-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 to verify the environmental teachers' environmental world views and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on environmental problem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worldviews were formed through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and learn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problems was formed by learning abou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sustainability. Yet, knowledge and background of environmental problems did not link creative problem-solving to environmental issues. Hence,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e-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 ' integrated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pre-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 experienced experiential learning for the environment in order to underst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lso, they practiced the environmental classes to find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through the arts. As a result, pre-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 have recognized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ce of the ar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resolving the climate crisis and 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Therefor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have to try to improve teachers’ convergence competency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curriculum.

      • KCI등재

        Diversit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Bogildo Island, Wando-gun, Jeonnam, Korea

        박마라나,안정섭,이진,임진택,최세웅 한국생태학회 2009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32 No.2

        We investigated the moth diversity on an island of southern sea of Korea. We collected moths at three sites on the island of Bogildo, Wando-gun, Jeonnam using a 22-watt ultraviolet light trap from May to October, 2008, and identified a total of 272 species and 948 individuals in 13 families. Species of Noctuidae was the most abundant, with 107 species and 318 individuals, followed by Geometridae (62 species and 147 individuals) and Pyralidae (53 species and 269 individuals). The graph of the estimated species richness in Chao 1 (432.25 ± 37.39) did not reach an asymptote, which suggests that more moth species could be identified on the island through further sampling. An arctiid moth, Miltochrista striata,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captured in this study. Monthly changes in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formed M-shaped curves, with peaks in early summer (June) and late summer (August). Cluster analysis of seven sites on three islands (Aphaedo Island, Sinan-gun, Oenarodo Island, Goheung-gun and Bogildo Island) divided the sites into two groups. Distances among sites and habitat typ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imilarities of moth faunas among sites.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들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반추사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박마리(Park, Ma-rie),정구철(Jeong, Goo-Churl)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반추사고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소년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통계분석 방법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 260 . , 및 회귀분석이었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추사고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대한 반추사고,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의하게 높았고, 수면의 질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학교생활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집단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반추사고, 스마트폰 과의존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수면의 질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반추사고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들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간의 관계에서 반추사고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스트레스에 대한 지속적인 반추사고를 줄이기 위해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경향의 위험성을 논의하고, 청소년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str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in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sleep quality of adolescent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60 adolescents. First,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rumination accidents on stress events than male students. Second, high school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erceived stress and rumination of stress, and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ir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group who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school lif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erceived stress, ruminat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quality of sleep was significantly highe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tress of adolescents and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e rumination of stress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leep quality of adolescents, rumination accid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was not. Through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dangers of adolescents" tendency to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o reduce continuous rumination accidents about stres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leep quality of teenagers.

      • KCI등재

        예비 환경교사들의 봉사학습 경험 및 의미 탐색

        박마라나(Marana Park),장영효(Young Hyo Chang),김상채(Sang Chai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1

        본 연구를 통해 환경교육 비교과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 예비 환경교사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학습동아리는 학생 자치활동으로 독립적 ·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전공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진로탐색의 기회가 되었다. 둘째, 환경교육학습공동체는 구성원들이 환경교육 활동을 위해 상호협력을 통해 공동체의 환경교육 역량이 발달하였고, 공동체의 학습 역량을 지역사회로 전달하는 역할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셋째, 환경교육 봉사학습 경험을 통해 예비 환경교사들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예비환경교사의 봉사학습 경험은 실천적 지식의 5가지 외적 요소(교과내용지식, 학생들과의 관계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 환경교육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 환경교육 현장에 대한 지식)를 형성하며, 환경교육 역량과 전문성이 발달되었다. 또한, 교사로서 자아에 대한 성찰 기회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내적 요소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외적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사학습 운영 사례 제시를 통해 교과활동과 연계된 봉사학습 전환과 이를 교육봉사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were explored the availability of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by examining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circle was an autonomous activity by student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new recognition and career explo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community has significance meaning by delivering the capabil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local commun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for education activities. Third, pre-service teachers have formed PPK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in service learning. The pre-service teacher were formed 5 external factors of PPK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pedagogical knowledge, instruction knowled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field) by experiencing the service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ternal factors, environmental education competency and expertise were developed. And, the internal factor of PPK was formed by recognizing the knowledge of oneself as a teacher, and this was expressed by interacting the external factors. In addition, we proposed the service learning linked to curriculum activities and further educational service.

      • 파 포장에서 파밤나방 성충 발생 조사와 성충우화 모델검증

        박마라나,이선경,유주원,이준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본 연구에서는 파밤나방 조사를 위한 페로몬 트랩의 효율성을 알아보기위하여 2010년 7월 29일부터 10월 29일까지 충청남도 아산시 친환경 파 포장에 펀넬트랩, 윙트랩, 델타트랩, 투명트랩 4 가지를 설치하여 성충 발생 밀도를 조사하였다. 델타트랩이 가장 많은 파밤나방 성충이 포획되어 페로몬 트랩 중 가장 적합한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델타트랩을 이용하여 2011년 2월부터 9월까지 아산시 친환경 파 포장 3곳과 제주도 파 시험포장 1곳에서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아산시 포장에서 최초 성충 채집일은 5월 6일이었고, 연중 2번의 성충 발생 최성기를 나타냈다. 제주도 포장은 4월 12일에 성충이 최초로 채집되었으며, 연중 총 3번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기 작성된 번데기 단계의 온도발육모델을 이용하여 실내 변온 조건에서 총 2회에 걸쳐 검증 실험을 실시하였다. 변온조건에서 우화한 성충의 개체수를 누적하여 번데기 단계의 발육완료시기 분포모형에 (f(Px)=1-((Px-0.3987)/0.5972)4.909)한 결과, 본 모형이 파밤나방 성충의 우화를 예측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꽃매미의 포도원에서의 산란 위치

        김세진,박마라나,권용준,유주원,이준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천안시 입장면에 위치한 두 곳의 포도원에서 꽃매미의 산란위치에 따른 난괴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합판과 부직포, 인삼용 차광천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산란장소를 제공하여 경사유무, 차광 정도, 표면 특성에 따른 산란 정도를 조사하였다. 포도원 내부보다는 외곽에(F=1860.97, p<.0001), 수직보다는 경사진 곳에(F=1941.73, p<.0001), 포도나무보다는 시멘트 지주에(F=905.71, p<.0001), 노출된 곳보다는 식물체에 가려진 곳에(F=4785.73, p<.0001) 더 많이 산란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원 외곽에 위치하고 경사져 있으며 식물체로 가려진 시멘트 지주에서 평균 51.1개의 난괴가 발견되었으며, 수직이지만 식물체로 가려진 시멘트 지주에서도 평균 23.5개의 난괴가 발견되었다. 인위적인 산란장소를 제공한 실험에서도 차광정도(F=6.76, p=0.0026), 표면특성(F=66.76, p<.0001), 경사유무(F=7.98, p=0.0069)에 따라 산란된 난괴수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여 포도원에서의 결과와 동일하였으며 차광정도와 표면특성(F=4.45, p=0.0169) 그리고 표면특성과 경사유무(F=4.90, p=0.03160)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