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과교육학의 학문적 태동의 요인과 기제

        박기범(Park, Kee-bur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한국사회과교육학의 학문적 태동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구조와 미시적 관점에서의 인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당시 교육 원조를 지원했던 미국의 주도세력과 교육의 순기능적 견지에서 근대화 중심의 국가발전을 갈망했던 동조세력에 의해 한국의 교육은 성립되고 방향이 결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세부 상황을 맥락적으로 탐색해보면 이러한 상호작용의 구조를 기계론적인 투입과 산출로 설명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당시 미국은 교육 원조로 문교부를 비롯한 산하 기관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력 행사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며, 한국 내부에서 발전론적 시각을 갖고 있었던 다양한 개인과 집단의 주체적 수용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한국사회과교육학의 태동은 단순한 미국교과교육학의 일방적 이식이 아니며 교육 원조 당시의 외부 세력과 한국사회과교육 지도세력의 변증법적 절차와 산출물로 이해할 수 있다.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erms of academic quicken can be described through the macroscopic structure and microscopic point of view. Korean’s education establishment was driven by the American-led forces who support aid to education and modernization-agreement forces longing for Korean development. But, looking at the details in the contextual exploring of the situation, the structure of these interactions can’t be explained by mechanistic input and output. U.S. at the time, supporting the massive educational aid was able to exert a powerful influence . However, Korean social studies’s quickening is not the one-sided, but output of interactivity between both forces, and it was internally subject acceptance of diverse forces longing for developing in South Korea. Social Studies Quickening is not unilateral transplantation of American Social Studies, but it is the dialectical process and outcomes between the external forces and South Korea forc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으로서 책임

        박기범(Park, Kee-Bur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디지털 시민성으로서 책임의 속성을 디지털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명료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디지털 시민성은,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합리성, 실천성, 도덕성 측면의 권리와 의무를 맥락적으로 부여받는,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민성이다. 디지털 네트워크가 함의하는 분산성과 익명성은 이전보다 많은 자유를 시민에게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자유는 법적 통제 이전에 시민 개인에게 자율적 통제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자율적 통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측면에서 시민 자신의 성찰에 기반한 책임이 필요하다. 도덕성 측면에서, 디지털 시민성으로서 책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추출한 책임의 속성은 ①성찰성, ②도덕성, ③설명성이다. 책임은 결과에 대한 책임도 중요하지만, 보편적 가치에 터한 합리적 설명을 통해, 왜 그러한 결과가 산출되었는가를 공동체에 설명할 수 있는 성찰적 책임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ttribute of accountability as digital citize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Digital citizenship is the citizenship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ich is contextually given rights and duties Digital networks based on dispersion and anonymity in the 21st century give citizens more freedom than ever before. The freedoms require autonomous control as an obligation to the individual citizen prior to legal control. In order for such autonomous control to function properly, it needs the capacity of explanation accountability based on citizen s self-reflection in the moral aspect. As a digital citizenship based on network, the attributes of accountability that are extracted through discussions of accountability are ① descriptive attribute ② moral attribute ③ reflective attribute. As a sound citize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gitimacy and validity of the process of action are universal values and myths that have been accumulated and shared by the community. Accountability is also important to the outcome, but it is essential to persuade the other to make a rational explanation based on the universal value of why the outcome is produced.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사회과 협동학습의 원리와 구조 설계

