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先秦文獻에 보이는 穢貊의 갈래와 문화원형

        문안식(Moon, An-Sik)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3

        先秦文獻에 보이는 穢貊은 西周초기부터 戰國時代말기까지 대략1000년 동안 요서지역의 대릉하와 소릉하 유역을 중심으로 거주하였다. 예맥은 시베리아를 비롯한 북방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아니라, 요서지역과 내몽고 동남부 및 하북 북부 일대에서 夏家店하층문화를 영위한 ‘?’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은 예맥의 기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원의 商과 燕및 孤竹과 令支, 북방종족 山戎등이 갈라져 나왔다. 요서 일대에서는 하가점 하층문화가 B.C. 15세기를 전후하여 소멸되면서 發이 등장하였다. 發은 하가점 하층문화를 계승한 채 비파형동검을 특징으로 하는 凌河文化를 영위하였으며 점차 貊과 穢로 분화되었다. 예맥은 山戎?東胡등의 북방종족 및 齊?燕을 비롯한 中原諸國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하였다. 이들은 B.C. 4세기를 전후하여 중원의 燕이 북상하여 遼西를 비롯한 5郡을 설치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이들 외에 산서 북부와 하북 북부 일대에도 北狄계통의 胡貊(혹은 ?)이 戰國時代초기까지 활약하였다. 예맥은 고조선의 외연에 속한 방계적인 존재가 아니라, 遼河文明의 主幹을 계승한 채 한국상고사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그 반면에 요동 방면에서는 고조선이 성장 발전하였는데, 요서 일대의 예맥과는 종족 갈래와 문화 양상이 일부 달랐다. 예맥은 고조선과 燕및 東胡의 각축 속에서 토착기반이 해체되었으며, 신석기시대 이래 중원과는 다른 문화전통을 유지하던 요서와 발해만 일대는 漢化되기에 이르렀다. Yemaeck(濊貊) which is shown in pre-Qin(先秦) literatures lived around the Daling(大凌河) of the Liaoxi(遼西) for about 1,000 years from early Zhou(周) to late the Age of Wars(戰國時代). Yemaeck is rooted in ‘Bak(?)’ which led in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夏家店下層文化) in Liaoxi, the southeast area of Inner Mongolia and Hebei(河北), not immigrants from the north area. Shang(商), Yan(燕), Gojuk(孤竹), Yeongji(令支) and Shanrong(山戎) were divided from Bak as well as it was an origin of Yemaeck. In Liaoxi, Bak appeared as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 dis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15th century B.C. Bak led in the Daling culture(凌河文化) characterized by Liaoning bronze(琵琶型銅劍) daggers while inheriting the culture of the lower layer of Xiajiadian, and was gradually divided into Maeck(貊) and Ye(濊). Yemaeck developed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with China empire including Shanrong and East-violets(東胡), and Je and Yen. They survived until Yan established five county including Liaoxi in about the 4th century B.C. In addition to them, Homaeck(or Maeck) of north violets was active until the early he Age of Wars. Yemaeck was a partial axis of Korean ancient history inheriting the rather than a collateral being of Gojoseon(古朝鮮). However in Liaoxi, Gojoseon developed whose tribe and culture were different from Yemaeck. Yemaeck"s base was destroyed under competition of Gojoseon, Yan and East-violets, and Liaoxi and Po Hai(渤海) which had different tradition from China since the Neolithic Era became Korean.

