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r Begriff Verantwortung und seine Verwendung in der Unternehmensethik im Hinblick auf Max Weber, Hans Jonas und Karl-Otto Apel

        민병욱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4

        The present work shows the content of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nd its application in corporate ethics using the example of Max Weber, Hans Jonas and Karl-Otto Apel. The various concepts of responsibility put forward by Max Weber, Hans Jonas and Karl-Otto Apel have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conceptual economy in Germany and they find their validity in the traditional anchoring of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German companies. Corporate governance requires that ethical considerations and stakeholder expectations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business decisions. It is questionable how realistic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can actually be in everyday business life. From this, an integrity approach of corporate ethics is derived. From an integrative-ethical point of view, the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of doing business can not be achieved by outside activities, but must extend to the management in all its dimensions. Die vorliegende Arbeit zeigt den Inhalt des Begriffs der Verantwortung und seine Anwendung in der Unternehmensethik am Beispiel von Max Weber, Hans Jonas und Karl-Otto Apel, um eine systematische Konzeption unternehmerischer Verantwortung zu entwickeln und zugleich Hinweise für ein nachhaltige(re)s Verantwortungsmanagement geben zu können. Die von Max Weber, Hans Jonas und Karl-Otto Apel vorgestellten verschiedenen Verantwortungskonzepte haben in Deutschland eine große Begriffskonjunktur erlebt und sie finden ihre Geltung in der traditionellen Verankerung des Verantwortungsbewusstseins in den deutschen Unternehmen. Verantwortliches Handeln von Unternehmen erfordert, bei unternehmerischen Entscheidungen ethische Überlegungen sowie Erwartungen von Stakeholdern zu berücksichtigen. Fraglich ist, wie realistisch wirkungsvoll das Konzept der Verantwortung tatsächlich im Unternehmensalltag sein kann. Daraus wird ein Integritäts-Ansatz der Unternehmensethik hergeleitet.

      • KCI등재

        Eine Theorie der Unternehmensethik Theoretische Ansätze von Unternehmensethik in Deutschland und ihre praktische Umsetzungsmöglichkeiten

        민병욱 한독사회과학회 2017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7 No.4

        The present work shows the business ethical approaches in Germany and their practical implementation possibilities in companies. Based on various ethical theories, various approaches can be formulated in corporate ethics in Germany. These include the approaches of Homann, Steinmann and Ulrich.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usiness ethics discussion corresponds to the actual situations and demands of the company practice, business ethical approaches should be applied in the entrepreneurial practice. The application problem of corporate ethics can be discussed at various levels or at the personal level (with regard to personnel development in the compan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tructural or cultural aspects or instrumental concepts for ethical sensitiz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restrictions outside the company (cross-company agreements such as Global Compact, ISO DIN 26000 and ISO 14001) can als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corporate ethical application and concretization issues. Die vorliegende Arbeit zeigt die unternehmensethischen Ansätze in Deutschland und ihre praktische Umsetzungsmöglichkeiten in Unternehmen. Auf verschiedenen ethischen Theorien aufbauend, lassen sich in der Unternehmensethik in Deutschland verschiedene Ansätze bilden. Hierzu gehören die Ansätze von Homann, Steinmann sowie Ulrich. Um sicherzustellen, dass die unternehmensethische Diskussion der tatsächlichen Situation und den Ansprüchen der Unternehmenspraxis entspricht, sollten unternehmensethische Ansätze in der unternehmerischen Praxis angewendet werden. Die Anwendungsproblematik der Unternehmensethik kann auf verschiedenen Ebenen diskutiert werden, z. B. in der personellen Ebene (in Bezug auf Personalentwicklung im Unternehmen) und in der organisationalen Ebene (strukturelle oder kulturelle Aspekte oder auch instrumentelle Konzepte zur ethischen Sensibilisierung der Unternehmensführung). Außerdem können auch unternehmensexterne Restriktionen (unternehmensübergreifende Vereinbarungen wie Global Compact, ISO DIN 26000 und ISO 14001) einen Anknüpfungspunkt für unternehmensethische Anwendungs- und Konkretisierungsfragen biet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村山知義 연출 <춘향전>의 공연사회학적 연구

        민병욱 한국문학회 2003 韓國文學論叢 Vol.33 No.-

        <Chunhyangjeon> was the new drama performed for the sake of an alternative direction of modem dramas when the traditional drama movement was reconstructed and the historical drama was at the height of its prosperity through the period of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in the late 1930s. While the modern drama of Chosun had its foundation on realism and secured the audience by the illusion effect of reality, the modern drama of Japan didn't guarantee the audience by the combination of Gabuki styles and the realistic aspects of modem dramas. In conclusion,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 direction of the modem drama in Chosun and Japan was to secure the audience.

