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세공음극 방전을 이용한 새로운 응용기술 개발

        박기완(KiWan Park),이태일(TaeIl Lee),백홍구(HongKoo Baik) 한국생산제조학회 2006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미세공음극 방전은 다양한 전극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여러 가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미세공음극 방전은 기존 글로우 방전보다 더 효율적으로 이온/전자의 생성이 가능하고 그 형상의 특이함에 의하여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해 낼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미세공음극 방전 전극을 이용한 새로운 응용분야를 제안하고 그 가능성에 관한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연령집단에 대한 유능함과 따뜻함 지각: 내집단 편향효과를 중심으로

        박기완 ( Kiwan Park ),양혜경 ( Hae Kyung Yang ),옥경영 ( Kyungyoung Ohk ),주소현 ( So Hyun Jo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고정관념 내용 모델(stereotype content model)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연령집단에 대한 고정관 념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을 지적 특성인 유능함(competence)과 사회적 특성인 따뜻함 (warmth)의 2차원으로 분석하였는데, 특히 사회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에 근거하여 평가대상이 되는 연령집단이 내집단(in-groups)인 경우 내집단 편향효과(in-group bias)가 나타나는지를 가설화하고 검증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연령집단에 대한 유능함과 따뜻함을 평정함에 있어 평가자집단과 평가대상집단 간 일치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대상집단이 내집단일 경우 유능함과 따뜻함을 보다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내집단 편향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편향된 평가경향은 평가대상집단에 대한 동일시(identification) 수준이 높아지기때문인 것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 검증되었다. 종합토론에서는 연구결과 요약 및 해석과 함께 이론적ㆍ실무적ㆍ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령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함으로써 고정관념 내용 모델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내ㆍ외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의 차이와 그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사회정체성 이론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령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및 내ㆍ외집단 간 차이 분석은 특정분야에서의 미시적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연령집단이 중요한 상황에서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연령집단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연령집단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작업은 정책적인 차원에서도 매우 의미 있고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whether in-group bias would occur in perceiving competence and warmth about age groups in the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stereotype content model (e.g., Cuddy, Fiske, and Glick 2008; Fiske, Cuddy, and Glick 2007; Fiske, Cuddy, Glick, and Xu 2002), the stereotype contents regarding social groups are systematically and succinctly captured by two dimensions, competence and warmth. To empirically uncover the stereotype contents about age groups in the Korean society, we measured perceived competence and warmth about the young (in their 20s and 30s), the middle-aged (in their 40s and 50s), and the elderly (in the 60s and older). Draw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Brown 2000; Tajfel 1982; Tajfel and Turner 1986) that proposes self-categorization and its motivational consequences, we hypothesized that the respondents would exhibit more favorable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warmth about their in-groups than about their out-groups, and that the biased perceptions would be explained by the level of the respondents’ identification with the age groups. We recruited 910 participants in their 20s to 60s from five major cities in Korea and administered a survey that consisted of a series of questions to measur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income), perceived competence and warmth about the three age groups, the perception of relative status and competition, and finally the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the groups. Perceived competence and warmth were measured on 5-point scales (1 = not at all; 5 = extremely): how [competent or warm] are members of [the young,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Cuddy, Fiske, and Glick 2007; Fiske et al. 2002). The relative status and competition (Fiske et al. 2002) were also measured on 5-point scales (status: how well-educated are members of [the young,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competition: if members of [the young,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get special breaks (such as preference in hiring decisions), this is likely to make things more difficult for people who belong to the same age group as me). The level of cognitive identification with the age groups was measured on a 7-point pictorial scale which had two circles varying in the extent of the overlap between the two (Bergami and Bagozzi 2000). The one circle represented the self and the other represented each of the rated age groups. After respon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participants answered to which age groups they belonged. We eliminated those participants whose selfreported in-groups were different from their real in-groups based on their age and entered 801 participants to subsequent analyses. The participants provided all ratings about the young first, then the middle-aged, and finally the elderly. First, we found that perceived competence was highest for the middle-aged, followed by the young and the elderly, while perceived warmth was highest for the elderly, followed by the middle-aged and the young. Second, to test hypothesis 1, we conducted 3 (target: the young, the middle-age, or the elderly) × 3 (evaluator: the young, the middle-age, or the elderly) mixed analyses of variance on competence and warmth respectively, treating the former as a withinparticipants factor and the latter as a between-participants factor. The two-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 both analyses (competence: F(4, 1596) = 2.93, p = 0.0198; warmth: F(4, 1596) = 12.49, p < 0.0001). Overall, the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warmth were higher when the evaluators provided ratings for their in-groups than for their out-groups. Third, to test hypothesis 2, we conducted the same 3 (target: the young, the middle-age, or the elderly) × 3 (evaluator: the young, the middle-age, or the elderly) mixed analyses of variance on identification.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two factors was also significant (F(4, 1596) = 167.30, p < 0.0001), revealing that overall, the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the in-groups was higher than with the out-groups. Finall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level of identification with age groups would account for in-group bias observed in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warmth about the groups. The mediational analyses using a bootstrapping procedure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evaluator groups on perceived competence and warmth via identific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tereotype content model by expanding its scope to age groups and integrating the phenomenon of in-group bias to the stereotyping of social groups. It also widens the applicability of social identity theory by focusing on age-based social ident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ffer importa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o consumer research topics such as social exclusion and intergroup helping, to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of services, media, and brands in relation to age-based segmentation, and to policies to address inter-group conflicts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many areas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악의적 질투가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기완(Park, Kiwan),전성희(Jun, Sunghee) 한국마케팅학회 2016 마케팅연구 Vol.31 No.3

