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hoton Energy Dependence of the Sensitivity of LiF TLDs Loaded with Thin Material

        민병민,김수길,노준규,조영갑,Min Byongim J,Kim Sookil,Loh John J.K,Cho Young Kap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적 : 얇은 박막을 위에 얹은 TLD 선량계의 반응 값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고, 특히,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의 광자에너지와 표면 흡수선량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및 재료 : 본 연구에서는 TLD-100과 TLD-100 위에 얹은 Slt은 물질로는 주석, 금, 그리고 TE 플라스틱 판을 사용하였다. 각 금속 박막의 두께는 0.1 mm, TE 플라스틱 판의 두께는 1 mm였고 각 박막의 면적은 TLD-100의 면적과 같이 하였다. 방사선치료에 많이 산이는 6 MV에서 15 MV사이의 광자에너지에 대한 TLD-100의 반응감도와 금박막을 얹은 TLD-100의 반응감도, 그리고 주석 박막을 얹은 TLD-100의 반응감도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 금속 박막을 얹은 TLD의 경우 표면 흡수선량의 증가가 명백히 나타나고, 금 박막을 얹은 TLD의 경우 10MV에서 정상 TLD보다 약 1.83배 정도 과잉 반응하는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흡수선량에 따른 반응감도의 변화는 주석을 얹은 TLD의 경우가 가장 작았다 금속 박막을 얹은 TLD의 일반 TLD에 대한 상대 반응감도는 에너지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311은 박막의 조직에 대한 등가 두께에 따라 반응감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의 반응값이 고 에너지(6-15 MV)에 대한 의존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흡수선량에 대한 선형성도 뛰어난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금속박막을 얹은 TLD 선량계는 매우 작은 크기의 광자빔과 표면흡수선량의 측정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n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response reading of thermoluminescent dosimeters (TLD-100) loaded with thin material in high energy Phot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energy response of TLD-100 to the therapeutic ranges of photon beam.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technique, TLD-100 (abbreviated as TLD) chips and three different thin material (Tin, Gold, and Tissue equivalent plastic plate) which mounted on the TLD chip were used in the clinical photon beam. The thickness of each metal plates was 0.1 mm and TE plastic plate was 1 mm thick. These compared with the photon energy dependence of the sensitivities of TLD (normal chip), TLD loaded with Tin or Gold plate, for the photon energy range 6 MV to 15 MV, which was of interest in radiotherapy. Results : The enhancement of surface dose in the TLD with metal plate was clearly detected. The TLD chips with a Gold plate was found to larger response by a factor of 1.83 in 10 MV photon beam with respect to normal chip. The sensitivity of TLD loaded with Tin was less than that for normal TLD and TLD loaded with Gold. The relative sensitivity of TLD loaded with metal has little energy dependence. Conclusion : The good stability and linearity with respect to monitor units of TLD loaded with metal were demonstrated by relative measurements in high energy Photon ($6\~15$ MV) beams. The TLD laminated with metals embedded system in solid water phantom is a suitable detector for relative dose measurements in a small beam size and surface dose.

      • 위험 상황에 따른 최적의 항공기 경보음 설계

        민병민(Byung Min Min),정진호(Jin Ho Jung)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Background: 항공기를 조종할 때 조종사가 처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은 항공기가 적기의 요격 대상이 되는 등의 즉각적인 처리를 요하는 위급 상황부터, 항공기의 고도가 기준치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등의 경고 상황까지 매우 다양하다. 시각을 주 감각 기관으로 활용하는 조종의 특성상 시각 경보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청각 경보가 최적의 형태가 된다. Objective: 본 연구는 상황의 위급한 정도에 따라 비행 중인 항공기 조종사가 겪을 수 있는 위험 상황을 구분하고, 상황별 최적의 경고음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ethod: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음성 경보의 특성을 수치화하고, 지속시간, 경보간 간격, 경보음의 파형 및 승강, 경보음의 주파수 등을 조절하여 경보음의 특성과 상황의 위급한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 일치 정도를 실험을 통해 파악한다. 조종 교육을 희망하는 20대 대학생 20명 가량에게 알람 특성 조합을 경험시키고, 해당 조합에 대해 인지되는 위급성을 측정한다. 이후 위급 상황별 최적의 조합을 바탕으로 경보음을 설계하고, 모의 비행에서 해당 경보음의 시인성과 적절성을 평가한다. Results: 경보음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들이 위급하게 느끼는 정도가 달랐으며, 이를 조합하여 경보음 설계에 반영 시 사용자들의 보다 즉각적인 위기 조치 반응을 유도할 수 있었다. Application: 위급 상황의 중요도에 따른 경보음의 특징을 실제 항공기 경보음 설계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腸內細菌同定에 있어서 API-20E, Micro-ID 및 Biotest No.1 킷트 成績의 比較

