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에 관한 법적 검토

        문재태 한국사회법학회 2020 社會法硏究 Vol.0 No.41

        헌법상 북한지역은 대한민국 영토이고, 북한주민은 대한민국 국민에 해당한다. 그러나 북한주민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과 다른 체제 하에서 자유와 권리를 박탈당한 채 압제와 기아상태에 놓여 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북한주민은 33,000 명을 넘어섰다. 북한이탈주민은 식량부족 및 감시와 통제 등의 억압상태에서 벗어나 기 위해 입국하지만, 입국 이후 통제와 배급 시스템이 아닌 자율과 책임이 요구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사회 환경 앞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북한이탈주 민이 대한민국에 바라는 기대치는 매우 높지만 대한민국이 이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지원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2020년 기준 대한민국의 국가예산은 세계 10 위에 위치하여 북한과 비교가 안 되는 상당한 경제력을 지니고 있지만, 북한이탈주 민 30%는 대한민국에서 경제적으로 열악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2019년 탈북모자 아사 사건, 재 입북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현상은 대한민국정부가 마련한 지원제도 및 지원수준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재검토를 요하게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성공 적인 정착지원은 평화통일을 앞당길 수 있는 방편으로 인식되고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지원제도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Under the Constitution, North Korea is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North Koreans are Korean citizens. However, North Koreans have been deprived of liberty and rights and suffer from oppression and starvation. To date, more than 33,000 North Koreans defect to the Republic of Korea. To escape from hunger and oppression, the refugees flee North Korea. But, in spite of their expectation, they have difficult to adapt to life in Korea where freedom is guaranteed. They have high expectation to their new homeland. Howeve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upport given by the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 is an economic powerhouse to be ranked 10th in the world economic power rankings in 2020. This is incomparable to North Korea. However, in this rich country, South Korea, 30% of North Korean refugees still remain unhappy. In 2019, the death of mother and son due to hunger, and the increase in North Korean refugees returning to North Korea is a matter that requires a review of the North Korean refugee support system. Successful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a way to accelerate peaceful unification.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upport system and a plan for improvement are an urgent task.

      • KCI등재

        EU의 지식재산권 제도에 관한 고찰

        문재태,서계원 유럽헌법학회 2016 유럽헌법연구 Vol.22 No.-

        유럽연합은 28개 가입국으로 구성되었고 세계 최고의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연합이며, 유럽연합과 우리나라 양국 간 교역규모는 꾸준히 성장하여 2015년에 연간 900억 유로(약 113조 2000억 원)에 달하게 되었다. 그리고 로마법에서 유래된 대륙법체계인 유럽의 법제도는 우리나라의 법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오늘날의 국제경제상황 하에서 지식재산권은 점점 국제화되고 국가 간 경계를 넘어 확대되고 있으며, 국가 간의 영역을 넘어 국제적ㆍ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식재산권침해에 대하여 일관되게 준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헌법 제23조는 재산권보장을 선언하면서, 헌법 제22조 제2항에 학문과 예술의 자유 그리고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저작자ㆍ발명가ㆍ과학기술자ㆍ예술가 등의 권리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지식재산권이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마땅히 보호되어야할 권리로 인정되는 이유는 지식재산권자의 발명·창작물에 대한 상당한 보상을 통하여 산업과 문화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유럽연합은 지식재산권 분야의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측면 모두에서 큰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검토는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제도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EU 교역확대를 건전한 성장의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의 지식재산권 제도를 충분히 검토하고, 대한민국과 유럽연합 간에 체결한 FTA협정 내용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다. The European Union comprises 28 member states and has the world's largest economic scale. Bilateral trade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Korea has constantly grown and reached a record level of over 90 billion euros (about 113 trillion won) in 2015. The European legal system with the law of continental europe, which is directly traceable to the Roman law,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legal system in Korea. In today's world economic situati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becoming more internationalized and expanding over nation border, and it is a key to apply the lex loci protections to the infringement of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with a uniform approach.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by Article 23 and the rights of authors, inventors, scientists, engineers and artists shall be protected to ensure the principle of cultural state by Article 22(2)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 reason that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hall be protected by the funda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 is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by substantial compensation for invention and creative works which intellectual property owner has created. The European Union has marked a breakthrough in cas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ields and it will be very helpful for development of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to review the Europe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Europea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to analyze the problems and suggestions of the Korea-EU FTA in order to make Korea-EU trade increase as growth power and finally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on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n Korea

