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Moon, Chanju),심정연(Shim, Jeongyeon),이선아(Lee, SeonA),이지영(Lee, Jiyoung),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대학 문·이과 계열 간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에서 2013년도까지의 한국교육고용패널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 를 활용하였다. 처치변수인 교차 진학자는 고교 재학시 계열과 대학 재학시 문·이과 계열을 다르게 응답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종속변수인 대학 학업성취도(GPA)는 대학 재학기간에 따 른 학업성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 학년별 및 전체 평균학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았다. 또한 표본선택편의 제거를 통한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 3·4학년 학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체 평균 학업성취도에 유의수준 .1에서 4.443만큼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 째, 교차 진학의 양상을 문과-이과, 이과-문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학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4학년 학점, 전체 학점의 경우, 이과-문과 교차 진학의 경우 3·4학년 학점, 전체 평균 학점에서 유의수준 .01에 서 각각 13.922점, 8.571만큼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차 진학자의 학업 적응 및 지원 방안 수립에 있 어, 대학에서 요구하는 중등교육에서의 학습 내용 및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정립과 교 차 진학자의 간학문적 학습 경험의 장점이 대학 내 융합 전공의 차원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교육과정 개편 제고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high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to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tilized 9th and 12th graders cohort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2007-2013. The treatment variable is the students who are in the different track at the university level from the one at the highschool lev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each year and the four-year averag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for a rigid estim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hight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PA of each year, but have 4.443 positive effect on overall GPA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In addition, when the tracking is examined in two ways-from liberal arts to natural science and from natural science to liberal arts-the tracking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GPA of first and second year. However, the GPA of third and fourth year and the overall GPA reported 13.922 and 8.571 positive effect each,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is results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practical models of highschool curriculum and plans to link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s.

      • KCI등재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 일치가 중학생의 학습 경험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文讚澍),이영선(李?璇),이지영(李持泳),정동욱(程棟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중학생 가정에서의 진로교육에 주목하여, 부모-자녀 간 희망 진로 일치, 즉 자녀 희망 진로에 대한 부모의 지지가 학생의 학습 경험과 진로발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4-6차년도 중학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과 함께 부모-자녀 간 희망 전공계열 일치 여부에 따른 표본 선택 편의(Sample selection bias)를 해소하고자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 일치 양상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 자녀가 희망하는 전공계열 선호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라 일치도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이 일치할 경우 사교육비 지출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고, 학업 성취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희망전공계열이 일치할 경우, 진로발달 성과 측면에서 학생의 학교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진학 선택에 대한 학부모의 진로지도 역량 증진 교육과 부모-자녀 간 진로 관련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교 진로교육의 맥락에서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합의를 장려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and career development using 4th~6th wave data that followed 7th graders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e employ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as well as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o minimize sample selection bias. Results are following; first, university aspiration and desired majors reported by parents and adolescents are different.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is also different by majors, Second, adolescent-parent career congruence has an effect of decreasing shadow education spending, while not showing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students who accord with their parents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school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dolescent-parent conversation about career decision making to reach an agreement democratically. Further, there should be practical policy prescriptions or school programs that provide parental education on career guidance for their child and stimulate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for their smooth agreement.

      • KCI등재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찬주,남인혜,이영선,이지영,한수현,정동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er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on training costs and corporat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has slightly increased since 2008, but then has slightly decreased since 2014. Second, an increase in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st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a corporate level. Third, the diversity of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ales per capita and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anies can hire employees with more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to increase their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other HRD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help accumulate workers’ general human capital within companies. 본 연구는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기업의 교육훈련 비용,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3차~7차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2008년 이후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 추이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14년 이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내 근로자의 전공 다양성이 증가하더라도 기업의 교육훈련 비용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전공 다양성은 1인당 매출액과 기업 평균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기업이 특정 전공 위주의 채용 관행에 변화를 도모하여 전공 다양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 내 근로자들의 일반적 인적자본 축적을 도울 수 있는 교육훈련 및 전략적 HRD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경험이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한지예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on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study (GPA and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readiness (career decision-making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third to fifth year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I, an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used to resolve the problem of sample selection bi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apstone design class had higher grade point average and major satisfaction than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the capstone design class. Second,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apstone design class were more likely to have decided on a career path and take more active job search behaviors than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the capstone design cla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need to support capstone design classes so that the results of capstone design classes can be spread to various majors other than engineering. It also suggests that that the capstone design class needs ongoing attention and support to ensure that it can operate effectively in response to changes in society and industry.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비 대출과 대학 졸업 및 취업성과 간 관계 분석

        문찬주,찬주,하은,나윤진,김지은,남인혜,정동욱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2

        대학교육에서 등록금뿐만 아니라 생활비는 학업에 전념해야 할 대학생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생활비 대출의 수요는 년 억 원에서 년 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하였다 본 연구는 생활비 대출의 고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년제 일반 대학 등록금 대출자의 생활비 추가 대출이 졸업소요기간과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더하여 등록금 대출과 생활비 대출 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의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졸업소요기간과 취업여부 및 정규직 여부 시간당 임금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보다 엄밀한 추정을 위하여 표본선택편의 를고려한 경향점수매칭 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금 대출자에 비해 생활비 추가 대출자의 등록금 대출 총액이 더 높으며 사회경제적 배경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부담이 비교적 큰 학생들이 생활비 대출 제도를 이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등록금만을 대출한 집단과 생활비를 추가적으로 대출한 집단 간에 졸업소요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생활비 대출지원으로 인해 생활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큰 학생들의 대학 졸업 소요기간이 늘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셋째 생활비 추가 대출자는 등록금만을 대출받은 이에 비해 취업할 확률은 높았으나 취업의질 측면에서 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은 차이가 없었으며 임금이 낮은 직장을 선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등록금 대출자의 생활비 추가 대출이 대학 생활 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는 인정되나 취업성과에 있어서는 장기적으로 상환부담으로 작용함을 추론해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생활비 대출이 본래 정책 목표인 대학생의 생활안정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대출 상환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으며 등록금 대출과 생활비 대출의 구체적 연계 방안 및 생활비 대출의 효과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 하였다 주제어 등록금

