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임상 신규간호사의 상급 초보자에서 적임자로 되어가는 경험

        박광옥(Park, Kwang-Ok),김종경(Kim, Jong Ky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 in transition from new graduate nurses to professional clinical nursees in a hospital. Methods: Ten new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y. Results: The analysis yielded five core category themes from new nurses for becoming a professional nurse: (a) beginning of hardship journey (b) feeling of inability in workplace (c) struggling hard to develop skills (d) enduring hardships by soothing oneself and peer support (e) beginning of an exciting journey. Conclusion: Over time, new nurses face many difficulties in transition to a professional status. To enhance the role development of new clinical nurses in hospital settings, nursing schools and clinical fields must teach and prepare them. Nursing schools should teach a strong theoretical base as well as nursing skills. In addition, in the clinical nursing department, education, teaching the integrated systems, staff development, support, evaluation, and feedback are needed for new nurses’s development.

      • KCI등재

        간호 조직문화에 대한 국내 간호연구 고찰

        박광옥(Kwang-ok Park),박성희(Sung Hee Park),유미(Mi Yu)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간호학에서 조직문화연구의 현 상태는 물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간호조직문화’와 관련된 연구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국내의 간호 조직문화와 관련된 한국연구재단 등재 후보지 이상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총 30편의 논문이 최종 선별되었으며 그 수에 있어 1990년대 말 이후 논문수가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비 실험연구이며 관계지향적 문화, 혁신 지향적 문화, 위계 지향적 문화, 업무 지향적 문화로 구성된 문화유형을 정의하고 있는 경쟁가치모델의 이론적 접근과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간호조직문화와의 관계를 보고자 하는 요인들은 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유효성 등간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는 연구들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의 간호 조직문화에 대한 다음 단계의 연구에서 다양한 접근방법과 연구방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The authors reviewed research related to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that analyz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ere selected from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were reviewed. A total of 30 articl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studies 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has shown a rapid increase since the late 1990s. Most research studies used a non-experimental design. The most frequently used organizational culture model and instrument was the competing values model defining culture pattern, which consists of relation-oriented, innovation-oriented, hierarch-oriented, and task-oriented culture. Other factors showing correlation with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cluded job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so on.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leaders. In Korea, the next phase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 will require use of various approaches and research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인이 이용한 고용서비스 경험의 제도적 상호관계 탐색 -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

        박광옥(Park Kwangok),이동석(Lee Dongsuk)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을 통해 취업 진입과 유지에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제도적 상호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도적 상호관계를 탐색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명의 발달장애인과 총 11명의 관련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현장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퀀스 분석으로 탐색된 제도적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은 고용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나를 배제한 대화의 장’, ‘낯선 도구평가라는 관문’, ‘나도 모르는 나의 계획’, ‘기한이 없는 직업준비 과정’, ‘알아야 할 정보가 누락되는 단순중개’, ‘원하지 않아도 참여해야 하는 과정’, ‘발달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옹호 부재’, ‘장애인고용제도 안에서도 힘을 잃는 지원’ 등의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은 실천 현장의 서비스 서식, 관련법과 제도 등 제도적 텍스트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결국 발달장애인의 입장에서 본 고용서비스의 실제는 제도 안에서 발달장애인 주체를 찾기 어려웠으며, 그들의 다양성과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정책적으로 장애인 고용영역의 사회적/자립생활 모델로의 전환, 발달장애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지원체계 구축 및 제도 간 연계 강화, 고용촉진과 유지를 위한 균형 있는 정책 설계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천적으로 발달장애인 이용자의 서비스 공동계획을 위한 근간 마련, 쉬운 버전의 서비스 서식 사용, 자립역량 중심의 직업적응훈련 개편, 발달장애인의 옹호 기능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finding and maintaining a job in relation to their experiences with employment service. Social organization implies the governing relationship that influences and controls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the institutional ethnography which is widely used to explore institutional relationships in applied studies within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by the depth interview and the spot observation into the 20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and 11 workers. As a result of sequence analysis, this study find out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discussion on me without me’, ‘gateway filled with a strange assessment instrument’, ‘my plan that I don`t know’, ‘endless preparation for job’, ‘simple brokerage that omitted necessary information’, ‘course that I should reluctantly participate in’, ‘no advocacy fo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and ‘support that have no power even in employment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se experiences happen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policy texts. After all,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no independence in the institution and the institution does not accept the divers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respec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employee in the real world. Finally, it draw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analysis.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에 정착한 시설장애인의 탈시설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른 구조화와 검증 -

        박광옥(Park, Kwang Ok),오욱찬(Oh, Uk Chan),김성희(Kim, Seong Hee),오다은(Oh, Da 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1

        이 연구는 Robert K. Yin(2011)의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라 총 11개의 탈시설 영향 요인의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고, 지역사회에 정착한 탈시설 장애인 총 25명의 사례를 기반으로 탈시설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미시, 중시, 거시, 시간체계에서 총 24개의 촉진 요인, 총 15개의 지연 요인이 검증되었으며, 미시체계에서 ‘가족 형성 및 재구성’, ‘시설 입소 상황’ 등 2개의 촉진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에는 개인과 시설 단위의 미시 체계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탈시설을 촉진할 수 있는 중간, 거시 체계 차원의 긍정적 지원과 개입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을 촉진하기 위해 미시 체계의 수준을 넘어선 다양한 환경 체계의 지원과 교류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장애인 탈시설 지원을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case study method of Robert K. Yin(2011) to present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11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in accordance with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verified the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25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left residenti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 facilitators and 15 inhibitors were verified in micro, intermediate, macro, and temporal systems, and two new facilitators were derived in micro-systems: ‘family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and ‘facility entry situation.’ This showed that micro-system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facility level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positive support and intervention at the intermediate and macro-system levels to promote the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move out of the residential facility in the future, several policy measures and practical suggestions, including the need for support for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beyond the micro-system level, were present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메타인지에 대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

        박광옥(Park, Kwang Ok),유미(Yu, Mi)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in sophomor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64 nursing students (32 in the experimental and 32 in the control group) from two Korean universit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betwee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 and December 15, 2016.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between the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s were measured for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3.16, p=.002); intellectual integrity (t=2.85, p=.006); and open-mindedness (t=3.30, p=.002) relative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t=-0.14, p=.888).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found. (r=.62, p<.001). Conclusion: The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