      • KCI등재

        정보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검토 - 저작권법상 이용자정보제공청구제도를 중심으로 -

        문재태,서계원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7 IT와 법 연구 Vol.0 No.14

        Korea has the world's best internet infrastructure, and most of the people use the Interne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related technology has enabled the digitization, file-sharing, copying and transmission of copyrighted material. These changes have greatly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ural level, as well as increasing the piracy of copyrighted works rapidly. In Today's Internet environment we are now faced with the task of harmonizing three factors: the strong protection of copyrighted works, the goodwill protection of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entities. In order to harmonize the rights of copyright owners,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us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lanced legal system. The Article 103 (3) of the Copyright Law, which was enacted to protect the copyright owners, raises the concern that the provision of ‘Request to Provide Information on Reproducers and Transmitters’ may infringe on users'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ratification of the Korea-US FTA Agreement. The purpose of copyright law is to protect copyright owners and the rights neighboring on them and to promote fair use of work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However, in the Article 103 (3) of the Copyright Law,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pyright owner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Online service provider for the protection of the copyright owner, so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infring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ated legal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other countries, and finally to seek a harmonious solution between copyright owners, Online service providers, and users by examining the amendment regarding the Article 103 (3) of the Copyright Law.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의 노동권 보장을 위한 고찰

        문재태 한국사회법학회 2022 社會法硏究 Vol.- No.48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rives, the problem raised in the labor field is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job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for non-disabled people will disappear. Job loss due to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will be difficult to control. In particular, a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utomation systems, moving assembly lines, and precise robot control technologies are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stable work performance will be achieved without ups and downs. This corresponds to a level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humans. As a result, human jobs will decrease even faster. Furthermore, it is technically possible to develop level 5 unmanned vehicles that are not controlled by humans. As a result, there will be more fields that do not require human assistance. In this new battlefiel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nge in production method based on new technology will make the qualitative division of the labor force between non-disabled and disabled people meaningless. The demand for labor in the industrial sector, which has been led by humans, will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automated robot technolog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should not neglect this phenomenon. Job los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ressing problem. Therefore,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job loss for the disabled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realization of the right to equality, guarantee of the right to live, and guarantee of human dignity and value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a great shift in perception of the labor market is needed. 4차 산업혁명기가 도래하면서 노동계에서 제기되는 우려는 장애인은 물론 비장애인의 일자리까지 상당부분 사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미래에 나타날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등의 신기술의 적용에 따른 탈노동화 현상은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접어들 것이다.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적용될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시스템 및 움직이는 조립라인, 정밀한 로봇제어기술의 발전과 상용화는 인간인 노동자 보다 기복 없고 안정적인 업무성과를 도출하여 인간의 일자리감소를 촉진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더 나아가 인간의 통제를 받지 않는 레벨5 이상 단계에 해당하는 완전 자율주행차의 생산 및 운행이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인간의 노동이 필요 없는 분야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전장에서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생산방식의 변화는 비장애인이나 장애인의 노동력의 질을 구분하는 것을 무의미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동안 사람이 주도했던 산업분야에서의 노동력 수요가 4차 산업혁명의 구현에 따라 인공지능, IOT, 자동화로봇 기술 등에 의해 채워지는 현상을 무방비 상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현재 진행 중이고 미래에 닥칠 장애인의 일자리 감소문제는 국민주권의 원리, 평등권 실현, 생존권의 보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의 실현이라는 근본적 관점이 반영된 새로운 페러다임의 대 전환을 기반으로 해결될 분야에 해당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실효성 제고방안