        박기범(Kee-Burm Par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1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사회과 협동학습 모형의 개발에 목적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존의 웹 사이트 방식과는 달리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의 컴퓨팅 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구성주의적 교육패러다임은 21세기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협동학습이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간주된다. 전통적 협동학습의 패러다임은 교실 환경을 근간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교실환경이 아닌 클라우드 환경에 기반 한 협동학습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모형들의 공통된 특징과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의 장점에 터하여 클라우드 기반 협동학습을 설계하였다. 구성주의에 기반 한 협동학습의 공통된 특징은 ①긍정적 상호의존성, ②개별 책임성, ③동등한 참여, ④동시적 상호작용, ⑤열린 지식 구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협동학습의 주요 특징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장점과 연결하면 ①‘열린 지식 환경’, ②학습공동체 내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 ③‘진화하는 지식 구성’을 클라우드 기반 협동학습의 원리로 도출할 수 있다. 이에 터한 클라우드 기반 협동학습 모형은 ①과제 확인, ②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선정, ③클라우드 영역 할당, ④과제관련 정보 수집, ⑤개별 지식 구성 및 소통, ⑥조별 지식 구성 및 소통, ⑦최종 결과물 확정 및 동료 평가의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투명성, 평등성은 학습자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도울 수 있으며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결과를 산출하도록 한다. 이는 지식 생산자로서의 창의적인 시민 역량의 함양에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sign of cloud computing-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social studies. Unlike traditional website methods, the cloud computing is a system that supports the user’s computing experience in a virtual space. Cloud computing can support effectively collaborative learning to direct the constructivism. Constructivism educational paradigm is being continued in the 21st century, cooperative learning is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ology. Through the media and networks of the 21st century, constructivismoriented cooperative learning can be effectively executed. Common features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are ① positive interdependence, ② individual accountability, ③ equal participation, ④ simultaneous interaction, ⑤ open knowledge construction. By connecting these key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haracteristics of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① ‘open knowledge environment’, ② ‘effective interaction within learning communities’, ③ ‘evolving knowledge construction’ can be derived as a key principle of learning for cloud-based collabor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for cloud-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core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key elements of cloud-based computing. Cloud-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set to ① identification of challenges ② selecting cloud computing environment, ③ cloud area allocation, ④ challenges related information gathering, ⑤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⑥ group knowledge building and communication, ⑦ final results presentation and peer review. Transparency and equality of cloud computing can support the positive interaction of learners. By doing this, we can make the effective and creative output.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학습의 재개념화

        박기범(Park Kee Bur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전통적 심리학과 철학에 기반 한 사회과 학습관에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시론적 연구이다. 21세기 사회과교육은 새로운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시민을 육성해야한다. 융통성 있는 시민은 상황을 유연하게 볼 수 있는 상황의 스키마를 형성하는 시민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과교육은 학습의 내면화와 지식의 기억이라는 전통적인 학습의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문제 상황에 적합한 지식을 연결하여 상황마다 효과적인 지식체를 구성하는 운영(operating), 연결(connection), 해체의 과정으로 학습의 재개념화가 필요가 있다. 즉 내면화에서 탈내면화로, 기억에서 연결로 학습의 개념을 확장시켜야 한다. 사회과교육은 학습의 결과를 기억해야한다는 강박관념으로부터 학습자를 자유롭게 하고, 직면하는 문제 상황을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도전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창의적 시민성의 함양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An Exploratory Study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conception about traditional concep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psychology and philosoph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has the unique distinction. However, they share a common perspective in terms of personal internalization of learning. It also highlight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course of the educational activity. 21st century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foster citizen that can adequately cope with the new era.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move away from the traditional paradigm perspective like a internalization of learning and a memory of knowledge. The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focuses on connection of the appropriate knowledge in problem situations. Furthermore, In the re-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learner is free from obsessive to remember learning outcomes. Facing problem situations, learner should have a creative citizenship that is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considering a challenging way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으로서 연결역량