        閔丙玟,金在植,金重明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3 慶北醫大誌 Vol.24 No.2

        API-20E 法이 가장 正確하다고 추정되고 Micro-ID와 Biotest 공히 그 다음이나 Micro-ID는 4시간 배양법이라는 迅速한 데 그 特徵이 있는 차이가 있으며 각각 補完檢査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는데 있어서 서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추정된다. 腸內細菌의 迅速 正確한 同定을 爲하여 Gram-음성稈菌 중 E. coli 5株, Klebsiella pneumoniae 4株와 oxytoca 1株, Enterobacter cloacae 4株, arerogenes 2株와 agglomerans 1株, Salmonella typhi 5株와 paratyphi A 8株, Serratia marcescens 4株, Shigella flexneri 3株와 sonnei 2株, Proteus vulgaris 1株와 mirabilis 4株, Pseudomonas aeruginosa 3株와 fluorescens 2株, Citrobacter freundii 2株 및 Providencia stuartii 1株를 대상으로 하여 從來法, API 20E法, Micro-ID法 및 Biotest No.1法을 利用한 腸內細菌을 同定한 成績이였다. ONPG등 22種의 生化學的性狀 檢査에 있어서 공통적인 것은 API-20E, Biotest No.1 및 Micro-ID法 모두 극소수를 際外하고 개별적으로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100%까지 매우 높은 一致率을 보였다. 菌種에 따른 一致率에 있어서는 屬까지의 레벨에서 API-20E가 84.6%로서 Biotest No.1 法의 76.9%와 Micro-ID法의 67.3%보다 더 높았다. Salmonella菌에서는 菌種까지 비교적 잘 일치하나 Shigella菌은 菌屬까지 잘 일치하였다. 同定法들 사이의 不一致는 주로 Salmonella菌, Shigella菌 및 Proteus菌에 있어서 공통적이나 Biotest No.1 과 Micro-ID法은 Pseudomonas菌에 대한 檢査는 없었다. 각 同定法에 있어서 僞陽性보다 僞陰性이 더 많았고 킷트法이 從來法보다 심하였다. 각 同定간의 一致率에 있어서 從來法에 대하여는 API-20E가 94.2%로 약간 더 높았고 API-20E法에 대하여는 Biotest No.1法이 93.5%로 Micro-ID法보다 훨씬 높았고 Biotest No.1에 대하여 Micro-ID法이 68.1%로 가장 낮았다.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was performed with 5 strains of E. coli, 4 and 1 of Klebsiella pneumoniae and oxytoca, 4, 2 and 1 of Enterobacter cloacae, arerogenes and agglomerans, 5 and 8 of Salmonella typhi and paratyphi A, 4 of Serratia marcescens, 1 and 4 of Proteus vulgaris and mirabilis, 3 and 2 Pseudomonas aeruginosa and fluorescens, 2 of Citrobacter freundii and 1 of Providencia stuartii including standard strain by API-20E, Micro-ID and Biotest No.1 kit method. These methods were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The agreement was very high in each common test item up to 100%. In agreement to genus level by organism, API-20E was 84.6%, Biotest No.1 76.9%, and Micro-ID method 67.3% and Salmonella revealed higher agreement to species level while Shigella to genus level. Disagreement between methods was mainly due to Salmonella and Shigella. No identification item for Pseudomonas was contained in Biotest No.1 and Micro-ID system. On the procedure of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false negative reaction was more frequently occured than false positive reaction and it was more severe in kits than conventional method. In agreement among methods, agreement between API-20E and conventional method was 94.2%, Biotest No.1 and conventional 93.6%, Biotest No.1 and API-20E 93.5%, Micro-ID and conventional 93.5%, and Micro-ID and Biotest No. 1 68.1%. API-20E seemed to be the most accurate method and showed higher agreement between API-20E and Biotest No.1. kit. The supplementary tests were recommended to each method to get complete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 過去 14年間의 喀痰에서의 結核菌 鏡檢成績과 培養成績

