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현대성(화)을 위한 철학적 단상들

        박구용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감성연구 Vol.0 No.18

        This article seeks to find the reason to realize the plan of humanism in the name of social modernity(modernization, modernity). Future humanism, which has to be renewed forever, can no longer be set as a human standard for ‘adult white male educated in Europe’. Modern planning, which is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 criticism, aims at a society where everyone can live freely and naturally regardless of their roles and status. Life with liberty and nature should be a plan that can organize and practice a physical and social life. In order for the modern planning that has not yet been completed to be pursued, the society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subject meet, communicate and solidarity must be made thick. Modernity(modernization) without citizens and the society they form is either an empty idea or only a repetitive reproduction of the past. Therefore, I would like to collect and share pieces of philosophical views for activating social modernity(moderniz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To this end, I first summarize the ideas for modernity that can coexist with the postmodern(1), and explain why modernization/geundaehwa is not modernization/hyeondaehwa(2). Here I hold the position that modernity has not been digested in Korea as a practical ideology. Finally, I want to reconsider the practical meaning of social modernization through ‘Sewolho’(3). 이 글은 사회적 현대(현대화, 현대성)의 이름으로 휴머니즘의 기획을 실현해야할 이유를 찾고자 한다. 끝없이 갱신되어야할 미래의 휴머니즘은 더 이상 ‘유럽에서 교육받은 성인 백인 남성’을 인간의 기준으로 설정할 수 없다. 비판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현대의 기획은 모든 사람이 역할과 지위에 상관없이 자유롭고 자연스레 사는 것이 가능한 사회를 지향한다. 자유와 자연이 함께하는 삶은 신체적이면서 사회적인 삶을 구성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획이어야 한다. 아직 완결되지 않은 현대의 기획이 추진되려면 주체와 주체가 만나서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가 두텁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호주체로서 시민과 그들이 형성하는 사회가 없는 현대성(화)은 텅 빈 관념이거나 이미 지나간 현대의 반복 재생산일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한국이라는 맥락 위에서 사회적 현대성(화)의 활성화를 위한 철학적 단상들의 조각을 모아서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탈현대와 공존할 수 있는 현대를 위한 생각들을 정리한 다음(1), 근대화가 아니라 현대화를 말해야 하는 이유를 해명하고자 한다(2). 여기서 나는 현대가 아직 실천적 이념으로 한국에서 소화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세월호’를 통해 사회적 현대화가 갖는 실천적 의미를 되묻고자 한다(3).

      • KCI등재

        교육과 철학의 변화와 그 방향

        박구용,김양현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9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hance the status of philosophy as a fundamental study which corresponds to the idea of education that demands the modern society. In order to reach the goal, I analyze critically the antinomic actuality where pedagogy and philosophy negate each other. And I will present a mediation possibility of education and philosophy from a viewpoint of a paradigm shift from subjectivity to intersubjectivity. I believe that the aim of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becoming a subject each other and education has to be a process of criticizing and communicating. And indeed, this process is a place for philosophy as a fundamental study. Further, I analyze the change of the examination system as an actual example such as, LEET and SAT etc. in which there is reinforced role of philosophy. And I will suggest practical alternatives to redefine the identity of philosophy in the area of research and education.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교육이념에 부합하는 기초학문으로서 철학의 위상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교육과 철학이 서로를 부정하는 이율배반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주관성에서 상호주관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교육과 철학의 매개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서로가 주체됨을 지향하는 교육은 비판과 소통의 과정이 되어야 하고, 바로 이 과정이야말로 기초학문으로서 철학이 있어야 할 자리다. 나아가 필자는 철학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실례로 법학적성시험(LEET)과 대학수학능력시험 등 각종 시험제도의 변화를 분석하고, 연구와 교육의 영역에서 철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2-DH Quadtree based Modelling of Longshore Current