        박기범(Park, Kee Bur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2

        본 연구는, 학습을 연결과정으로 해석하는 커넥티비즘(connectivism)의 논리에 기반 하여, 지식정보 연결역량의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론연구에서 커넥티비즘 기반 수업설계의 원리로 상황에 함의된 표상, 표상 연결, 연결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결학습의 실행 후, ①표상(형식, 의미)의 적절성, ②노드 제시 방법, ③표상 연결, ④시간 배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3차에 걸친 수업 실행과 성찰을 통해 연결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의 심도 있는 표상이해를 돕기 위해 직관적인 이미지 자료의 제공과 함께, 텍스트 및 그래프 형식의 다양한 표상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노드***의 제시방법은 순차적인 제공을 지양하고, 복잡한 상황에서 구조화된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표상들을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효과적인 표상 연결을 위하여 학습자의 선수학습정도와 인지발달을 고려한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이 요구된다. 넷째, 충분한 학습시간의 제공과 함께 단계적 학습을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cultivating knowledge-information connection competency in social studies class based on the logic of connectivism that interprets learning as connection process. In this theoretical study, representations, connections, and attributes of connections implied in the context were derived as principles of based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is, we analyzed learning outcomes from the viewpoint of (1) node representation (type, meaning), (2) node presentation method, (3) connection knowledge creation, and (4) time offering.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text and graphical representations along with intuitive image data to help learners fully understand representations. Second, it is important to avoid presenting methods of nodes in a sequential manner. It is desirable to present non-sequential representations so that structured knowledge can be formed in complex situations. Third, didactical transposition of nodes is required by learners" level of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sufficient learning time and step-by-step learning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에 시민의 자질

        박기범(Park, Kee Bur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본 연구는 디지털 네트워크에 기반 한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시민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민의 자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민의 의미는 다중적이고 맥락적이다. 시민은 기본권을 부여받은 존재이면서 개체의 연결로 이어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요구받는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로부터 시작된 기록으로서의 시민적 자질은 유구한 역사만큼 다양한 표상을 함의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네트워크에 기반 한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기술은 시민 의식과 삶의 양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주목할 것은 디지털 네트워크는 직접 민주주의적 현상을 촉발한다는 것이다. 연결에 기반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에 시민의 자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 기반 연결과 디지털 공감 능력이다. 시민은 연결에 기반 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공동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공동의 과업을 해결하기 위한 시민들의 연결은 신뢰를 형성하고, 신뢰는 디지털 공감력을 높일 수 있다. 디지털 공감력은 지적 사고가 결여된 폭력적 행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둘째, 연결 역량과 소프트 시민성의 함양이다. 지식정보의 연결을 통해 자기 성찰과 혁신을 지속하는 시민을 소프트 시민으로 규정할 수 있다. 21세기 AI기반 사회에서 연결 역량에 기반 한 소프트 시민성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시민 참여와 히테라키(heterarchy) 민주주의의 실현이다. 단절된 진영들의 충돌은 위험 사회를 유발하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약화시킨다. 사회는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진영들의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시민들의 직접민주주적 참여와 대의민주주의가 연결되어, 시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한 합리적 공동체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ivil quality for the sustainability of citizen commun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ased on digital network. The meaning of citizens is multiple and contextual. Citizens are required to be qualified as basic members and members of communities that lead to individual connections. Civil qualities as a record that originated in the ancient Greek city-state imply representations as diverse as eternal histor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ased on digital networks, technology is changing citizenship and lifestyle. Note that the digital network sparks citizens" direct participation in democracy. In the age of singularity as digital technology evolves, citizens are required to take on new skills: First, trust-based connectivity and digital empathy. Citizens need learning experiences that address common challeng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itizens" connections for common tasks build trust, and trust can increase digital empathy. Digital empathy can spread blind behaviors that lack intellectual thinking in virtual spac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connection capacities and soft citizenship. By link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citizens who continue self-reflection and innovation can be defined as soft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AI-based society, soft citizenship based on connected capacity can increase community sustainability. Third,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realization of heterarchy democracy. The opposition of disconnected camps creates dangerous societies and undermines community sustainability. Society needs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communicate with citizens of various camps through digital networks. We expect a rational political system that reflects citizen"s will by connecting citizens" direct democracy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콘텐츠의 한계와 가능성 -사이버 가정학습 분석을 중심으로-