      • KCI등재

        신숭겸의 出自와 후삼국 통일 전쟁기의 활약

        문안식(Moon, An-sik)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6

        신숭겸은 전남 곡성 태생의 평민 출신으로 춘천으로 이주하여 寓居하였다. 곡성 목사동면 일대에 전승되는 관련 설화와 유적 등을 통해 볼 때 하층 호족 출신이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는 896년 무렵 궁예정권에 出仕한 후 기골이 장대하고 무용이 출중하여 軍門에서 두각을 보였다. 신숭겸은 卒伍에서 출발하여 궁예정권 말기에 기병장군까지 올랐으며, 918년에 이르러 裵玄慶등과 함께 왕건 옹립 및 고려 건국을 주도하였다. 고려 건국 후 내정과 외정에 걸친 치적을 인정받아 평산을 관향으로 하사 받는 등 호족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신숭겸은 왕건이 親征하는 대부분의 전투에 참여하는 등 뛰어난 전공을 인정받아 마군대장군에 오르는 등 출세가도를 달렸다. 신숭겸은 927년 대구 공산전투에 대장이 되어 精騎5천을 이끌고 참전하였다. 신숭겸은 고려군이 전멸의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의 목숨을 바쳐 왕건의 탈출을 도왔다.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한 후 신숭겸이 전사한 왕산 자락에 智妙寺를 창건하여 명복을 빌기도 했다. 또한 고려의 역대 국왕들은 팔관회를 개최할 때 추모행사를 열었으며, 성종 때에는 태조의 廟庭에 배향되기도 했다. 그러나 신숭겸을 평가할 때 주군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인물 만으로 인식할 경우 여러 공적이 폄하될 우려가 높다. 신숭겸은 나말여초의 사회 변동기에 卒伍에서 시작하여 기병을 총괄하는 마군대장군에 오른 기린아였다. Sin Sung-Gyom(申崇謙) was born as a commoner in Goksung, Jeonnam. He moved to Chunchon, Gangwondo and stayed there for a short time. To see him through relevant narratives and relics passed down in Moksadongmyon, Goksu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was from a powerful family in the lower classes. He was remarkably outstanding in the military forces because of his strong body and valor after the Gungye(弓裔) government ended in about 896. The status of Sin Sung-Gyom, who started as a soldier of the lowest rank, was raised to general of cavalry soldiers in the late Gungye regime. In 919, he led in the enthroning of Wanggun(王建) and Korea"s foundation along with Bae Hyun-Gyong. After the foundation of Korea, he was recognized in the administrative and parliamentary record and became a member among powerful families. Sin Sung-Gyom joined in most battles led by Wanggun and his outstanding meritorious service was recognized and his status was raised to great general. Sin Sung-Gyom led 5,000 cavalry soldiers as a head general in the Gongsan Battle in Daegu in 927. He dedicated himself to help in Wanggun"s escape when Goryeo military forces were facing difficulty. Wanggun founded Jimyo-temple in Wangsan where Sin Sung-Gyom died for the country after he successfully unified the country in the post-three kingdoms period to honor his heavenly bliss. Also, the kings of Goryeo held sacrificial rites for him when Palgwanhoi(八關會) was held and he was enshrined in a shrine for king Taejo during the reigning years of King Sungjong. However, if he was evaluated only as a pronoun of royalty who dedicated himself to save the king, there is the worry that his meritorious records may be underestimated. Sin Sung-Gyom was a genius of the time who started as a soldier of the lowest rank and gained the power to supervise cavalry soldiers in the changing period of society to become a great leader.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백제의 전남지역 마한 제국 편입 과정 - 서남해지역 및 연안도서를 중심으로 -