        질투는 인간의 근원적인 감정으로서 심리학, 사회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상대적으로 소비자 행동 분야에서의 질투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악의적 질투가 유순한 질투와 비교하여 소비자의 선택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적초점(mental orientation)이라는 조절변수를 도입하였다. 악의적 질투와 유순한 질투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질투의 대상이 받아 마땅한지(deservingness)의 정도이므로, 주로 질투의 대상인 결과물이 획득되는 과정이 얼마나 정당한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정 및 결과라는 심적 초점이 두 유형의 질투를 구분하는 실질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는지(실험 1), 그리고 심적 초점을 인위적으로 조작했을 때 소비자의 선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실험 2)를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과거에 느꼈던 악의적 질투 혹은 유순한 질투를 회상했을 때 질투를 바라보는 심적 초점(과정 대 결과)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악의적 질투의 경우 유순한 질투에 비해, 질투가 일어난 결과보다는 전반적인 과정에 더 집중함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실험 2에서는 현실의 소비 상황에 보다 가까운 제품 선택 과업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과정과 결과라는 서로 다른 심적 초점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경우, 다른 유형의 질투가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유순한 질투는 심적 초점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악의적 질투는 과정 초점과는 달리 결과 초점 하에서만 질투의 대상이 되는 제품 선택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로써, 악의적 질투와 결과 초점이 결합될 경우 기존 연구에서 주장한 악의적 질투의 차별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질투는 각 유형에 따라 그 원인과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대한 효과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구분하여 다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nvy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widespread emotions in the modern society. It is shown that envy has two conceptually distinct dimensions, namely, benign and malicious envy (Van de Ven et al. 2009). The literature in consumer behavior has mostl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enign, rather than malicious, envy on product choice, showing that those who experience benign envy are more likely to pay more for an envied product (i.e., envy premium effect), while malicious envy motivates people to diverge to another product with an opposing brand identity (Van de Ven et al. 2011).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malicious envy on product choice. In doing so, we introduce mental orientation (process versus outcome focus) as a moderating variable because malicious envy, as compared to benign envy, is mostly determined by whether the process by which such envy is aroused is fair or not. Study 1 tests whether participants will orient their mental focus toward process (versus outcome) when they recall malicious (versus benign) env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listed more process- than outcome-related contents when they recalled malicious (versus benign) envy. Based on the findings of Study 1, Study 2 tests whether malicious envy, in combination with the manipulation of outcome (versus process) focus, exhibits the envy-premium effect that benign envy has produced in the extant literature. The findings illustrate that outcome-focused participants chose the envied product more even when they felt malicious envy, whereas process-focused participants exhibited the differentiation tendency demonstrated in the literature. In comparison, benign envy consistently increased the choice of the envied product regardless of mental orient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n outcome-focused mindset leads consumers to focus more on the envied product itself and increases their desire to obtain the envied product.

