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요양 케어매니지먼트 구축을 위한 이용지원 실증분석 연구

        문용필(Yongpil M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 중심의 장기요양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구축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 이용지원 강화사업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이용지원 강화사업에 참여한 전국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운영센터의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기요양 케어매니지먼트 수행과정에 대해 3가지 항목(이용지원, 사례관리, 케어매니지먼트)별로 인식수준을 분석하였다. 첫째, 이용지원 업무의 실무 만족도는 보통수준(3.04)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의 어려움 인식수준은 높은 수준(3.68)으로 나타났다. 셋째, 케어매니지먼트 수행의 중요성은 높은 수준(3.56)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기 수행과정의 인식수준은 지역별 차이가 있었다. 넷째, 장기요양 케어매니지먼트 인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케어조정자의 직급, 네트워킹의 중요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use support reinforcement project to establish a user-centered long-term care management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NHIS long-term care operation centers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use support reinforcement projec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s of recognition were analyzed by three sectors (use support, case management, and care management) for the long-term care management performance process. First, practical satisfactions of use support works were found to be at the normal level (3.04). Second, levels of recognition of difficulties in case management were high (3.68). Thir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care management was high (3.56). Especially, levels of recognition of each performance process differed by region. Fourth, factors affecting long-term care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the position of the care coordinator and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suggestions to establish a care management system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금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인구사회학적 요인, 근무형태 요인, 근무기관 요인을 중심으로

        문용필(Yongpil Moon),이호용(Hoyong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wage level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of wage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Panel Management Survey” by the Health Insurance Institute, NHIS(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care work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55.6 years. Their average monthly salary was 1.65 million, and the average working durations of care workers was one year and 11 months. Care workers worked mainly eight-hour shifts and three shifts per day, and they worked for 181 hours per month. The salary cost was 68.9% of the total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ere are 0.45% of profit and loss ratio. The types of work affected the wages of care workers. Wages increased with age and with increasing working hours. In addition, the eight-hour working group earned higher wages than the other care workers groups. Third, types of service and the establishment of affiliated facilities influenced the wage level of care work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ge levels by sizes of the facilities and locations of the facilities. In the type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municipal and corporate facilities showed higher wages than private facilities. In addition, the wage level increased as the labor expenditure rate of the institution’s total expenditure increased, so the wage level of care workers increa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age level, and labour condit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care workers.

      • KCI등재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정책변화에 대한 분석(2008-2018)

        문용필(Yongpil Moon),정창률(ChangLyul Ju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30 No.1

        This study examines patterns of services over the last 30 years, such as the expansion of home-based service from traditional facility service by reforming long-term care service through OECD countries. We analyzed whether the trend of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in major OECD countries is similar to that of Korea. To do this, we applied the Gori et al. (2016) analysis framework and examined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OECD countries in terms of policy mix, coverage and intensity. Over the past 30 years, long-term care services in OECD countries have shown an increasing tendency due to population aging and service user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onverge trends in the use of home-based/facility servic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tendency to expand service coverage and to decrease service intensity, while regarding facility service, there was a tendency to reduce service coverage and to enhance service intensit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2008, Korea has expanded service coverage and strengthened service intensity in both home-based and facility services, which is different from trends in OECD countri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needed to find a suitable institutional path to the reality of Korea considering pattern changes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addition, it was presented as a policy statement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service types according to the long-term care service user rating and to seek a systematic route of Korea considering the change of a service utilization trend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등급유지 영향요인 분석

        문용필(Yongpil Moon),이호용(Hoy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자의 장기요양등급 유지 및 변경특성을 분석하고,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의 등급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원자료(인정 및 급여자료)를 활용하여 2008-2014년 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한 자를 분석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자를 등급집단(1-3등급)별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질병요인, 서비스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1, 3등급에서 64세 미만자가 80세 이상자보다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3등급에서 독거자가 비독거자에 비해, 농어촌거주자는 대도시거주자에 비해 등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질병 요인에서 1등급에서 치매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2, 3등급에서 반대로 나타났다. 2등급에서 중풍, 골절 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 암보유자가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요인에서는 2, 3등급에서 갱신횟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1등급에서 시설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2등급에서 재가이용일수가 높을수록 등급유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제도개선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 grade maintenanc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rs. Using 2008-2014 long-term care raw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the predictors were examin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by long-term care beneficiaries of gr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y 3 factor groups and grade groups(1-3 grade).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1, 3 grade, Individuals 64 or young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those 85 and over. In the 3 grade, people of living alone, resident of rural are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disease factors, In the 1 grade, people with dementia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 2, 3grades. In the 2 grade, people with stroke, fracture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3 grade, people with cancer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service factors, In the 2, 3grade, people having more renewal number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1 grade, people who use facility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In the 2 grade, people who use in-home benefits for more days presented a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the grade maintenance than others. Based on the finding of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for policy considerations.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내 노인학대 예방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유럽 4개 국가를 중심으로