        문안식 ( An Sik Moon ) 백제학회 2014 백제학보 Vol.0 No.11

        전남지역은 B.C. 4세기를 전후하여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 등 초기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마한의 소국형성으로 이어졌다. 이들 소국은 청동기문화를 영위한 집단이 철기문화를 받아들여 성장하였다. 전남지역의 마한 소국은 15국 정도가 분포하였는데, 4세기 후반에 이르러 근초고왕이 보낸 남정군의 경략을 받아 백제에 복속되었다. 백제 남정군의 주요 공격 대상이었던 침彌多禮는 新彌國의 전통을 계승한 해남 백포만 일대를 관할하던 해상세력이다. 백제의 마한 경략은 강진만 권역의 古奚津및 백포만의 침彌多禮를 장악한 후 전북서남부지역의 比利와 피中등의 복속을 받으면서 완수되었다. 백제는 전남지역의 마한 소국을 장악하여 간접지배 방식의 일환인 공납지배를 실시하였고, 해남과 강진 등에 자리한 대외교섭 거점 포구는 직접 관할하였다. 백제의 영향력하에 있던 서남해를 비롯한 전남지역은 변화가 일어났다. 榮山內海일대는 영암 시종면의 옹관고분 축조 집단을 거쳐 나주 반남집단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서남해의 연안지역 역시 해남 백포만의 침미다례가 약화되고, 북일 방면의 해상세력이 두각을 나타냈다. 백제의 전남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5세기 이후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밀리면서 점차 약화되었다. 서남해지역토착집단은 가야와 신라 및 왜국 등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서남해지역 토착사회는 백제의 웅진천도 이후 변화가 일어났다. 동성왕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무진주까지 내려와 서남해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탐모라 등의 복속을 받아냈다. 동성왕은 전남지역을 장악한 후 왕후제를 시행하였다. 왕후에 책봉된 인물은 중앙의 귀족세력 및 반남신촌리 9호분 등에서 확인된 금동관이 하사된 토착세력이 대상이었다. 토착집단 역시 왕후제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유지하였다. 백제의 문화양식과 다른 토착사회의 독자적인 문화전통을 유지한 마한의 잔여세력이 6세기 전엽까지 존속하였다. 백제가 6세기 중엽 方郡城制를 실시하여 직접지배를 도모하면서 전남지역 토착사회는 변화를 맞게 되었다. 지방의 수장층을 이용하던 舊來의 통치방식을 지양하고, 지방관을 통한 지방지배가 실시되면서 토착사회는 전통적인 기반이 해체되고 재편되었다. 또한 백제는 서남해 연안지역과 도서지방을 대상으로 勿阿兮郡과 因珍島郡및 阿次山郡, 道武郡등을 설치하여 서남해 海路를 통제하였다. 백제가 전남지역을 직접 지배하면서 문화적 변화 역시 필연적이었는데, 토기 제작과 墓制축조 방식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찰 건립 등으로 이어졌다. As pottery with clay strip(粘土帶土器) and bronze daggers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fourth century in the Jeonnam area, about fifteen small independent tribes in Mahan were established. The small tribes of Mahan in the Jeonnam Area were subject to the Baekje through an invasion of the troops sent by King Geunchogo in the late fourth century. Baekje implemented a tribute system as a way of indirect control over the tribes, and made direct control of basic inlets for foreign trade located in Haenam and Gangjin. The Jeonnam area including the southwest s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hanged. Youngsan inland sea was governed by the Bannam tribe of Naju via the tribe which left jar-coffin graves in Sijongmyon, Youngam. On coastal areas of the southwest sea, small independent tribes around Baekpo Bay, Haenam weakened, and sea traders in the Bukil area stood out. The influence of the Baekje on the Jeonnam areas weakened as it was relegated by the southward advance of Goguryo after the fifth century. The aboriginal group in the southwest area had diverse relationships with Kaya, Shilla, and Japan. The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and the tribes of the Southwest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Dongsung after the capital was moved to Ungjin. King Dongsung implemented a feudal system after he gained power over Jeonnam including the southeast area. The tribes in the inland area of Jeonnam also maintained their independence. As Baekje implemented the Banggunsungje government system(方郡城制)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o have direct control, the tribal societies of the Jeonnam area faced changes. The old-fashioned local domination using head groups in local areas was sublated, and unitary local domination was achieved through the Banggunsungje governing system. Baekje``s local domination advanced further, and the traditional base of tribal society in the Jeonnam area was dismantled and reorganized. As the Baekje gained direct control over the Jeonnam area, cultural changes were required, and the building of buddhist temples as well as earthen ware production and a different style for grave sites followed.

