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에 관한 연구

        민부자 ( Bu Ja Min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반이 되는 설계 모형을 구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초등교육의 특징과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 둘째,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 요소에 대한 탐색; 셋째, 일선 초등교사의 의견 조사; 넷째, 초등학교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으로 이루어지며, 각 연구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문헌 연구, 조사 연구, 개발 연구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초등교육은 유치원 및 중등학교와 구분되는 기초성·형성성·통합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과정으로서의 교육`을 추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구성 요소로 첫째, 교육목표의 설정 원천인 사회·교과(학문)·학습자를 고려하고; 둘째, 교육과정 구성 영역으로 기존의 교과·재량활동·특별활동 보다는 21세기형 인재 양성을 위해 요청되는 교과·통합적 역량 개발 활동·특별활동을 제안하며; 셋째, 저학년·고학년의 두 개 학년군을 교육과정의 조정 준거로 제시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which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re are four main subjects. First, it analyzes the special feature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ly, it inquires the main elements of curriculum design model. Thirdly, it surveys the idea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thly, it coins out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of the elementary education. It uses three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model development. Elementary education has special features such as the foundation and basis of education, formation of basic identity of students, and unity or integration differentiated from kindergart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o we should persue an elementary education as a procedure or process not a product. Next, it pays attention on three composition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We should consider, 1) society, subjects and leaners as a basic educational sources, 2) subject, activities for building up unified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to cultivate men of talent for future, 3) grades to coordinate curriculum design model with students` development.

      • KCI등재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차이 분석

        민부자 ( Bu Ja Min ),조호제 ( Ho Je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교육경력별·소지학위별로 수석교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파악한 후 IPA 격자도로 분석, 중요도와 수행도가 일치하는 영역은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그렇지 않은 영역은 수행도를 높이거나 과잉 투자를 줄이도록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수행도, 둘 간의 격차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분석 결과,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각 직무의 중요도를 조금 더 높게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행도 역시 다른 학교급에 비해 다소 높게 응답하였다. 교육경력이 많거나 높은 학위 소지자 일수록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IPA 격자도로 분석한 결과, 유지 영역과 집중 영역에 해당하는 직무들은 현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돕고, 저순위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보다 높은 수행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 수석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집중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측면에서 핵심 사항에 해당되므로 수석교사가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수 강화, 자기 연찬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과잉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중요도에 비해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므로 이 부분 역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ster teacher`s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re related to with each o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s. Elementary school master teachers have a little high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In accordance with this, the performance was also higher than other school teachers. The higher one`s teaching career and degree are, the higher the performance i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IPA difference show that careers related to maintenance and concentration domains need to help master teachers to continue their contemporary position. And we need to support master teachers in various aspects of low grade domains. Because the concentration domains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or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training and studies for higher performance. In contrast we need to reform investment for the job related to the surplus domains.

      • KCI등재
      • KCI등재

        이공계 진로의식 신장을 위한 초등 5~6학년용 설계기반 미래 유망직업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임유나 ( Yoo Na Lim ),민부자 ( Bu Ja Min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생명·의공학 관련 분야의 미래사회 유망직업 가운데 초등학교 5~6학년의 교과 내용과 연계가 가능한 직업들을 선정, ‘설계기반 미래 유망직업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확인한 것이다. 각 프로그램은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과별로 통합이 가능한 성취기준들을 추출한 후, 과학·기술·공학의 최신 이슈를 포함하고 STEAM 준거(틀)에 따라 집단 숙의를 거쳐9개월간 개발되었다. 또한 생명·의공학 관련 직업을 창의적 설계가 강조된 모의적인 형태로 진로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이공계진로를 탐색하고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검증 단계에서 STEAM 리더 스쿨에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이 적합하고, 이공계 관련 직업에 대해 모의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끌어낼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현장적용 과정을 통해 자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최종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을 다른 학교의 일반학급에 투입한 결과, 초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과학 수업에 비해 STEAM 프로그램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 만족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교육과정 내용 기준이 더욱 핵심적인 지식 및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대강화될 필요성, 교육과정재구성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통합을 위한 기준’의 제공, STEAM 프로그램을 재구성 또는 조직하고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 개발, STEAM과 같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효과를 얻기 위해 장기간의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 교과내에 통합된 진로교육의 강화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In this research, two careers connectable with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fif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mong other promising future careers in biotechnology and medical engineering fields. ``Design-based promising future career STEAM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validity and effectiveness were verified. Reflecting recent issues, and complying with the STEAM standard (fram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through group deliberations for nine month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an analysis of subject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is was prepare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experience biotechnology and medical engineering related careers in a simulational form emphasized with creative design to make them prefe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careers and draw their interests and recognition of the relevant careers under the two disciplines. As a result of such application to STEAM Leader School students at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program, the contents and level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suitable, receiving favorable reviews. A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on o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discovered that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ir career consciousnes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implifica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standards, a provision of ``standard for integration,`` development of teachers` ability in reconstituting or organizing the STEAM and proceeding classes, continuous long-term support to see the effects of a policy or a program, and a reinforcement of career education integrat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국정 교과용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이림 ( Rim Lee ),장소영 ( So-young Jang ),민부자 ( Bu-ja Min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교과별 교과용도서 검·인정 제도에 대한 검토, 교과용도서 개발에서의 관련 집단 의견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국정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초등교사의 의견 조사 결과, 모든 교과에서 높은 비율로 국정을 유지하는 의견을 보였고, 국정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 대체적으로 ‘국민의 기초·기본교육 책임’을, 검·인정 변경으로 선택한 경우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기준해석 및 구현’을 그 이유로 들었으며, 학년군별 교과용도서 발행제에 대해서는 ‘모든 학년에 같은 발행제를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의 경우 교과와 상관없이 국정 유지 필요성으로 국가차원 정책의 통일성 강화 및 운영의 효율성 도모와 교육 및 교과용도서 질 관리 등을, 검·인정 변경의 필요성으로 교육과정 기준 내의 내용 및 교수방법의 다양성 확보 등을 들었다.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에서는 국정도서의 개발에 있어 교사연구회 등 응모 대상 확대, 국정 도서 집필에 있어 검정 집필진의 참여를 허용하는 정책으로의 수정, 국정도서 심의진에 교육과정 개발자 참여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정도서의 개발과정에 있어서는 교원의 대거 참여, 집필진 연수 실시, 그리고 집필 몰두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연구진들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에 있어 주요한 부분은 법규로 분명히 명시해 둘 필요, 검정 전환에 대한 신중한 접근 필요, 교과용도서 개발에 있어 우선순위를 고려할 필요 및 또한 교과용도서 발행제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교사의 자발적 수업 연구를 지원하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In a survey on primary school teachers, high percentage of teachers suggested on maintaining the existing textbook as the government-designated(GD) books in all subjects. For people who agreed on maintaining the existing textbook as the GD books, many people pointed out ‘Responsibility for fundamental and basic education for people’ while people who chose changes to authorized/ pproved books claimed for ‘Diverse and creative interpretation and realization of curriculum standards”. Some experts answered that the textbook should be remained as the GD books regardless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unity in national policies, promoting operational efficiency. while, other experts claimed that changing to authorized/approved books is necessary for keeping up with changes to contents in curriculum standards and securing diversity teaching methods. In a survey on experts’ opinion regarding improvements on compilation and procedures of textbooks, most experts claim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olicy that restricts people in charge of examinations development from participating in writing the government-designated books. Furthermore, experts pointed out that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participate in a review group for government-designated books and that more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ing government-esignated books. In addition, experts pointed out training for writing staff and creating environment for focusing on writing the books.