        문용필 ( Moon Yongpil ),이준영 ( Lee Junyou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내 노인학대 문제에 대한 EU권 국가의 정책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노인학대 예방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내 노인학대에 대한 유럽 내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 4개국의 예방정책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에는 EU권 4개국을 대상으로 WHO European(2011)의 4가지 차원에 따라 예방정책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편적 접근 측면에서 국가별로 중앙정부 차원과 지방정부차원에서 학대예방정책(공공캠페인, 교육·홍보)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었다. 둘째, 선별적 접근에서 요양시설 내 취약노인의 별도 관리방안 및 야간시간대 돌봄인력에 대한 지원정책을 각 국가별로 다르게 시행하고 있었다. 셋째, 대상특화 접근에서 시설 입소노인에 대한 신체억제대 사용방지를 위한 다각적인정책이 시행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적 접근에서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을 위한 학대예방 및 감독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을 통해 유럽 4개국에서 학대예방을 위해 공통적으로 요양시설에 대한 다차원적인 규제(regulation)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국에서도 시설에 대한 규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의 노인요양시설 내노인학대의 선제적 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policies of elder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mong EU countries(Germany, Netherlands, Sweden, England) for improvement of Korean policy. This study reviewed prevention policies of elder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4 EU countries(Germany, Netherlands, Sweden, England). So, the analysis in this study applied 4 dimensions(a universal approach, a selective approach, a target specific approach, and an organizational approach) according to a WHO European(2011) frame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universal approach, prevention policies were being pursued not only by central but also local government. Second, in terms of a selective approach, there were supporting policies of vulnerable elderly and dementia elderly at night time by country. Third, in terms of a target specific approach, multilateral policies are implemented to prevent physical restraints for nursing home residents. Finally, in terms of an organizational approach, it is necessary to control and regulate long-term care facilities strongly in various ways.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policies of elder abuse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 KCI등재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한 지자체 사례연구: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문용필(Moon, Yongpil)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구현하는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업 참여경험이 이전의 통합돌봄 경험과 무엇이 다른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내 전체 5개 자치구에서 근무하는 구청 및 동주민센터 사회복지직 및 간호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광주다움 통합돌봄 사업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한 새로운 사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서비스 제공의 가능성 발견에서는 어려운 의무방문을 통해 연령층의 확대, 사각지대 발굴 등 재발견을 하였다. 넷째, 통합돌봄서비스 제공으로 공무원 및 대상자의 인식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 관련사업 추진시 고려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grated care project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integrated care in community care. To achieve this goal,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cial welfare and nursing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in all five autonomous gu distri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Gwangjudaum integrated care project as a new project for residents living in the community. Second, they experienced several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integrated care services. Third, mandatory home visits allowed for identifying unmet service needs and expanding services to varying age groups. Fourth, provisions of community care services changed th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and service us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community integrated care in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노인 긴급돌봄서비스에 관한 시론적 고찰

        문용필(Yongpil M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 발생한 노인 돌봄공백을 대처하기 위한 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서비스의 역할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찾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긴급돌봄서비스를 전달체계 관점에서 속성적 차원(적절성), 시간적 차원(연속성), 공간적 차원(평등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공백에 있는 노인에게 적절한 긴급돌봄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 평가하였다. 지역사회 재가노인, 시설거주노인에게 적절하게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나, 긴급하게 투입된 서비스의 속성에는 미비점이 있었다. 둘째, 연속성 측면에서 긴급돌봄 필요노인에게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되는가를 평가하였다. 중앙정부에서 긴급돌봄서비스의 예산을 한시적으로 편성하였고, 2021년 6월 이후의 계획은 미비하였다. 셋째, 평등성 측면에서 돌봄공백 노인의 거주지역, 서비스 제공기간 등에 차별받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가를 평가하였다. 전국에서 사회서비스원이 설치되지 않은 시도지역에서 긴급돌봄서비스가 없어 다른 지역에 비해 돌봄공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서비스의 의의를 살펴보고, 향후 긴급돌봄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ey issues related to the Social Service Agency"s emergency care services to cope with the elderly care blind spot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We looked at adequacy, continuity and equality from dimensions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ppropriate emergency care services were provided to the elderly in a care vacuum. Although services were provided appropriately to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facilities and hospitals, there were incomplete limitations of services, which were urgently deployed. Emergency care service was assessed to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elderly without interrup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tinuity.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1, plans and budgets for emergency care projects were set up, but no plans have been made since then. We evaluated whether the service was provided without discrimination again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esidence area and duration of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continuity. In particular, care gaps had been found in municipal and provincial areas where social services were not set up. Also, care blind spot problems were found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 and wide-area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emergency care services in social services.