      • KCI등재

        패드 접촉강성 변화에 따른 FE스퀼해석법 및 실험 검증

        박기완(Kiwan Park),남재현(Jaehyeon Nam),강재영(Jaeyoung Kang)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1 No.5

        본 논문은 스퀼 시험을 통해 압력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스퀼 소음을 계측하고, 발생된 스퀼 소음을 FEM 복소수 고유치 해석으로 모드연성 불안정성을 구현하였다. FEM 해석에서 압력 변화에 따른 스퀼주파수 변화를 근사하기 위해서 접촉강성 변화에 의한 스퀼 민감도를 예측하고, 잠재적인 스퀼 모드를 유추하였다. 스퀼 실험 결과 1 ㎑, 2.5 ㎑, 3.5 ㎑, 4 ㎑ 근방에서 스퀼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스퀼 주파수가 다소 증가되었다. FEM 해석 결과 접촉강성 변화에 따른 유사한 스퀼모드 및 민감도를 예측하였고, 해석시 접촉강성 변화가 스퀼실험에서의 압력증가 효과를 근사할 수 있음을 보였다. In this study, squeal noise with respect to pressure variation is measured by a lab-scaled brake dynamometer and estimated by a complex finite element (FE) eigenvalue analysis. From the FE eigenvalue sensitivity analysis, unstable frequencies occur due to a mode-coupling mechanism and are found to change with variation in contact stiffness. In the experiment, squeal frequencies near 1 ㎑, 2.5 ㎑, 3.5 ㎑, and 4 ㎑ are increased with pressure variation. The sensitivity of squeal modes to contact stiffness variation obtained from the FE analysis is shown to approximate the variation of squeal frequencies under pressure variation in the experiment.

      • KCI등재

        마찰곡선을 반영한 인공 고관절 마찰소음 유한요소 해석연구

        남재현(Jaehyeon Nam),박기완(Kiwan Park),강재영(Jaeyoung Kang) 대한기계학회 201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0 No.1

        본 논문은 복소수 고유치해석을 통하여 세라믹-세라믹 인공고관절 시스템에서의 동적 불안정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시스템 파라메터 연구를 통해서 모드 연성 기반의 불안정성을 연구하였고, 음의 기울기를 포함하는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구현하여 음의 기울기에 의한 불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토션이 지배적인 시스템 모드가 음의 기울기에 의해 불안정해 지며, 이는 축하중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instability of a ceramic-on-ceramic artificial hip joint system through complex eigenvalue analysis. We examined the mode-coupling mechanism through eigenvalue sensitivity analysis with the variation of system parameters. In addition, we constructed a finite element model including the negative slope of friction curve for investigating the negative-slope mechanism in the hip squeak problem.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torsion-dominant mode becomes unstable due to the presence of the negative slope while the axial load is the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negative-slope type instability.

      • KCI등재

        [이슈논문] 지위 상징적 소비를 통한 지위 위협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신념의 역할

        민동원(Min, Dongwon),박기완(Park, Kiwan)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1

        최근 몇 년 간 한국 사회는 점점 악화되는 취업난, 빈부 차이의 심화 등으로 인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socioeconomic status)가 위협받고 이로 인해 불안이 가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이 지위 상징적 소비(status consumption)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히 사회 시스템의 정당성에 대한 신념과 지각된 불안감의 역할에 주목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위협을 느낄 경우 불안이 유발되는데, ‘사회적 시스템이 정당하다’는 신념이 강조되면 이 불안감은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뿌린대로 거둔다(또는 ‘그럴 만해서 그렇다(deservingness)’)라는 ‘인과응보(retribution)’의 관점이 접목되면,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심리적 대응기제로서의 지위 상징적 소비의 증가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같은 예상은 실증연구에서 증명되었는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vs. 높은) 그룹은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선택 빈도가 더 높았으며, 과시적으로 소비하려는 경향도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지위 상징적 소비에 대한 인과관계는 정당성 신념이 강할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불안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정당성 신념이 럭셔리 브랜드 선택 및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론적 및 사회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한국사회에의 함의를 (1)정당성 강조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와 (2)지위 상징적 소비를 활용한 심리적 대응의 장기적 효과의 두 가지 관점에서 논하였다. The extant literature has proposed and found the compensatory role of high-status products and brands. People tend to cope with threats to SES (socioeconomic status) by consuming products or brands tha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status. As such, they compensate for lowered status and restore self-worth through consumption. This property of status consumption as self-affirm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that has recently suffered from diverse societal problems such as skyrocketing unemployment and income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role of justice belief in coping wit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We conten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anxiety is moderated by justice belief that status in society is based on merit, deservingness, and retribution. When their SES is threatened, we hypothesize that people with strong (versus weak) justice belief feel higher level of anxiety, and, accordingly, reply more on status consumption for its reparative effects on the self.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whic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were manipulated and justice belief was measured on the BMI (belief in meritocracy ideology) scale. First,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two measures of status consumption (i.e., anticipated frequency of luxury consumption and luxury brand logo size). More importantly, we found that this causality was more pronounced for people with stronger, rather than weaker, justice belief.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societal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in two aspects: (1) unintended consequences of over-emphasizing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and (2) long-term effects of coping with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