        문재태 한국의료법학회 2019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7 No.2

        North Korean defectors are South Koreans. It is a key workforce for peaceful 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continued to increase until Kim Jong Un took office. But since Kim Jong-un took office in 2011, it has been falling sharply. Recently, North Korean defectors have returned to North Korea. In September 2019, a North Korean defector's hat died in Seoul. This raises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upport system. In 2018, the ratio of suicide to North Korean defectors was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e suicide rate of all South Korea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uess the difficulties of defector settlement in Korea. Most North Korean defectors escape for economic reasons.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increases the escape of North Koreans. As North Korean defectors escape, they suffer physical and mental pains through China and Southeast Asia. During this process, they enter a state of deterioration due to various diseases. The poor health situation of defectors in North Korea hinders their successful settlement. Guaranteeing the right to health for them is a guarantee of successful settlement. And it is the cornerstone for the expansion of the guarantee of basic rights as well as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북한이탈주민은 대한민국 국민이면서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한 핵심 인력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을 탈출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김정은 집권 이전까지 꾸준히 증가했지만 2011년 김정은 집권 이후부터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전에는 없던 북한이탈주민의 재 입북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2019년 9월에는 서울에서 생활하던 북한이탈주민 모자가 아사한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18년 북한이탈주민 사망자 대비 자살자 비율은 대한민국 전체 국민의 자살률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을 보면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이 쉽지 않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북한이탈주민 대부분은 경제적 이유로 인해 북한을 탈출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의 경제난은 북한주민의 목숨을 건 탈북으로 이어졌으며, 북한이탈주민은 탈북과정 중에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지를 거치면서 신체적·정신적 고초를 겪으면서 각종 질병에 걸려 건강이 악화된 상태로 입국한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이 처한 열악한 건강상황은 대한민국에의 성공적 정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들의 건강권 보장을 통한 성공적 정착유도는 기본권 보장의 확대는 물론 평화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초석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스포츠선수의 인권보장을 위한 특별사법경찰관제 도입방안 논의

        문재태,김상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0 스포츠와 법 Vol.23 No.3

        The recent suicide incident by some athletes gave a big social impact. The athlete asked for help from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and the police before he died, but he did not receive the help. This incident occurred after the launch of the Sports Human Rights Special Investigation Group in 2019 and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whether sexual violence and violence in all areas of sports were damaged, so the reaction was even greater.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 victim requested assistance from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and the police, they did not receive any help. Two problems can be inferred here. First of all, the athlete protection system, which is implemented by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is not functioning properly. Second, the police could not operate an investigation procedure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world. At that time, the Korea Sports Association was operating a sports human rights report and consultation room at the Sports Human Rights Center, but no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athlete. The Gyeongju City Hall where the athlete belonged also closed the case without investigating the perpetrator. Korea has maintained its elite policy in the sports field and has not paid attention to the human rights issue of sports players. As a result, it has become widespread that the human rights of individual athletes must be sacrific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win medals. The reason why sports players have been unable to escape from sexual violence and violence so far is due to wrong values. The sports world has so far been biased toward focusing only on results, ignoring and concealing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occurred to players. This trend has created today's problems, but these misconceptions are difficult to change. Now, in order to effectively guarantee the human rights of athletes, it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prevalent wrong practices and authorities. And it is time for fair law enforcement by experts wh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s world and are highly sensitive to human rights. In order to realize this, the introduction of a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should be considered. 최근 일부 스포츠종목 선수가 자살한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다. 해당 선수는 숨지기 전 대한체육회와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였지만 도움을 받지 못한 것이다. 이 사건은 2019년 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이 발족하여 체육 전 분야의 성폭력 및 폭력피해 여부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이후에 발생한 사건이라서 그 반향은 더욱 컸다. 주목할 점은 피해선수가 대한체육회와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였음에도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다는 점이다. 여기서 두 가지의 문제를 유추할 수 있다. 먼저 대한체육회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선수보호시스템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경찰이 스포츠계의 특성에 맞는 수사절차를 가동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당시 대한체육회는 스포츠인권센터에서 스포츠인권 신고 및 상담실을 운영 중이었지만 해당 선수에 대한 조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해당 선수가 소속했던 자치단체도 접수된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가해자에 대한 조사를 생략한 채 허위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스포츠 분야에서 엘리트정책을 유지하면서 스포츠선수의 인권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로 인해 메달을 따기 위해서라면 스포츠선수 개인의 인권은 어느 정도는 희생될 수밖에 없다는 통념이 만연되었다. 지금까지 이어져온 스포츠선수의 성폭력 및 폭력 피해는 이러한 인식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스포츠계는 지금까지 성과주의에 매몰되어 왜곡된 통념이 확산되어 선수에 대한 인권침해 피해를 인지해도 이를 은폐해 왔다. 이러한 흐름이 오늘의 문제를 야기한 것이지만 지금까지 이어져온 왜곡된 인식은 쉽게 변하기 어렵다. 이제 스포츠선수의 인권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그동안 만연되었던 관행과 권위 등에 의해 영향 받지 않고 스포츠계에 대한 이해와 인권감수성이 높은 전문가에 의한 공정한 법집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의 실현을 위해 특별사법경찰관제도의 도입이 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가보안법의 개정안에 관한 검토: 국가보안법 제7조를 중심으로