      • KCI등재

        三老人시기 중국 동북지역의 연극사적 상황 연구

        민병욱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조선족 공연양식 三老人과 동북지역 지방극 간의 상호영향관계를 해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1951년 희곡개혁과 이를 전제로 한 동시대 동북지역 지방극의 연극사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1951년은 三老人의 생성 시기이면서 1951년 희곡개혁시기이기도 하다. 동시대 희곡개혁의 이론적 토대는 1942년 ‘연안문예좌담회연설’, 1951년 ‘희곡개혁사업에 관한 지시’이다. 1942년 ‘연안문예강화’에서 제시된 희곡개혁의 당면과제는, 형식에 있어서는 서구적인 연극을 지양하고 구극을 민족 민간형식으로 개조하거나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며, 내용에 있어서는 당시 무산계급의 생활체험인 토지개혁투쟁을 실천하는 것이다. 1951년 ‘희곡개혁사업에 관한 지시’에서 제시된 희곡개혁의 당면과제는 改戱, 改人, 改制이다. 改戱는 역사적 진실과 인민의 교육에 대한 효과를 기준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알려진 기존의 극목을 심사하여 수정하는 것이며, 改人은 희곡예술인들이 정치, 문화, 업무에 관한 학습을 강화하고 자신을 제고시키는 것이며, 改制는 예인들 스스로의 자각에 의한 제도의 개혁, 극단과 극장의 제도 개혁이다. 改戱, 改人, 改制의 관계에서 본다면 희곡개혁의 궁극적인 목적은 改戱이며 改人과 改制는 그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그 결과 희곡개혁은 구극의 개편, 신편 역사극의 제작, 현대극의 공연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서 지방극의 改戱는 1951년 희곡개혁 공작과 1958년 지방극종개혁 공작으로 구체화 된다. 곧 지방극의 개혁은 그 지역의 군중들에게 영향력을 큰 극종인 민간 小戱를 대상으로 하여 신구 극본의 수집, 기록, 간행하는 것이며, 매년 전국적인 희곡 경쟁 공연을 한 차례 거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예정책 아래서 동북지역에서 희곡개혁은 그 지역에서 널리 공연되는 된 가극 ≪白毛女≫과 동북지역 지방극인 二人轉, 龍江劇, 吉劇, 吉林省의 지방극인 呂劇, 新城戱, 黃龍戱, 滿族新城戱, 遼寧省지방극인 海城喇叭戱, 辽南戱,凌源影凋戱, 소수민족 조선족 지방극인 唱劇과 몽고족 지방극인 阜新蒙古劇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三老人의 생성 및 정착시기에서 본다면 동북지역에서 널리 공연된 것은 가극 ≪白毛女≫와 동북지역 지방극 二人轉, 龍江劇, 吉劇이며, 동북 3성의 각 성과 소수민족의 지방극은 특정 지역, 지구에서만 공연된다. 특히 農民戱로 시작하여 동북지역 지방희로 된 二人轉은 20세기 초에는 이미 동북 3성 및 하북, 내몽고의 일부지역에까지 퍼졌나갔다가 1948년 동북지역의 해방으로 심양, 장춘, 하얼빈 등 지역 대도시에 정착한다. 1953년 그 명칭이 공식화되고, 1958년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현재에 이르러서는 상시 공연되는 180여 개를 포함한 300여 개의 전통 극목과 다양한 현대 극목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지방극 386종 가운데 가장 널리 공연되는 대중적인 지방극이다. 이러한 二人轉은 동북지역 지방극을 개혁하는 기초가 된다. 동시대 二人轉을 기초로 하여 동북지역 지방극으로서 龍江劇과 吉劇이 창조된다. 龍江劇은 기본 형식에 있어서 二人轉을 계승하여 표현수단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아름다운 곡조와 섬세한 연기를 보여 준다. 吉劇도 기본 형식에 있어서 二人轉계승하여 표현수단에 있어서 는 상대적으로 소도구를 많이 사용하고 武場(타악기로 구성된 악대)을 강화하여 무술장면을 강화하여 보여 준다. 이에 본고는 동시대 동시기 널리 공연된 조선족 설창예술의 역사적 극 장르로서 三老人과 중국 설창예술의 역사적 극 장르로서 동북지역 지방극, 특히 二人轉간의 상호영향관계를 해명하는 과제를 남겨 놓고 있다. This paper’s the first step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of samnoin and northeast local drama. To this effect this paper examine the structural reform an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atre for the chinese northeast drama, and substitute the result for the conclusion. 1) The Theatre Policy of Chinese Communists establish the theatre reform as an urgent problem on the basis of Mao’s and Zhou’s directions. 2) Mao’s and Zhou’s directions create the national form and the proletarian contents, and establish the theatre reform, the artist reform, the system reform. 3) At northeast region of China, The reform program are organized for an opera <Bai Mao Nu>, northeast local drama <Er Ren Zhuan>, <Long Jiang Ju>, <Ji Ju> and others. 4) ≪Er Ren Zhuan≫ was a widely known local drama, and laid the groundwork for molding the reform of northeast local drama. 5) On the basis of <Er Ren Zhuan>, <Long Jiang Ju> and <Ji Ju> are reformed. <Long Jiang Ju> modifies form into a beautiful melody and delicate feelings. <Ji Ju> modifies form into the use of stage properties and pulsatile instruments. 6) At the Chinese-Korean residential area, <Bai Mao Nu>, <Er Ren Zhuan> and Samnoin are local performance repertories. 7) This paper is yet tolook into the connection of Samnoin, northeast local drama and <Er Ren Zhuan>.