        박구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3 No.1

        파랑으로 인해 발생되는 흐름은 연안에서 질량수송의 일련의 과정을 야기시키므로 연안유역의 관리에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적응가능한 사면 구조 격자에 근간을 둔 파랑장과 흐름장을 혼합한 수치모델을 기술하였다. 사용한 모델은 쇄파, 천수, 굴절, 회절,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 평균해면의 저하와 상승, 혼합 과정, 바닥 마찰 효과 그리고 해안선에 접한 운동 등을 해석할 수 있다. 주기와 수심으로 평균한 지배 방정식은 단계적으로 엇갈린 사면구조 격자에 적응 가능한 Adam-Bashforth 2차 유한 차분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모델화 되었다. 본 모델로부터의 결과는 평면 해변에서 경사 입사파에 의해 발생된 연안류의 실험치와 타당한 일치를 보였다. Wave-induced currents drive nearshore transport processes, and henc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wave-current interaction is required for proper management of coastal zone. This paper presents details of an adaptive quadtree grid based numerical model of the coupled wave climate and depth-averaged current field. The model accounts for wave breaking, shoaling, refraction, diffraction, wave-current interaction, set-up and set-down, mixing processes, bottom friction effects, and movement of land-water interface at the shoreline. The wave period- and depth-averaged governing equations arc discrctized explicitly by means of an Adarns¬Bashforth second-order finite difference technique on adaptive hierarchical staggered quadtree grids. Results from the numerical model are in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laboratory data of longshore current generated by oblique waves on a plane beach (Visser 1980, 1991).

      • KCI등재

        대학의 이념과 교양교육의 미래

        박구용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7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liberal arts, to realize the ideal of University as an autonomous academic community in today’s society. To do this, I define the ideal of University as the Autonomy in which what can not be said would be what can be said. In this process, I shall maintain the position that the society should be inherent in discipline, rather than the discipline is inherent in society. Furthermore, to establish the spirit of University, I urge to change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to improve the ①critical thinking ability, ②rational communication ability, ③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 argue the reconstruc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hould take the type of cross disciplines instead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course. Lastly, I suggest the reconstruc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disciplines, let philosophy contribute to the liberal arts.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자율적 학문공동체로서 대학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대학의 이념을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할 수 있는 자율성으로 규정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사회 속에 학문이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 속에 사회가 내재해야만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나아가 필자는 대학의 정신을 바로 세우기 위해 우선 ① 비판적 사고능력, ② 합리적 의사소통능력, ③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양교육의 방향을 전환할 것을 주문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융・복합형 교과목의 개발보다 학문 횡단형으로 교양교과과정을 재편할 것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철학이 교양교육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과 소통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을 제안한다.