        閔丙玟,金重明,金在植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9 慶北醫大誌 Vol.20 No.2

        1963년 1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만 14년간 총 9573건 객담에서의 결핵균 검출성적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균 양성율은 21.4%, 배양 양성율은 19.6%, 경검 양서율은 5.6% 인데 배양 양성율이 경검 양성율에 비해 비율상으로 약 4배가 높았다. 배양 양성의 연도별 분포에 있어서는 1971년이 24.2%로서 가장 높았고, 1960년에는 0, 1965년에는 0.3%로서 가장 낮았으며, 경검 양성의 연도별 분포에서는 1968년과 1973년이 모두 23.1%로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1970년의 2.4%였다. 배양 양성율의 월별 분포를 보면 2월이 23.5%로서 가장 많았고, 7월이 15.3%로서 가장 적었으며, 경검 양성율의 월별 분포에서는 4.3∼6.8%의 범위로서 월별 차이는 그다지 없었다. 경검 음성, 배양 양성인예는 15.8%이며 이것을 연포별로 보면 1971년이 가장 많았고(20.1%), 1965년과 1966년은 1例도 없었으며, 1964년이 적었다(0.3%), 또 월별 분포에 있어서는 2월이 가장 많았고(19.5%), 7월에 가장 적었다(12.3%). 경검, 배양 모두 양성인 예는 3.8%였으며, 연도별로 보면 1963년이 제일 많았고(16.6%), 1966년에는 1例도 없었으며, 1965년이 적었고(0.3%), 월별로는 1월에 많았고(5.0%), 5월 과 7월이 적었다(3.0%). 경검 양성, 배양음성인 예는 1.8%였으며 연도별로 보면 1966년에 가장 많았고(31.8%), 1970년에는 1例도 없었으며, 1971년 등이 적었다(0.5%), 월별로는 7,8월이 가장 많았으며(各 2.5%) 3월에 가장 적었다(0.7%). 경검, 배양 모두 음성인 예는 78.6%였으며 연도 별로는 1971년에 가장 많았고(14.9%), 1965년에 가장 적었으며(0.7%) 월별로는 5월에 가장 많았고(9.9%) 2월에 가장 적었다(6.8%). Tubercle bacillin in sputum of 9,573 cases, were exmained by the smear and cultural method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63 to December 1976 and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positivity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was 19.6% by the culture and 5.6% by the smear. By year, the highest positivity of culture was 24.2% in 1971. while the the lowest one was none in 1966 and 0.3% in 1965. The positivity of the direct smear by year were 23.1% in 1968 and 1973, which was the highest and 2.4% which was the lowest in 1970. The highest positivity of the culture by month was 23.5% in Feburary and the lowest 15.3% in July. There is no significance in the positivity of the direct smear by month. The positive culutre with negative smear was 15.8% in average, was the highest in 1971 (20.1%) by year and the lowest 0% in 1965 and 1976 and Feburary showed the highest positivity(19.5%). July was the lowest one (12.3%) by month. The positive culture with positive smear was 3.8% in average. was the highest (16.6%) in 1968 and none in 1966 by year and by month the highest one was 5.0% in January and the lowest one 3.0% in May and July. The negative culture with positive smear was 1.8% in average, and by year the highest one was 31.8% in 1966 and none in 1970 and by month the highest (2.5%) in July and August and the lowest (0.7%) in M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