        문재태 한국테러학회 2020 한국테러학회보 Vol.13 No.4

        Recently,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drafted an amendment related to Article 7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in the name of guaranteeing freedom of expression for the people. In this regard, public opinion is divided in favor and contrary. The positive position argues that if freedom of expression is restricted for national security,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re suppressed under the cause of the North Korean threat. The opposite position argues that national security should not be approached with probability.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 current forces aiming for the overthrow of the Republic of Korea exist, and the increase in opposition to democracy leads to extreme social confusion and threatens national security. The revision of Article 7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a request of the times. Howev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Court considers this article to be constitutional because it has modified the unconstitutional elements. Currently, there is no balanced civic education from school education, there are people who do not understand democracy properly, and public opinion is divided politically due to false agi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preliminary measures such as amendment of the criminal law for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or the revision of major provisions. 최근 대한민국 국회가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다는 명목으로 국가보안법 제7조 관련 개정안을 입안하자 이에 대한 여론은 찬성과 반대로 나뉜 상황이다. 찬성 입장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북한의 위협을 명분으로 국민을 억압할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반대 입장은 국가안보는 확률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 현재 대한민국의 전복을 노리는 세력이 존재하며, 민주주의를 반대하는 세력이 확산되면 극심한 사회혼란으로 이어져 국가의 안위까지 위태롭게 할 수 있음을 우려한다. 국가보안법 제7조의 개정은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동 조항은 위헌요소를 수정하였으므로 현재로서는 합헌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고 있다. 현재 학교교육에서부터 균형 잡힌 시민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 이로 인해 국민이 민주주의 체제에 맞는 주권의식을 고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존재한다는 점, 현재 정치적으로 선동과 기만에 의해 국민 여론이 양분될 수 있다는 점 등 현존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가보안법의 폐기나 주요 조항의 개정을 위해서는 형법의 개정 등과 같은 사전 조치 등의 전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업안전을 위한 공법적 논의 - 중대재해처벌법을 중심으로 -

        문재태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3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인재사고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사회적 논란 은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 및 시행으로 이어졌다. 실제 중대재해처벌 법의 제정은 영국의 관련 법제의 영향이 크지만, 우리가 시행중인 동 법은 영국과 달리 경영자 등에 대한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 진되었다. 이로 인해 중대재해처벌법의 규정 내용에 대하여 자유민주 주의체제 국가가 지양하여야 하는 법제의 구조와 방향성을 갖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헌법 제37조 제2항은 최소침해의 원칙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를 금 지하고 있다. 이는 헌법상 국가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조화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윤리적인 책임의식을 확산시키고, 행정부 주도로 전문성 이 담보된 안전조치를 구체화 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산업안전의 실현을 위해 탄생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하 여 산업계 즉, 재계와 노동계는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재계는 동법에 대하여 경영주 등에 대해 과도한 처벌을 규정한 것은 산업안전 을 위한 근본적 대안이 아니라는 입장이고, 노동계는 처벌강화와 5인 미만 작업장까지 전면적인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안전의 예방과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하여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그 효과를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법률의 제 정에 있어서 선거 공학적 기재에 치우친 접근을 해서는 안 된다. 따라 서 동법의 시행으로 헌법의 기본원리 및 자유민주주의가 지향하는 중 요가치가 훼손되지는 않는지 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Recently, the social controversy that improvement of man-made accidents in industrial sites has not been properly led to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n fact, the enact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levant laws of the UK, but the Act we are implementing strengthens criminal punishment for business owners, etc., unlike the UK. Accordingly, criticism is being rais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have the legal structure and direction that liberal democratic systems should aim for.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prohibits the principle of minimum infringement and infringement of essential conte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quiring the state to spread a sense of ethical responsibility based on harmony and trust among members of society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to specify safety measures that guarantee expertise led by the executive branch. However, the industry, that is, the business world and the labor world, are showing a sharp difference in position regarding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was created for the realization of industrial safety. The business world is in the position that the law stipulating excessive punishment for owners, etc. is not a fundamental alternative for industrial safety, and the labor world is demanding stricter punishment and a full-scale expansion to workplaces with fewer than five employees.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should prevent industrial safety and secure a safe working environment to ensure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its effectiveness. In enactment of the law, an approach biased toward electoral engineering should not be tak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pth wheth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does not undermine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important values that liberal democracy aims f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