      • KCI등재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백혜조 ( Hei Jo Baik ),민부자 ( Bu Ja Min ),변자정 ( Ja Jung Byun ),조호제 ( Ho Je Cho ),하화주 ( Hwa Ju Ha ),장소영 ( So Young Jang ),이혜정 ( Hye J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교육에서 학부모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150개 지역에서 4천여 개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복, 혼란, 낙차, 비약, 학교급 요구나 수요자 요구를 무시한 제공자 위주 등의 문제를 낳고 있어 일정한 기준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목적은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 학부모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구체적인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데 바탕이 되는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을 개발·제공하는데 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주체는 연구진, 협의진, 현장의견진, 심의진이었고, 연구진이 협의진, 현장의견진의 의견을 들어 다듬은 학부모교육과정 기준은 초안, 시안, 심의안의 단계를 거쳐 심의진의 심의 후 최종안으로 확정되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그 성격·목표·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본토대(platforms),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바탕이 되는 내용의 구성체제 및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진 구성 틀(frameworks), 그리고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데 필요한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한 실행지침(guidelines)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누가(연구진-협의진-현장의견진-심의진), 어떤 합리적이고 타당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무엇을(학부모교육과정기준의 초안-시안-심의안-최종안) 개발하였는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 과정과 결과를 반성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r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establish curriculum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parent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tire process of “who” (R&D committee, consulting group, lay group, approval council) and “how” the curriculum standards should developed adequately (draft-proposal version-approval version), based on reflective notes. We presided over the principal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by educational researchers, a consulting group and a lay group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a curriculum standards approval council. The researchers gathered preliminary opinions from the consulting and lay groups. These standards were then compiled a written draft, which was then revised as a proposal version and finally as an approval version. The finalization, through deliberation and examination, of the approval version referred to the approval council concretized the fi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tudents` parents. The curriculum standards were composed of three designated parts: platforms for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ontent frameworks for achieving the stated purpos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arrying out the first two parts.

      • KCI등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 운영 효과 비교 연구

        임유나(Lim, Yoo-Na),김대석(Kim, Dae-Seok),민부자(Min, Bu-Ja),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3

        교과교실제는 교과의 특성과 목적 및 그 내용과 방법에 맞게 수업을 하기 위해 시설과 설비를 재구축하는 중요한 교육개혁안으로 전국의 중등학교에서 확대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 운영의 효과가 얼마나 큰가에 따라 교과교실 확충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확정할 수 있다고 보고 중등학교에서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에 따른 수업 효과나 만족도의 차이를 교과별(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학교급별(중학교, 고등학교)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의 경우 교과교실과 일반교실 사용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과 교과에 있어서 제한적인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고등학교에서는 교과교실과 일반교실에서 학습하는 학생들이 모든 변인과 5개 교과 대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교과교실의 효과가 분명히 드러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교과교실 사용 집단과 일반교실 사용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과교실은 중학교보다 효과가 큰 고등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subject-tailed classroom system is currently promoted for secondary schools in nationwid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reform plans and it is for preparing classrooms and facilities suitable for subjects to be taught in such classroom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teaching effects and satisfactions of a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a general classroom for 5 subjects and school levels.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lmost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the general classroom in case of middle school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most all 5 subjects and all survey questionaries between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the general classroom in case of high schools. Also, such difference is more significant in the high school than the middle school. Thus, it sh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system should be promoted and employed for the high school rather tha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