      • KCI등재
      • KCI등재

        나주지역의 역사지리적 위상과 고려 팔관회

        문안식 ( An Sik Moon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팔관회는 개성과 평양에서 개최된 행사였는데, 「新增東國輿地勝覽」 羅州牧 條에 인용된 鄭道傳의 “諭父老書”에 나주에서도 팔관회가 개최된 사실이 실려 있다. 나주 팔관회는 현종 때에 20여 년 동안 시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나주 팔관회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祭儀와 祝典이 펼쳐졌고, 宋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사절과 상인 등이 행사에 참여하였다. 나주 팔관회는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나주로 몽진 왔을 때 환대와 협조를 아끼지 않았던 厚意에 대한 시혜적인 성격이 짙다. 나주를 비롯한 榮山內海 연안지역이 선사시대 이래 한·중·일을 잇는 대외교섭의 거점역할을 수행한 전통과 경험도 팔관회 개최의 배경이되었다. 나주를 비롯한 영산강 중·하류지역은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남해만·덕진만·영암만등의 榮山內海가 펼쳐져 있었다. 나주와 영암 및 무안과 함평 일대는 낮은 구릉 사이를 海水가 밀고 올라와 해안지역을 이루었다. 영산내해 연안을 비롯하여 서남해지역이 동아시아 대외교섭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은 낙랑 등 중국 군현이 설치된 이후였다.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낙랑에서 백제를 거쳐 가야와 왜국으로 이어지는 대외교역로의 중간 길목을 장악한 채 성장을 거듭하였다. 가야와 왜국에서 영산내해 연안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거나 장기간 동안 거주한 집단도 존재하였다. 가야와 왜국 외에 남중국 및 신라와도 교류했다. 서남해지역은 서해남부 사단항로가 열리면서 동아시아 해로의 요충지로 부각되었다. 서남해 海域은 중국과 왜국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와 西域 사람들이 왕래하는 국제교류의 통로였다. 서남해지역의 해상활동은 신라의 통일 이후 다소 침체기를 겪었지만,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면서 다시 활발해졌다. 서남해지역의 해상세력은 청해진의 해상활동 참여를 통해 성장 계기를 마련했다. 이들은 장보고 사후 서남해지역의 질서재편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후삼국시대가 되면서 영산내해 연안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태봉(고려)과 후백제 사이에 치열한 각축전이 전개되었다. 태봉은 여러 차례에 걸친 악전고투 끝에 서남해지역을 장악하여 후백제의 배후를 견제할 수 있는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태봉의 서남해지역 통치는 고려의 건국 후 羅州道大行臺의 설치로 이어졌다. 나주는 여러 차례에 걸친 지방제도 개편 과정에서 우대를 받았다. 현종 때에는 전라도 유일의 목사고을이 되어 노령 이남지역을 관할하는 지방행정의 거점이 되었다. 현종이 나주에서 팔관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도 우대책의 일환이었다. 나주는 팔관회가 개최되면서 宋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아라비아·일본 등의 사절과 상인이 왕래하는 국제교역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나주 팔관회는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지 못하고, 서경 팔관회에 자리를 다시 넘겨주었다. 팔관회가 폐지된 후 영산내해 연안지역의 대외교섭은 위축을 면할 수 없었다. 고려의 해양정책 역시 개방모드에서 폐쇄모드로 전환되어 서남해 연안과 도서지역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지대가 되었다. 고려와 조선 및 明·淸의 海禁政策은 해상을 통한 접촉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동아시아의 공동 번영과 평화를 증진하는 데 크게 기여한 서남해지역의 해상을 통한 대외교류 활동은 장기간 동안 단절되기에 이르렀다. Palgwanhoi(八關會) was actively held in Goryeo via Shilla and Taebong. It is a festival that combines traditions such as ancestor worship, natural religions and the Sunrang system as well as Buddhist ceremony. Diplomatic envoy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merchants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and it was also used as a field for international trade. Goryeo Palgwanhoi was an international event held in Gaesung and Pyongyang and the record that it was also held in Naju was published in Yuburoseo(諭父老書) written by Jeong Do-Jeon. The Naju Palgwanhoi is characterized by beneficial rewards to cooperation the people showed King Hyunjong who sought safety in Naju during an invasion led by Chi Tan. At that time, Naju was a prosperous town located on the coast, not on the riverside inland. In the midstream and lower parts of Youngsan River, Naju was made up of an inland sea which included Namhae Bay, Dukjin Bay and Youngam Bay. The coastal area of Youngsan Nae Hae was a hub for foreign exchange connecti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was the background for holding the Palgwanhoi. The southwest area including Naju was a mid point for foreign trade with Gaya and Japan via Baekje from Nakrang. There were exchanges with South China and Shilla in addition to Gaya and Japan. The southwest area became a strategic point of an East Asian sea route as the Cross Sea Route(斜斷航路) which crossed the southern area of the west sea was opened. The southwestern sea areas were a path for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East Asians, including the Chinese and Japanese, and Arabian people. Maritime activity in the southwest area was somewhat depressed after unification by the Shilla, but it revived when Jangbogo opened Chonghaejin. Maritime forces in the southwest area had a chance to grow through participation in maritime activity at Chonghaejin. The ports of Hoijin, Naju and Gurim, Youngam were active as hubs connecting Shilla to the Tang. In the post-Three Kingdom Period, there was keen competition between Taebong and the post-Baekje to occupy Youngsan‘s an inland sea. Abunda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southwest sea area was an impetus for Goryeo to unify after the three kingdoms period. Naju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local political systems. It became a hub for local administration which governed the south of Noryong as Naju was install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King Hyunjong gave preferential treatment to Naju so the Palgwanhoi could be held in Naju. The Naju Palgwanhoi was a stage of coexistence, peaceful exchange,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sea. It was held in Naju for about 20 years and was replaced by the Seogyong Palgwanhoi. Policy of vacate the island made foreign contact through the sea harder and the memory of the Naju Palgwanhoi faded away.