      • KCI등재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 경영실태 분석: A시 사례를 중심으로

        문용필 ( Moon Yongpil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4 사회보장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수단으로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의 지속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경영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시사회서비스원 3개 종합재가센터의 2021-2023년 재무회계 자료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는 전국에 29개 센터가 운영되고, 지역별로 센터개소수와 사업분야가 다르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종합재가센터의 경영수지 분석에서 보조금 수입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종합재가센터의 경영손익 분석에서 연도별 보조금 증가와 요양급여수입 감소의 변동이 나타났고, 손익률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종합재가센터는 일반 장기요양기관과 비교시 보조금 수입은 높고 손익률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종합재가센터의 보조금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연도별, 상황별로 수입항목과 예산액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원 종합재가센터의 지속가능한 안정적 기관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atus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s comprehensive home care center, which provides community home visit care services and local government specialized services. And this study aim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2021-2023 financial accounting data of A City Social Service Center’s three comprehensive home care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29 centers were operated nationwide in comprehensive home improvement center. Total numbers of centers and business fields were operated differently by region. Second, the ratio of subsidy income was high in the analysis of management balances of the comprehensive home improvement center. Third, there was an increase in subsidies and a decrease in income from medical care benefits in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profit and loss of the comprehensive home care center. Changes in import items affected the profit and loss rate. Fourth, the comprehensive home care center showed higher subsidy income and lower profit and loss rate compared to general long-term care institutions. Fifth, subsidy incomes of the comprehensive home care center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income items and budget were different by year and situ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and stable institutional operations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문용필(Moon, yongpil),이호용(Lee, hoyo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에 대한 WHO 및 주요국의 정책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노인학대 예방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WHO의 노인학대 위험요인으로 지적된 요인 중에서 장기요양시설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가지 이슈(노인의 특성(시설내 치매노인 분리수준), 종사자 특성(신체억제대 사용수준, 야간 돌봄인력 처우수준), 시설 특성(시설내 CCTV설치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많은 국가들에서 시설의 개방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관련 정책으로 옴부즈맨제도, 성인후견인제도 등을 통한 시설방문, 외부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시설의 입소노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장기요양시설 특성상 치매노인, 야간시간대 입소노인의 특성이 고려된 학대예방책이 요구되었다. 셋째, 장기요양시설의 시설종사자의 처우조건, 종사자의 시설환경 수준 등이 각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시설내 학대예방을 위해 시설환경의 향상과 종사자의 처우개선이 중요하였다. 넷째, 향후 입소자 중심 예방정책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의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Korean policy. So, This study review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So, This study reviewed risk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tential for abuse of an older person can be identified at individual level, care-woker levels, socio-cultural levels and facilities leve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ennes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emphasized on many countries. There are a need for a policy considerations such as policies of Ombudsman, Adult guardianship for visiting facilities, external monitoring.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long-term care facilities each other countries. So It is important to improve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its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manage dementia elderly and elderly on night tim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 예측요인 연구

        문용필(Yongpil Mo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1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 영향요인을 찾아내고, 각 연령집단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고령 장애인을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50-64세 장애인집단과 65세 이상 장애인집단 대상으로 확률효과 패널 로짓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0-64세 장애인집단과 65세 이상 장애인집단별로 각각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살펴보면, 소인성 요인에서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배우자유무가 각 집단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요인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인지여부, 저축유무, 근로소득유무, 주택소유여부가 각 집단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요인에서 만성질환유무, 심리적 건강상태, IADL이 각 집단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장애인을 위한 장기요양서비스 제도개선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use intention of long-term care among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s a longitudinal study using the modified Andersen model by the disabled age groups of the 50-64 group and the 65 over group. This study examined random effects panel logit analysis for the 50-64 group and the 65 over group by age variation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specific age group of the disabled(50-64, 65 ov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differences of factors between the 50-64 group and the 65 over group. This study found that predisposing factors of the service use intention of long-term ca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residential area, education status, existence of spouses. Enabling factors of the service use intention of long-term ca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ng-term care service recognition, saving, personal salary income level, housing status. Need factors of the service use intention of long-term ca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ronic diseases, psychological health, IADL. So, there are a need for a policy considerations such as service for the mid-old age disabled by age groups.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