        박기범 ( Kee Burm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2

        Basing on search of theoretical dimension about the limit and possibility of digital content for social studies, this research analyze digital content and search the possibility. First, for analysis about what social studies` digital content is suitable on essence of social studies, in background of knowledge`s variability and multivalence, it explores teaching material co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piro`s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and Csikszentmihalyi`s flow. As principles of selection and building for Social studies` digital content, this research has extracted contextual knowledge construction, mutual relationship, and psycholization in dimension of knowledge`s composition, also process based on inquiry and discovery, interactivity, and knowledge productive activity in dimension of learning. As analysis result, Social studies` digital content looks like Pandora`s box that has the limit and the possibility all. According to digital content composition principles, Two controversial points were detected to digital content. First, because of focusing on concept, active learning is insufficient and acquisition of concept is operated as core of content building. Second, Because of focussing on designing in educational technology, the design strategy of inherent social studies as a subject matter is lack. It is the problem that rolls as a researcher on social studies and a designer on educational technology are compartmentalized. This problem can be solved through subject matter based convergence of bilateral camp. Establishment of suitable design strategy for the speciality and goal of social studie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기범 ( Park Kee Bur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토대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을 두어 2015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목표 측면에서, 성취기준이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다.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5-6학년군에서는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현재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높이면, 인지 과정 측면에서 `적용하기` 목표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목표와 인지 과정 목표별로 비중의 차이가 없었다.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서 학년군별로 차별성이 드러나야 한다는 관점에서, 5-6학년군에서 는 `이해하기`에 중심을 두면서, 이보다 복잡한 인지 과정인 `적용하기`와 `분석하기` 활동의 비중을 현재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인지 과정 진술의 위계 문제이다.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위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초·중·고 학습자의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은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중심을 두고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인지 과정 진술의 일관성의 문제이다. 인지 과정을 포괄적으로 서술할지, 아니면 구체적 인지 과정으로 적시해야할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해하기` 활동에서 특정 `하위 인지 과정`의 편중 현상이다. 이해하기 인지 과정의 하위 인지 과정을 학습자가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의 행동 요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성취기준의 진술은 사회과교육의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육 방법, 평가에 이르는 교육의 전 과정의 지표가 된다. 성취기준의 진술에 대한 정교한 전략이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by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tement of fu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t the 5-6th grade level.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y grade level.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chieve standards of the grading group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activity, which is a more complex cognitive process than the understanding in the 5-6th grade group. Third, it is a hierarchical problem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focuses on the hierarchy, consider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arner, it is reasonable to state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centered achievement standard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Fourth, the adequacy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s a problem. There is a need to discuss whether the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 or specific. Fifth, it is a biased phenomenon of specific sub-cognitive processes in understand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behavioral el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so that the learner experiences variously the sub-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cognitive process.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s an indicator of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goal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 sophisticated strategy for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탐색