      • KCI등재

        金丹美의 희곡 ≪黃昏の村≫의 줄거리 구조와 그 의미

        민병욱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80 No.-

        This paper summarizes the structure and meaning structure of Kim Dan Mi's dramatic text “Hwang Hon ui Maeu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xt will be published in the theater magazine 『テアトロ』 (June 1938) under the title of “Hwang Hon ui Maeul” and the playwright named Kim Dan Mi. 2) Playwright Kim Dan Mi is an assistant in the theater company Shinji Kikaiden(劇團 新築地, 1929~1940), a leading force in the proletarian theater movement, which was created by the division of Tsukiji Shōgekijō Theater (築地小劇場, 1924~1930), which completed the Japanese modern drama based on Western modern realism. 『テアトロ』, a theatrical magazine containing her first plays, is a medium characteriz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politics of the drama, which was founded in 1934 by Ujaku Akita (秋田雨雀), who led the Japanese proletarian theater movement. 3) In the Character Table, Time-Space Remarks, and Stage direction, The tex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act that the poor farm family living in a rural area in South Korea leaves their hometowns and that the story about the farming of rural poor farmers is plotted. 4) In the plot structure, The text is composed of the Manchu immigration case centering on the Kim family and the farmers' education event centered on the Teacher. In the text, the main plot is from the greeting of the Kim family to the villagers, to the moment of leaving the village to catch the train to Manchuria, and the subplot is the event from the closure crisis to the continuation. 5) The main plot proceeds with natural disasters caused by the Flood, limitations on migration to Japan by the tourist certification system, and risk of survival due to landowner practices and high rate of rent. In this motif, the main plot shows the social collapse of the contemporary vanguard class impos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shift to Manchuria. 6) The subplot is motivated by the bulb incident and the free education of the peasant children. In this subplot,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is shaped by the eradi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pro-Japanese ruling class,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of the peasant class, the rais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knowledge of survival. 본고는 ‘金丹美’라는 극작가명으로 연극잡지 『テアトロ』(1938년 6월)에 발표된 일어체 희곡 ≪黃昏の村≫을 대상으로 하여 극작가의 전기적 정보와 발표 잡지의 매체 정보, 텍스트의 구조와 그 의미구조,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문제점과 연구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극작가의 전기적 정보를 살펴 본 바, 金丹美는 프롤레타리아연극운동의 주도세력인 극단 新築地에서 연출부 조수와 무대 감독 조수로 활동한다. 신인으로서 희곡 작품을 발표한 매체 『テアトロ』는 동시대 일본 연극을 주도하고 있는 극작가 겸 연출가 秋田雨雀가 1934년에 창간한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 매체이다. 텍스트에서 독자(관객)에게 먼저 제시되는 것은 등장인물표, 시간과 공간표지, 무대지시문의 부 텍스트이다. 부텍스트를 통하여 텍스트는 남조선 농촌에 살고 있는 빈농 가족이 고향을 떠난다는 것, 농촌 빈농의 이농에 관련된 사건을 줄거리 구조로 하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어서 대사의 주 텍스트를 통하여 줄거리 구조가 김씨 가족을 중심으로 한 만주 이민 사건과 선생님을 중심으로 한 글방의 농민교육 사건으로 짜여 있다는 정보가 제공된다. 곧 텍스트는 김씨 가족이 마을 사람들에게 인사를 하는 것에서부터 만주행 기차를 타기 위해서 마을을 떠나는 순간까지를 중심적인 플롯으로, 글방의 폐쇄 위기에서 지속까지의 사건을 부차적인 플롯으로 설정하고 있다. 주 플롯은 대홍수로 인한 수해, 여행자증명제도에 의한 일본으로의 이주 제한, 지주의 수탈 관행과 고율 소작료로 인한 생존의 위험 모티브로 진행된다. 이러한 모티브에서 본다면 주플롯은 일제가 강요한 동시대 빈농계급의 사회적 몰락과 만주로의 이향을 보여주고 있다. 부 플롯은 글방 사건, 농민 자녀의 무료 교육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부 플롯에서 본다면 친일 지배계급으로서 조선어 교육의 말살과 빈농계급의 공동체의식, 민족의식과 생존 지식의 함양을 대립으로 설정하여 민족주의 의식을 형상화 하고 있다. 따라서 텍스트는 동시대 빈농계급의 사회적 몰락과 만주로의 이향, 빈농계급의 공동체의식, 민족의식과 생존 지식의 함양을 전경화 하고 있다. 텍스트에서 전경화 하고 있는 구조와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고 맥락 속에서 밝혀내기 위해서는 극작가의 전기적 정보가 더욱더 밝혀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의 사회문화적 맥락도 밝혀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