      • KCI등재

        백제의 해상활동과 신의도 상서고분의 축조 배경

        문안식 ( An Sik Moo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신의도는 목포에서 약 56km 떨어진 서남해의 고도(孤島)이다. 다른 도서지역과 달리 신의도 일대에는 70여 기의 삼국시대 고분이 집중 분포한다. 상태서리 38기, 자실리의 뒷산 골짜기 20기, 상태서리고분군과 자실리고분군 사이에 위치한 낮은 야산에서 10여 기가 확인되었다. 가장 앞선 시기의 고분은 상태서리와 자실리 사이의 낮은 야산에 분포한 수혈식석곽묘이다. 가야와 왜국 등이 백제의 변방에 대한 영향력이 약화된 틈을 타고 5세기 중엽을 전후하여 서남해 도서지역 해상집단과 접촉한 사실을 반영한다. 피장자는 서남해지역의 토착 해상세력 혹은 가야 등에서 옮겨온 이주민으로 짐작된다. 이들은 해로(海路) 안내 등의 해상활동과 교역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서남해 도서지역은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 사이에 걸쳐 조성된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백제의 점진적인 영향력 확대에도 불구하고 서남해의 해로(海路)를 장악하거나 통제하지 못한 사실을 반영한다. 신의도를 비롯한 서남해 도서지역이 다시 주목 받은 시기는 백제가 사비 천도를 전후하여 방군성제(方郡城制)를 실시한 이후였다. 백제의 군현 설치와 지방관 파견 이후 사비식석실분이 서남해 도서지역 곳곳에 조성되었다. 신의도 상태서리 및 자실리 고분군에 묻힌 사람들은 水軍鎭營의 지휘관 및 보좌하던 해상세력 등으로 짐작된다. 신의도 수군진(水軍鎭)은 고군산군도(古群山群島)에서 부안 위도-영광 안마도-신안 임자도-자은도-팔금도-안좌도 등의 해역을 통과한 후 진도를 우회하여 추자도 및 제주도 방면으로 연결되는 근해항로(近海航路)를 통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신의도 중앙부에 위치한 안산성이 수군진의 거점 역할을 하였다. 신의도를 비롯하여 서남해 도서지역에 설치된 군현(郡縣) 혹은 군진(軍鎭)의 전략적 가치는 7세기를 전후하여 높아졌다. 백제 멸망 직전까지 중국의 수당(隋唐)과 일본 및 동남아시아 등의 선단들이 서남해 도서지역을 경유한 사실이 여러 문헌을 통해 확인된다. 신의도 상태서리고분군의 축조 기간 역시 서남해 도서지역의 해양 전략적 가치가 고조된 시기와 일치한다. 신의도의 해양 전략적 가치는 신라의 통일 이후 약화되었다. 신의도 일대에 신라시대 이후 조성된 고분들이 조사되지 않는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Sinouido is a southwestern isolated island located 56km from Mokpo. Unlike other islands, this island has about 70 tumuli from around the Three Kingdom Period. There are 38 at Sangtaeseori, 20 at the back hill of Jasilri and 10 on the hill between the two places above that. The earliest tumuli were pit-style with stone chambers scattered in the hillock between the Sangtaeseori and Jasilri. They indicate that Gaya and Japan were in contact with sea traders of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when Baekje``s influence in the area weakened. It is presumed that the people who were buried in these locations were aboriginals of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or emigrants from Gaya. They acted as intermediaries in maritime activities such as guides for sea routes and trade. Relics which were made between the late 5th and the early 6th century have not been excavated in southwestern coastal areas. This shows that the Baekje could not control the sea routes of the southwestern sea in spite of its gradually increasing influence. The southwestern islands including Sinouido began to attract attention after the Banggunseungje was executed when the Baekje moved its capital to Sabi. After the Baekje installed Guns and Hyuns and nominated local governors, many Sabi-type tombs with stone chambers were built in the southwestern islands. It is presumed that those who were buried in Sangtaeseori and Jasilri were commanders of marine forces and sea traders who assisted them. The naval forces of Sinouido controled nearby sea routes which were connected to Chujado and Jejudo via Jindo after passing through the sea areas surrounding Gogunsangundo, Wido of Buan, Anmado of Younggwang, Imjado, Jaeundo, Palgeumdo and Anjado of Sinan,Ansansung, located at the center of Sinouido, was a center for naval forces. The strategic value of Guns and Hyuns or army camps which were installed in the southwest islands, including Sinouido,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7th century. The fact that fleets from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passed through the southwestern islands immediately before Baekje collapsed was bibliographically confirmed. The period of building the tumuli in the Sangtaeseori of Sinouido was identical to the period when the strategic value of the southwestern islands increased. The strategic value of Sinouido was weakened after national unification by the Silla. This is related to the background that tumuli which were built after the Shilla period in Sinouido have not been investigated.