        박기범 ( Kee Burm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민성에 관련된 선행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민성의 핵심 요소로 합리성, 실천성, 도덕성을 추출하였다. 전통적 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 요소는 다르지 않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의 특성으로 인해 구성 요소의 활성화 정도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전통적 시민성은 책임과 사회적 규범에 기반 한 도덕성에 중심을 두는 경향을 갖는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사회에서의 정보 접근의 한계와 물리적 공간에서 생활인으로서의 시민 참여의 제한 때문에 합리성과 실천성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양 상이 드러난다. 당위론적 시민성의 관점에서는 합리성, 실천성, 도덕성이 균형을 이루어 야하지만, 사회적 요구와 지향점 그리고 아날로그 사회의 현실적 한계로 인해 전통적 시민성은 합리성과 실천성의 활성화 정도가 약화되고, 상대적으로 도덕성이 활성화되는 경향을 갖는다. 한편,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기인한 새로운 시대는 시민들이 전통적 사회에서의 권력관계와 책임에 기인하는 사회적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이는 다원성과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창조적인 대안을 산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그러나 도덕성 측면에서, 개인 정 신의 파괴, 무책임, 인권 침해, 사회적 혼란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디지털 시민성은 합리성과 실천성이 활성화되고, 도덕성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성격을 갖는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digital citizenship. For this study, It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 As key elements of Citizenship, rationality, practicality and morality were extracted. Digital citizenship is not different from Traditional citizenship in components. However,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digital environment, the activation degree of each components is different. Traditional citizenship has strong morality such as responsibility and social norms. Because of the limits of the information access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life, Rationality and practicality were weakened. Rationality, practicality and morality must be balanced. However, Due to the social orientation and needs and analog environment, the traditional citizenship has weak rationality and practicality, but tends to be relatively active in mor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digital based age, people can be emancipated from social oppression which originate from the power and responsibility. This promote pluralism and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produce the creative results. However, in terms of morality, personal mental breakdown, irresponsibility,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ocial problems can be brought by it. After all, rationality and practicality in digital citizenship is activated, morality tend to be relatively weak.

      • KCI등재

        커넥티비즘(Connectivism)의 이해와 사회과 교수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박기범(Park, Kee Bur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커넥티비즘(Connectivism)을 탐색하고, 이에 터하여 사회과 교수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다. 과학철학적 입장에서, 합리주의론과 패러다임론은 지식에 대하여 상반된 논리를 전개한다. 그러나 도출된 지식이 잠정성과 맥락성을 갖는다는 입장은 공유한다. 이것은 지식을 완결되고 정형화된 것으로 보기보다는, 상황맥락과 연결되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Siemens(2006)는 다양한 맥락에서 연결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가 생성되는 지식을 연결지식(connective knowledge)으로 정의하고, 연결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을 학습으로 간주하였다. 학습이 연결과정이라는 입장을 견지할 때, 사회과 교수학습의 새로운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사회과교육에서 학습활동의 핵심은 지식의 연결활동이며, 사회과 교수학습은 학습자의 연결능력 함양에 주목해야한다. 학습자들이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연결하고, 연결의 의미를 생성하거나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을 구성하고 명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열린 교과서관이 필요하다. 교과서에 수록된 지식은 특정 맥락에 기반하거나 탈맥락적인 학습을 강제하는 Hard Knowledge의 성격을 갖는다. 이는 맥락적 연결 지식 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단선적이며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교과서 지식을 다양한 문제 사태와 지식에 연결하여 연결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교재구성이 되도록 설계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지식의 연결과정에서 연결의 속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지식의 연결과정에서 연결이 인과관계(lead to), 유형(type), 부분(part), 특징(characteristics) 중에서 어떤 의미를 함의하는 지를 분석해보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입장을 명료화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new paradigm of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connectivism. From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f science, rationalism and paradigm theory develop contradictory logic about knowledge. However, they share the view that derived knowledge is tentative and contextual. Knowledge is understood as connected with context rather than being finalized and formalized. Siemens (2006) defined the knowledge that new meaning is generated through connection in various contexts as connective knowledge. He regard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connection knowledge as learning. When learning is defined as a linking process, the new direction of social studies teaching learning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ore of learning activities is linking activities, and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devote attention to enhancing learners’ connection ability. Learners should connect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construct and clarify their positions by creating or giving meaning to such connections. Second, we need an open textbook. Knowledge in textbooks has the character of hard knowledge that is based on specific context or that forces de-contextual learning. This is ineffective in forming contextual linking knowledge. Therefore, we need to design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connect knowledge of textbooks presented in a simple and systematic manner to various problem situations and knowledge and construct connected knowledge. Third, the learner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analyze attributes of the connection during knowledge connection. In the process of linking knowledge, there is a need for learning activities that analyze the meaning of a connection, such as lead to, type, part, or characteristics. This allows learners to clarify their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