      • KCI등재

        밀에서 자유와 사회의 관계

        박구용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38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Mill's theory of liberty as a theoretical model of 'social liberalism'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ty and society.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meaning horizon of social liberty that Mill spoke of in his On Liberty(2). For him, social liberty is both passive and active, and aims for a free individual and a free society at the same time. A society in which individual freedom is maximized is a free society. Mill notes that society suppresses individual liberty when dominated by the popular opinion of the majority. I critically examine Mill's view of public opinion and democratic publicity that suppresses freedom(3). In this chapter, I evaluate Mill's social liberty as having two semantic horizons: limiting power and realizing individuality. However, he is suspected of denigrating society as a battleground of corrupted desires by taking the view that the power to be restricted for freedom is the socially formed opinion and will. Because Mill paid too much attention to the possible harms of 'tyranny of the majority', his liberalism runs the risk of being distorted into antisocial individualism or the elitism of creative individuals. In order to examine the scope of the validity of this criticism,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liberative democracy in his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4). His theory of democracy, which focused on participation, cooperation, discussion, and deliberation, seems to provide a basis for reconstructing his theory of liberty as a model of social liberalism. His model of liberalism based on the reciprocity of freedom and society appears to be liberal socialism(5). 이 글은 자유와 사회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밀의 자유론을 ‘사회적 자유주의’의 한 이론 모형으로 설정하고 그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유론 에서 밀이 말하는 사회적 자유의 의미 지평을 살핀다(2). 그에게 사회적 자유는 소극적 자유이면서 동시에 적극적 자유이며, 자유로운 개인과 동시에 자유로운 사회를 지향한다. 개인의 자유가 최대화된 사회가 곧 자유로운 사회다. 그런데 밀은 사회가 다수 대중의 여론에 지배당할 경우 개인의 자유는 억압된다고 본다. 이 맥락에서 자유를 억압하는 여론과 민주적 공공성에 대한 그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살핀다(3). 이 장에서 나는 밀의 사회적 자유가 권력 제한과 개별성 실현이라는 두 가지 의미 지평을 갖는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그가 자유를 위해 제한되어야 할 권력이 사회적으로 형성된 의견과 의지라는 데에 관심을 집중한 나머지 사회를 타락한 욕망의 각축장으로 폄하하는지 살핀다. ‘다수의 폭정’이 가질 수 있는 폐해에 지나치게 관심을 기울인 나머지 밀의 자유주의는 반사회적 개인주의와 혹은 창조적 개인들의 엘리트주의로 왜곡될 위험이 있다. 이런 비판의 타당성 범위를 살피기 위해서는 그의 대의정부론 에서 나타나는 심의민주주의 성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4). 참여, 협력, 토론, 심의에 주목한 그의 민주주의 이론은 그의 자유론을 사회적 자유주의의 모형으로 재구성할만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지점에서 비록 선언적이기는 하지만 그가 「자서전」에서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밝힌 부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 자유와 사회의 상호성에 기초한 그의 자유주의 모형은 자유 사회주의로 보인다(5).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

        박구용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4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rom the horiz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I offer the view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only be recognized as the democratic one when it is conduc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human rights and sovereignty as well as publicity and intimacy. This means that such education nee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of a certain type of crises and sufferings. In other word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accommodate those who are unable to exercise popular sovereignty and global citizenship(1). The currrent pandemic situation makes us realize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nseparable from the idea of democracy(2). I delve into J. Habermas’s work in order to formulate an adequate framework for world citizenship as a sovereignty based on the mutual constraints of human rights and sovereignty(3). Lastly, I analyze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s and offer some direc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4), and I suggest the value of human love as intimacy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5).

      • 지급결제제도의 결제완결성

        박구용 한국금융법학회 2006 金融法硏究 Vol.3 No.1

        In accordance with Act on Bankruptcy and Rehabilitation of Debtors (entry into effect on April 1,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fied Insolvency Law”), the Bank of Korea decided to designate 5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including BOK-Wire, the Interbank CD/ATM System, the Interbank Funds Transfer System, the Electronic Banking System, and the CLS System, as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to be guaranteed settlement finality effective from August 21, 2006. Settlement finality means that payments made through the systems designated as above upon orders of the payment system participants are unconditionally binding and irrevocable under operational rules of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notwithstanding any other circumstances or laws. This legally and practically rules out the application of clauses in Unified Insolvency Law, which hampers settlement finality, such as avoidance power of trustees in bankruptcy and regulations on presumption, in order to ensure finality of individual transfer orders (payment) and interbank net settlement. Guarantee of settlement finality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past and there have not been any serious problems involving a lack of relevant legal framework. Recently, however, the EU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established or amended relevant laws to guarantee settlement finality of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as there are more frequent cross-border financial transac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s(BIS), recommended establishment of legal grounds for guaranteeing settlement finality. In recognition of such a global trend, the Bank of Korea made a request to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Unified Insolvency Law to set up legal basis for guaranteeing settlement finality of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As a result, the Unified Insolvency Law includes the special provisions(Articles 120 and 336) which guarantee the validity of payment orders or settlements related to these orders made through th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designated by the Governor of the Bank of Korea in consultation with the Minister of Finance and Economy. As settlement finality of the five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is legally guaranteed, it ensures normal operation of these systems as well as stability of financial market even in case of bankruptcy of financial institutions. Moreover the legal framework complying with the global standards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advancement of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and to globaliz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