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박유산에서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의 투여효과

        박기준(KJ Park),송기창(KC Song),이충훈(CH Lee),유영욱(YW Yoo),임용택(YT Lim),이진우(JW Lee),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6

        저자들은 절박유산 환자에 있어서 profasi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profasi치료군 72예, 위약 투여군 35예, 총 107례를 대상으로 치료후의 임상예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치료전에 검사한 초음파 단층촬영소견, SP1 및 B-hCG농도와 profasi치료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 다. 1. 절박유산 환자에서의 profasi치료에 의한 유산방지효과는 위약투여군에 비하여 통게학적 으로 유의한 효과를 인정할 수 잇었으며 특히 임신 4-8주에 더욱 확실하였다. 2. 치료전 실시한 초음파단층촬영소견은 profasi치료효과와 아무런 연관이 없었다. 3. 치료전 혈중 SP1 B-hCG가 정상보다 낮은 경우라도 profasi치료의 유의한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관찰로 미루어 절박유산에서 profasi투여는 유산이행율을 줄이고 정상임신 진행율을 높음으로서 탁월한 치료효과가 인정되며, 투여시기는 가능한 한 임신 8주이전의 조기임신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horionic gonadotropin treatment in 107 cases of threatened Abortion patients , we analyzed 72 cases of profasi group , who were treated with profasi 5000 IU daily for 5days and 35 cases of placebo group . We also evalu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 of profasi treatment and serum levels of pregnancy-specific B1-glycoprotein (SP1), and B-human chorionic gonadotropin (B-hCG)and sonographic findings before treatment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reatended abortion patients the effect of profasi treatment was significantly , especally in 4-8 weeks of gestational age. 2. Sonographic findings including fetal pole, umbilical stalk and/or yolk sac in 6-8 weeks, fetal and heart beat in 9-14 weeks, were not related with profasi effect. 3. the profasi was significantly effective even in the subnormal level of serum SP1 and B-hCG. we concluded that profasi for the threatened abortion is effective especially in the early gestational age under 8 weks, to prevent abortion and maintain the normal pregnancy even in the case of subnormal serum SP1 and B-hCG level.

      • 도시철도 유지보수체계 표준화 연구

        박기준(KJ Park),안태기(TK Ahn),이호용(HY Lee),김길동(GD Kim),한석윤(SY Han) 한국철도학회 200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standardization of the urban transit maintenance system consists of BOM System, maintenance parts code system, and accident/trouble code system standardization. This paper is described only the result of BOM System, maintenance parts code system, and accident/trouble code system standardization. The results of standardization are using urban transit maintenance IT system and apply Expert System, RAMS System, and DATABASE contents of various kinds.

      • KCI등재

        난소 미분화 배세포종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김영우(YW Kim),김진우(JW Kim),박기준(KJ Park),한구택(GT Han),남궁성은(SE Namkoog),이헌영(HY Lee),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1

        가톨릭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종양부에서 1972년 1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만 14년간에 걸쳐 경험한 난소 미분화 배세포종 9례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학적 소견을 조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분화배세포종 9례의 발생빈도는 전난소종양의 0.6%, 전악성난소종양의 4.2%를 점하였다. 2. 미분화배세포종의 발생 평균연령은 25세였으며, 20-29세군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 9례중 5례(55.6%)는 비임여성이었고 나머지 4례(44.4%)는 1회 이상의 경산부였다. 3. FIGO 분류에 따른 임상병기는 stage I이 6예(66.7%), stage III가 2례, 그리고 stage IV가 1례였다. 병리조직학적 분화도는 Grade I이 5례(55.6%), Grade II가 3례(33.3%), 그리고 Grade III가 1례(11.1%)로서 조직분화도와 임상병기 사이의 밀접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4. 미분화 배세포종의 증상으로는 하복부 팽창이 7례(77.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하복부에서 종양촉지로 6례(66.7%)였다. 하복부 불쾌감 및 동통이 5례(55.6%), 요통이 4례(44.4%), 질출혈 및 질분비물, 무월경 및 월경통이 각각 2례였으며, 빈뇨와 체중감소가 각각 1례였다. 그리고 무증상인 경우도 1례 있었다. 5. 종양표지물질로서, 혈중 LDH, -hCG 및 AFP치는 85.7%, 57.1%와 14.3%에서 각각 정상치 이상으로 증가되었다. 동일환자에 종양표지물질 두 개가 동시에 상승된 예가 3례(85.7%)였다. 6. 3례에서 다른 악성난소종양이 동반되었는데 2례는 배아성암종 1례는 융모상피암이었다. 그리고 장간막, 대망 및 복막 그리고 폐 및 뇌로 각각 1례씩 3례에서 전이를 보였다. 7. 제 1차 수술 후 stage Ic 및 III의 5례(55.6%)에 대해 방사선요법을 실시하였으며, stage IV의 1례에서는 화학요법, 그리고 stage III의 1례에서는 방사선요법 후 화학요법을 추가하였다. 보조적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2례는 추적이 불가능 했으며 stage IV의 1례는 뇌전이로 수술 후 4개월에 사망하였다. 그리고 stage III의 1례에서는 5년 생존이 혹인되었으며, 나머지 5례에서는 평균 49개월의 생존을 보이고 있다.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9 cases of ovarian dysgerminoma which were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College from January 1972 to December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ovarian dysgerminoma was 0.6% among all ovarian tumors and 4.15% among all malignant ovarian tumors. 2.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the ovarian dysgerminoma was 25 years and the highest incidence was shown in 20-29 years group. Among 9 cases, 5 cases(55.6%) were nulligravida and 4 cases(44.4%) were multigravida. 3.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stage I was in 6 cases(66.7%), stage III was in 2 cases(22.2%) and stage IV was in 1 case(11.1%). Histopathological distribution was as follows; Grade I in 5 cases(55.6%), Grade II in 3 cases(33.3%) and Grade III in 1 case(11.1%). 4. The clinical symptoms were abdominal distension(7 cases: 77.8%), palpable mass(6 cases: 66.7%), abdominal discomfort or pain(5 cases: 55.6%), lumbago(4 cases: 44.4%), vaginal bleeding or spotting(2 cases: 22%), vaginal discharge(2 cases), amenorrhea(2 cases), dysmenorrhea(2 cases), oligomenorrhea(1 case) and weight loss(1 case). 5. Levels of serum LDH, -hCG and AFP were increased above normal range in 85.7%, 57.14% and 14.3% respectively. Simultaneous increase of levels of 2 tumor makers in the same patient was found in 3 cases(85.7%). 6. Metastasis to other organ was found in 3 cases and 2 cases of those were embryonal carcinoma and the remaining one case was choriocarcinoma. Mesentery, omentum and peritoneum, and lung and brain metastasis was found in 1 case. 7. Radiation therapy was performed on 4 cases(44.4%) of stage Ic and 1 case of stage III after surgical treatment. Chemotherapy was performed on 1 case of stage IV and chemotherapy was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radiation therapy on 1 case of stage III.