      • KCI우수등재

        백제의 마한 복속과 지방지배 방식의 변화

        文安植(Moon An-Sik)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0 No.-

        Baekje(百濟) formed a united kingdom along the lower Han Ri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3rd century and began to unite its neighboring states. At that time, Malgal(靺鞨) was located to the east of Baekje, Mahan to the south. and Daifang(帶方), one of the Chinese Commandaries, to the north. Baekie successfully established a united kingdom by tightening control over its own people and fighting against the Chinese Command aries and Malgal, which then fell to a vassal state of China. Because the Chinese Commandaries and Malgal were still putting pressure upon Baekje, it couldn't help but maintain its subordinate relation to Maha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ly after it expelled the Chinese Commandaries and gained control of Malgai in the 4th century could Baekje make inroads into Mahan areas. Baekje conquered the central forces of Mahan such as Mokji Stater (目支國) in Cheonan(天安) and Geonma State(建馬國) in Iksan (益山) during the reign of King Biryu (比流王) in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近肖古王). Baekje advanced into the Yeongsan River valley, exercising its influence over Gaya Kingdom(加倻). Baekje did not rule subjugated states such as Mahan in the same way that it ruled its original territory. While Baekje reorganized its original territory into five sections, it carried out the tributary system in the subjugated regions. However, Baekje dispatched its high-ranking officials to govern Mahan's castles of strategical importance directly. This ruling method initiated the Damro Systeml a damro is a Baekie's administrative district) during the reign of King Biryu in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Baekje's high-ranking officials didn't exercise their direct sovereign power over native Mahan people from the very beginning. Even though Baekie used a damro(?魯) as a hub to rule over neighboring castles, other regions were actually under the control of powerful Mahan natives. Accordingly. Baekje's high-ranking officials could govern the Damro with the help of native Mahan people. Making the best of this situation, the powerful Mahan natives could keep their vested rights safely. Only after King Geuncho consolidated the Damro system, it became a local policy which was exercised nationwide. Under these circumstances, some Mahan natives hopped on the bandwagon to get a chance to be raised on the peerage in Baekje and others were degraded to low-level local workers. However, unlike the central regions in Mahan, the tribute system continued working in the neighboring Yeongsan River valley.

