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rtemisia속 식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

        박건영,하정옥,유영법,이종호,박종철,Park, Kun-Yeong,Ha, Jung-Ok,Yu, Young-Beob,Lee, Jong-Ho,Park, Jong-Cheol 한국생약학회 1996 생약학회지 Vol.27 No.2

        The extracts of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 argyi, A. capillaris, A. rubripes and A. laciniata were investigated on the antimutagenic effect againt aflatoxin $B_1$ $(AFB_1)$. The methanolic extracts of 5 Artemisia species reduced the mutagenicity of $AFB_1$. And also 4,5-O-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A. princeps var. orientalis revealed the antimutagenic activit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아스콜빈산에 의한 Aflatoxin B₁의 파괴에 관한 연구

        박건영(Kun-Young Park),권미향(Mee-Hyang Kwe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6 No.1

        AFB₁과 아스콜빈산(AA)이 산성 PH(PH 1~7)에서 반응하는 동안 (37℃에서 5일간) 상당량의 AFB₁이 파괴되었다. 반응기간 중 AFB₁은 PH5~7 사이에서 대조군의 경우 거의 파괴되지 않았는데 AA가 존재할 때 5일 후 50~66%가 파괴되었다. PH4 이하에서는 대조군 자체에서도 PH가 낮아지면서 AFB₁의 파괴가 증가되었지만 AA 존재하에서는 그 파괴량도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PH가 떨어질수록 속도도 증가했다. AFB₁이 AA와 반응했을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FB₁량이 점차 감소하여 60℃에서 반응할 때는 3일 후에 전혀 AFB₁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5℃에서는 반응기간 중 AFB₁은 안정했다. AFB₁이 산화제 (CuSO₄ㆍ5H₂O)가 첨가된 AA와 반응했을 때 그 반응속도는 급격히 증가되어 90~96%의 AFB₁이 파괴되었으며, 대조군의 4%만이 파괴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환원제 L-cysteine을 첨가했을 때 하루동안 AFB₁의 파괴는 거의 없었으며 반응기간 중 대조군보다 소량의 AFB₁이 파괴되었다. AFB₁의 파괴는 AA의 농도에 따라 달랐는데 AA 농도가 감소할수록 파괴 속도가 감소했지만 AFB₁의 농도는 이 파괴 반응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과 AA가 반응하여 새로이 생성된 반응문은 TLC, RPLC 및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였을 때 AFB_(2a)로 동정되었으며, AFB₁의 분해와 더불어 AFB_(2a)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 결과에 비추어 AA 존재시 AFB₁의 파괴는 AA 산화기간중 생성된 산화 생성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Large amount of aflatoxin B₁(AFB₁) is disappeared in the presence of L-ascorbic acid(AA) in buffer solution at pH values from 1 to 7 during 5 days of incubation at 37℃. AFB₁ was quite stable at pH's between 5 and 7 when AA was absent(control), however, 50~60% of AFB₁ was degraded in its presence after 5 days. The rate of disappearance of AFB₁ increased with a decreasing of pH in the presence of AA, even though AFB₁ in the control degraded increasingly with the decrease in pH(pH≤4). The level of AFB₁ decreased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when AFB₁ reacted with AA. The aflatoxin could not be detected at all after 3 days when the reaction occurred at 60℃, while the aflatoxin was stable at 5℃ thoughout the reaction period. 90~96% of AFB₁ was found to be degraded in a day when AFB₁ reacted with AA plu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uSO₄ㆍ5H₂O, showing remarkably faster rate than the control; howev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cysteine instead of CuSO₄ㆍ5H₂O protected the degradation of aflatoxin and no AFB₁ was degraded for a day and resulted in less AFB₁ disappeared than the control. The degradation of AFB₁ was dependent on AA concentration and the rate of disappearance as the concentration of AA decrease, but AFB₁ concentration did not influence the rate. The product formed when AFB₁ reacted with AA was identified to AFB_(2a) by using HPLC chromatographic examinations, and by UV spectrum of AFB₁ reacted with AA. The disappearance of AFB₁ was correlated well in the appearance of AFB_(2a). From the results, the degradation of AFB₁ in the presence of AA is probably due to one or more of the oxidative products of AA which was produced during the AA oxidation.