      • KCI등재

        무월경 환자의 혈중 B-endorphin값

        김웅섭(WS Kim),이충훈(CH Lee),신기도(KD Shin),박기준(KJ Park),노영숙(YS Roh),이진우(JW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4

        정상 및 비정상 월경주기에 있어 B-endorphin과 성선자극호르몬의 상호관계를 알기위하여 정상대조군 21예, 무배란군 11예, 저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군 13예, 고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 12예, 다낭성난소낭종군 18예를 대상으로 혈중 황체화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유즙 분비호르몬 및 B-endorphin을 방사면역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정상대조군에서 B-endorphin값은 월경기, 중기 난포기, 배란기, 중기황체기에서 각각 32.5+-19.96, 48.8+-32.04, 100.4+-66.93 및 70.4+-56.51pg/ml였다. 이중 배란기와 중기황체기에 서 월경기 및 중기 난포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2. 무배란군에서는 배란유도제 사용후 배란된 주기의 후기난포기에 측정한 B-endorphin값은 75.4+-18.53ng/ml로 배란유도제 사용전 값 27.8+-7.09pg/ml에 비해 의의있게 높앗다 3. 저성선자극호르몬성 무월경군의 B-endorphin값은 79.4+-37.39pg/ml로 고성선자극호르몬 무 월경군의 값 21.7+-7.92pg/ml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 이런결과로 볼 때 혈장 B-endorphin값은 정상군에서는 각 기마다 성선자극호르몬과의 일률 적인 관계를 설정할 수 없었으며, 비정상 월경주기의 성선자극호르몬에 대해서는 억제작용 이 잇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 evaluate status of B-endorphin in normal and abnormal menstraul cycle serum level of luteinizing hormone (LH)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 prolactin (PRL) and B-endorphin(B-EP) were measured by radionimmunoassay in healthy control group (n=21), (n=12), and polycystic ovarian disease group (n=18) In control group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in menstrual, midfollicular ovulatory and midluteal phase calculated by symptothermal chart. On the other hand, in chronic anovulatory groups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ovulation . At the same time the serum levels of FSH, LH and PRL were measured , including testosterone in the group of polycystic ovarian disease to clarify the endocrinological charateristics of each group .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seurm B-EP level of normal control group in menstrual, midfollicular, ovulatory and midluteal phases were 32.5+-19.96, 48.8+-32.04, 100.4+-66.93 and 70.4+-56.51 pg/ml respectively 2. In anovulatory group serum B-EP level at midfollicular phase after ov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efore induction of ovulation. 3. Serum B-endorphin level in hypogonodotropic amenorrhea group ,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group . 4. Serum B-endorphin level in the group of polycystic ovary disease with obesity, reveal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that at midfollicular phase of control group and hypogonadotropic amenorrhea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that at midluteal phase of normal menstraul cycle and that in the group of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considering all of above results, it is conclued that the level of B-EP changes according to the phase of ovulatory cycle and it may closely be related with those of gonadotropin in abnormal menstraul cycle in reciprocal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