      •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Moon, Chan Ju),한지혜(Han, Jihye),정동욱(Jeong, Dong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6년 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교육-직무 불일치 중, 수직적 불일치 양상에 주목하여 적정 수준, 과소교육, 과다교육의 세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불일치 양상의 임금 효과,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보다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표본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불일치는 약 35%정도였으며, 특히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과소교육불일치의 경우, 임금효과가 부적이었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경우, 과소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과다교육 불일치와 과소교육 불일치 모두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직무 불일치 중, 과소교육 불일치의 경우 성과와 적응 측면에서 모두 부적인 효과가,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교육-직무 수준 불일치의 생산성 제고와 적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대책으로 교육-직무 수준의 수평적 일치, 즉 전공일치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에 반응하여, 전공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 수준 및 역량 제고와 진로적성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에 특화된 직무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구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진입 인력의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고,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classified education-job inconsistencies into the three groups which are appropriate levels, under-education, and over-education. Among these mismatches, this study focused on vertical inconsistency and its effects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get a more precise estimation, we tr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problem by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by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job mismatch was about 35%. Especially, the case of over-education mismatch has been increasing. Second, in the case of under-education mismatch, the wage effect was negative, and over-education mismatch did not have any effect on wages. Third,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nd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ov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the degre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higher, more productive effect was shown in both over- and in-education discrepanc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and consider the students choice of careers with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In addition, the company-level job-oriented training program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 KCI등재

        정화불교운동(1954-1962) : 통합주의와 종파주의의 교차로

        문찬주(성원) 대각사상연구원 2010 大覺思想 Vol.14 No.-

        필자는 두 핵심 개념들인 통합주의와 종파주의를 사용하여 세 가지 종류의 통합주의/종파주의 패러다임을 만들었고, 광의의 측면에서 동아 시아 불교를 그리고 협의의 측면에서 (근현대)한국불교를 현재까지 수편 의 논문과 몇 권의 저서를 통해서 철학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검토 하였다. 첫째, 동아시아 불교의 교판을 전면적으로 분석할 때, 필자는 경 전 또는 교리 해석학의 통합주의/종파주의 패러다임을 응용하였다. 둘 째, 선불교와 교학불교의 관련성을 그리고 선불교의 종조론, 수증론과 법맥론을 분석할 때, 필자는 선교 통합주의/(임제)선 종파주의 패러다임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셋째, 인도불교의 승단 분열은 정통실천(계율)의 해석의 차이에 기인하였다고 주장하는 폴 윌리엄스의 주장을 원용하여, 필자는 현대 한국불교의 교단 분열 과정을 비구승 종파주의/비구․대처 승 통합주의 패러다임을 통해 면밀히 분석하였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둘째와 셋째의 패러다임을 광범위하게 원용하였다. 정화불교운동(1954-1962) 기간 동안, 비구승 그룹은 선교 통합주의/임 제선 종파주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종단의 헤게모니를 쟁취하기 위해 서 본인들의 종조론과 법맥론을, 그리고 대처승 그룹은 종단의 헤게모니 를 유지 존속하기 위해서 본인들의 종조론과 법맥론을 작의적으로 그리 고 정치적으로 만들었다. 비구승 종파주의 운동인 정화불교운동의 성공 으로 말미암아, 대처승 그룹은 비구승 그룹과 대처승 그룹이 공주(共住) 하는 조계종에서 분종하여 태고종을 만들었다. 조계종과 태고종의 분종 은 한국불교사에서 정통실천(계율)의 해석의 차이로 생겨난 최초의 승단 분열이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조계종 종헌의 개정 과정을 상세히 그 리고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종조론과 법맥론의 측면에서 정화불교운동의 과정을 학술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논의하였다. I established three paradigms of ecumenism and sectarianism and philosophically and academically analyzed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and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in my published books and articles. First, when I comprehensively examined doctrinal classification systems in Sino-Korean Buddhism, I hermeneutically utilized the first paradigm and grouped them into two, ecumenical and sectarian. Second, when I reviewed relations between Chan and doctrinal Buddhism, Chan soteriology and the Dharma lineages, I vertically and/or horizontally used the second paradigm of ecumenism and Linji Chan sectarianism. Third, referring to Paul Williams who argued that the split of monastic community in Indian Buddhism basically originated depending upon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 of orthopraxy (vinaya), I investigated the partition of ecumenical monastic order into two sectarian orders, the Jogye Order of unmarried monks and the Taego Order of married monks, in modern Korean Buddhism. I extensively applied the second and third paradigms and analyzed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1954-1962, in this article. In the development of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while celibate monks theoretically utilized their paradigm of ecumenism and Linji Chan sectarianism and arbitrarily and politically expounded their versions of the order's founding patriarchs and thier Dharma lineaged in order to take the order's hegemony from their counterparts, married monks used thier paradigm and politically and arbitㄱarily explained thieir versions of the order's founding patriarchs and their Dharma lineages in order to maintain thier established hegemony in the order. Because of the success of sectarian Purification Buddhist Movement by celibate monks, married monks divided a united order and founded thier sectarian Taego Order for themselves. The division of ecumenical order into two orders was the first split of monastic order throughout Korean Buddhism based on their different interpretion of orthopraxy. I concretively reviewed the order's first and revised constitutions and academically and philosophically examined the order's founding patriarchs and thier Dharma Lineages in the movenent's process in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