      • KCI등재

        古朝鮮의 遼西地域 진출과 土着社會의 動向

        문안식(Moon, An-Sik)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요서 일대는 魏營子文化의 소멸 이후 비파형동검을 대표 유물로 하는 十二台營子 類型의 청동문화가 형성되었다. 이 문화를 영위한 집단은 先秦文獻에 보이는 濊貊의 갈래였으며, 요하문명의 줄기에 해당되는 하가점 하층문화를 계승한 토착집단이었다. 이들은 B.C. 7세기 무렵 齊 桓公의 경략을 받아 요하를 건너 요동 방면으로 이주한 후 고조선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였다. 요서지역은 십이대영자 유형의 청동문화가 해체된 후 B.C. 6세기를 전후하여 南洞溝 類型으로 불리는 후기 비파형동검문화가 출현하였다. 남동구 유형은 B.C. 4세기 무렵에 이르러 東大杖子 類型으로 계승되었다. 동대장자 유형의 문화를 영위한 집단은 《山海經》등에 보이는 貊國과 관련이 있다. 이들은 B.C. 4세기 초엽 燕將 秦開의 北伐을 받아 토착문화 전통과 기반이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燕은 요서 일대와 발해만 연안지역을 복속한 후 요하를 경계로 하여 고조선과 영역을 마주하게 되었다. 고조선은 양국의 대립 와중에 요하를 건너 대릉하 유역 일대까지 진출하였다. 고조선은 요서지역 진출을 전후하여 瀋陽의 鄭家窪子일대에서 鞍山市 台安縣에 자리한 險瀆으로 중심지를 옮겼다. 험독은 요하의 서쪽의 강변에 자리한 채 요동 방면에서 의무려산으로 가는 일직선상에 놓여 있다. 험독은 요하와 태자하 및 혼하가 합류되어 三叉河를 이루면서 盤錦灣으로 유입되는 옛 해안지역에 위치하였다. 험독의 위치와 관련하여 新開河鎭의 孫城子城 일대가 주목된다. 고조선은 험독으로 중심지를 옮긴 이후 요서지역으로 본격 진출하여 灤河 계선까지 밀고 나갔다. 燕은 반격에 나서 秦開의 北進 활약을 통해 고조선을 2천 리 밖으로 밀어내면서 천산산맥 계선까지 진출했다. 요서지역은 군현이 설치된 이후 토착 문화전통이 단절되고 燕 문화로 대체되었다. 燕의 지배를 거부하고 요하를 건너 요동과 한반도 방면으로 이주하면서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 등 초기 철기문화의 전파와 확산에 기여한 일파도 생겨났다. In the Liaoxi area, the Bronze culture was formed with mandolin-shaped daggers as a representative relic after the extinction of Weiyingzi Culture(魏營子文化). The people who had this culture were part of Weimo which is recorded in PreChin Literature and are the local people who inherited the Lower Hagajeom Culture as a branch of the Liao Civilization. They moved to Liaodong area crossing the Liao when they were defeated by Huankung of Oi and then contributed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Gojoseon. In Liao area, the post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which is called Namdonggu assemblage appeared around the 6th century B.C. after the Bronze culture which is called Sipidaeyoungja(十二台營子) assemblage was dissolved. The Dongdaznangzi cultural assemblage succeeded to the Namdonggu cultural(南洞溝文化) assemblage around the 4th century B.C. The group of people who had the Dongdaznangzi cultural assemblage is related to Maekguk(貊國) shown in 『Shanhai ching』 and others. When they were attacked by Jingae(秦開) from Yan(燕) state in the early 4th century B.C., their tradition and base were disorganized. When Liao area and the coastal area of Pohai Bay were subject to Yan, Yan was opposite to Gojoseon with Liao as a boundary. Gojoseon advanced even to dàlíng hé by crossing Liao River while being opposite against Yan. It advanced into the limiting circle of Lan Ha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n Liaoxi. Gojoseon moved its center from Cheng-chia-wa-tzu(鄭家窪子) in Shenyang to Humdok(險瀆) in Taeanhyun(台安縣), Ansan while advancing into Liaoxi area. Humdok was located at the west shore of Liaoxi and stood in the straight line with the way to Yīwūlǘ Mountains. Humdok was located at an old costal area which reached Bangeum Bay as Liaoxi, Taizihae and hùnhé were combined to make Samchahe.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 of Humdok would be Sonsungjasung area in Singaehajin. After Gojoseon moved its center to Humdok, it advanced to Liaoxi area and even to the limiting circle of Lan Ha. As Yan expelled Gojoseon 488 miles away through Jingae"s going north, it advanced to the limiting circle of T"ien Shan. After Guns and Hyons(郡縣) were set up in Liaoxi area, its local culture and tradition were interrupted and the culture was replaced by Yan culture. As it resisted against Yan"s control and moved to Liaodong and the Korean peninsula crossing Liao River, a party who contributed to spread and expansion of the early Iron Cultures including the Jeomtodae-pottery and the bird-shaped antenna dagg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