      • SCOPUSKCI등재

        김치재료 및 김치의 식이섬유와 조섬유 함량연구

        박건영(Kun-Young Park),하정옥(Jung-Ok Ha),이숙희(Sook-Hee R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1

        배추김치 재료 및 김치의 총 식이섬유(수용성 및 불용성)함량 측정과 조섬유 함량을 측정하여 김치의 실제 이용 식이섬유 함량을 섬유소로 알려진 조섬유 함량과 비교확인하였다. 김치재료 중 마늘(22.3±1.3%)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춧가루(31.7±0.1%)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많았다. 김치재료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건조물당 19.1~39.1%로 고춧가루(39.1±0.6%)가 가장 높았다. 김치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2배 정도 많았고 생김치와 5℃에서 3주 발효한 김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20.7±0.1%와 24.0±0.1%로 적당히 익은 김치의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김치재료의 조섬유 함량은 총 식이섬유 함량과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마늘은 1.3±0.1%로 가장 낮았고 고춧가루는 20.5±0.7%를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섬유 함량은 식품성분표에서의 함량과 비슷하여 신선물당 생김치는 0.7±0.1%, 3주 김치는 0.9±0.1%였으나 건조물당은 생김치 8.2±0.5%, 3주 김치는 9.3±0.2%로 총 식이섬유 함량의 1/2~1/3 정도이었다.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Korean cabbage, radish, red pepper powder, garlic and ginger) were quantitated. On dry matter basis, the garlic contained the highest amount(22.3±1.3%) of soluble dietary fiber(SDF), and red pepper powder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insoluble dietary fiber(IDF, 31.7±0.1%) and total dietary fiber(TDF, 39.1±0.6%) among the kimchi ingredients. Kimchi contained 8.3~8.5% more IDF than SDF. TDF contents of raw kimchi(0 week) and fermented kimchi(3 weeks at 5℃) were 20.7±0.1 and 24.0±0.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rude fiber(CF)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were largely different from those of TDF in the samples. CF content of garlic was the lowest value of 1.3±0.1%, but CF content of red pepper powder was the highest value of 20.5±0.7% among the kimchi ingredients. CF contents of the raw kimchi and the fermented kimchi were 8.2±0.5% and 9.3±0.2%, respectively. Thus, the actual dietary fiber content of kimchi is 2 to 3 times that of the crude fiber reported.

      • SCOPUSKCI등재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박건영(Kun-Young Park),이규복(Kyu-B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4 No.2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²과 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br/>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²)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₁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 B₁(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량의 AF G₁(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 B₁+G₁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 B₁/G₁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 B₁/G₁율을 나타내었다.<br/>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²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 B₁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 B₁을 생성하였다(p<0.05). AF G₁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with two different levels of inoculum sizes (10² and 10^6 spores) was studied on such varieties of soybeans produced in Korea as Bongeui, Hwang Keum, Jangbaek, Danyeop, Jangyeop and Namcheon. With the inoculum size of 10² spores/10 g of soybeans,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 (p<0.05) on the production of aflatoxins in the varieties of soybeans. The variety of Namcheon produced 7 times higher amount of aflatoxin B₁ than that of Bongeui. The variety of Jangyeop produced the highest level of aflatoxin G₁ among the varieties employed. Namcheon and Jangyeop were the varieties which supported high amounts of aflatoxins. Much higher levels of aflatoxins were obtained on the soybeans than on rice in general with the inoculum size of 10² spores. With the inoculum size of 10^6 spores/10 g of soybeans,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flatoxins were synthesized by the mold than those with 10² spores. The variety of Namcheon resulted in the lowest production of aflatoxin B₁ while Hwangkeum was the variety that produced highest amount of aflatoxin B₁.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varieties on the production of aflatoxin G₁ by the mold except the variety of Hwangkeum. Lower quantities of aflatoxin B₁ were produced by the mold en the soybeans than on rice with the inoculum size of 10^6 spor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