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커브렛 변환 기반의 영상 향상 방법

        문병철(Byeong-Cheol M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4

        This paper proposes the efficient preprocessing method based on curvelet transform for edge enhancement in image. The propose method is generated the edge map by using the Canny algorithm to wavelet transform, which is the sub-step of the curvelet transform. In order to improve the part of edge feature, the selective sharpening according to the generate edge map is applied. In experimental result, the propose method achieves that the enhancement of edge feature is better than conventional methods. This leads that peak to signal noise ratio, edge intensity are improvement on average about 1.92, 1.12dB respectively.

      • KCI등재

        핵확산금지레짐과 관련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 북핵사례를 중심으로

        문병철 ( Byeong Cheol Mu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5 한국과 국제정치 Vol.31 No.2

        북핵위기와 관련해서 주목해야 할 측면 중 하나는 유엔, 특히 유엔안보리가 대북제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요 행위자로 등장했다는 점이다. 북한 핵개발과 관련된 안보리결의안은 제1차 북핵위기의 단초가 된 북한의 NPT탈퇴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안 825호를 필두로, 모두 7차례 채택되었다. 그러나 NPT 체제 또는 6자회담에 주목한 연구성과들이 다양하게 축적되어 있는 반면, 북핵위기 관련 행위자로서 유엔안보리에 주목한 연구성과는 많지 않은 형편이다. 이는 북핵위기에 관한 기존 연구성과와 더불어, 북핵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드러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북핵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채택된 안보리결의안 분석을 통해, 탈냉전기 핵확산금지레짐과의 연관성 속에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With regard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t is notable that the United Nations, in particular, the UNSC(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s played a key role in making a decis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UNSC resolutions have been adopted seven times, including resolution 825 which called upon North Korea to reconsider its withdrawal from the NPT in 1993. By contrast to robust production of research papers regarding NPT regime and the Six Party Talks, there have been a few researches focusing on the UNSC’s role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the UNSC in terms of NPT regime with an analysis of the context of the UNSC resolutions which le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KCI등재

        제2차 북핵위기와 미국 패권의 능력 그리고 한계

        문병철 ( Byeong Cheol Mu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2 한국과 국제정치 Vol.28 No.2

        이 논문은 제2차 북핵위기의 전개과정과이에 대한 부시 행정부의 대응을 미국 패권의 능력과 한계라는 관점에서 조망해보고자 한다. 제2차 북핵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미국의 힘이 어떤 형태로 투사되었는지 또는 제한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탈냉전기 동북아시아의 안보질서를 형성하는 기본 동인으로서의 미국 패권의 현재적 모습과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제2차 북핵위기의 진행과정에서 대두하였던 몇 가지 쟁점들을 패권안정론(hegemonic stability theory)의 핵심 명제들에 입각해서 검토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Bush administration`s response to the security challenge triggered by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n terms of the capability and limit of U.S. hegemony. This may allow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U.S. hegemony as one of critical factors which shape a regional security order in Northeast Asia in the post-Cold War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will compare the main hypotheses of hegemonic stability theory and a set of key issues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 KCI등재

        동북아 안보레짐으로서의 6자회담의 가능성

        문병철 ( Byeong Cheol Mu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통일과 평화 Vol.3 No.2

        이 논문은 동북아 안보레짐으로서의 6자회담의 가능성을 레짐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국제레짐이론에 대한 개괄을 통해 안보레짐이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이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고, 둘째, 6자회담의 경우를 안보레짐이론에 입각해서 사례연구로 분석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2차 북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6자회담 과정에서 어떠한 원칙과 규범, 규칙 그리고 의사결정과정이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6자회담이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외부적 조건으로서의 동북아 안보레짐의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레짐이란 국가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각국의 외교정책이나 행태를 조정하고 국가 간의 협력을 촉진시키는 제반 요소들의 총합으로서, 이 가운데 국제안보레짐은 둘 이상의 국가들 간에 안보와 관련된 사항을 규율하기 위한 협력의 양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2차 북핵위기의 해결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출발한 6자회담은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라는 당면목표와 함께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 달성이라는 중장기적 과제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이는 6자회담이 ``단기적·일시적 이익이 아니라 중장기적 이익의 추구``라는 레짐 형성의 기본요건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폐기``, ``공약 대공약, 행동 대 행동의 원칙``, 그리고 세 차례에 걸친 공동성명의 채택을 통해 확인된 ``공식적인 의사결정과정`` 등은 각각 제2차 북핵위기의 해결이라는 당면한 목표와 관련해서 제기된 원칙과 규범, 규칙과 정책결정과정에 상응하는 내용들이다. 그러나 보다 중장기적인 과제로서 동북아지역 안보레짐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는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 및 ``다자주의``가, 그리고 ``공약 대 공약, 행동 대 행동의 원칙``, ``공식적인, 때로는 비공식적인 정책결정과정`` 등이 각각 동북아 안보레짐의 원칙과 규범, 그리고 규칙과 의사결정과정으로 원용될 수 있는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probability of the Six-Party Talks for a security regime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rough the lens of international regime theory. Firstly, it will examine which elements are essential for establishing a security regime. Secondly, the Six-Party Talks will be considered as a case which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a security regime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it will investigate how the Six-Party Talks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security regime in Northeast Asia with an analysis of what kinds of principles, norms, rules,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have been outlin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Six-Party Talks. International regimes refer to sets of things which facilitate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gulate state actors` behavior. In addition, a security regime refers to patter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adjust specific issu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security. The Six-Party Talks, which began to handle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pursued ``the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 peaceful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implies that the Six-Party Talks have contributed not only to mediating a short-term interest among the participants but to creating a long-term perspective for a security regime in the region. For example, there are such factors a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 peaceful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commitment for commitment, action for action,`` and three joint statements, which may denote principles, norms, rules,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for mediating a short-term interests. However,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o form a security regime in Northeast Asia, such key issues as ``the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multilateralism,`` ``commitment for commitment, action for action,`` and ``formal and informal agreements`` can be employed for the principles, norms, rules, and decision-making procedures for a security regime in the region.

      • KCI등재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의 가능성과 안보적 함의: 이익균형론의 관점에서

        문병철 ( Mun Byeong-cheol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2

        동북아 지역에서의 핵무장 경쟁 방지와 북핵문제의 해결을 위한 제도적 노력의 일환으로 실현가능한 동북아 비핵지대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선택 지의 하나로서 동북아시아 제한적 비핵지대(The Limited Nuclear-Weapon-Free Zone of Northeast Asia)의 가능성과 그 안보적 함의를 ‘이익균형론’(Balance of Interest Theory)에 입각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는 냉전 종식 이후 가시화된 수평적 핵확산으로 인해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온 NPT체제의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장기적인 지역안보질서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의 창설은 역내 갈등 구조를 진화하는 협력구조로 대체하는 긍정적 상호의존의 길을 여는 데 공헌 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necessary to seek an idea of a feasible nuclear-weapon-free zone in Northeast Asia not only to prevent nuclear arms races in the region but also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bability of the Limited Nuclear-Weapon-Free Zone of Northeast Asia and its securit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balance of interests theory.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ed Nuclear-Weapon-Free Zone of Northeast Asia could als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NPT regime which has been facing a challenge of horizontal nuclear proliferation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long-term security order in the region, the establishment of the Limited Nuclear- Weapon-Free Zone of Northeast Asia could be useful to pave the way for the existence of positive interdependence by replacing the structure of the conflict with the evolving structure of cooperation.

      • 이동형 RFID를 이용한 관람 정보관리 시스템의 개발

        박소희(So-Hee Park),문병철(Byeong-Cheol Mun)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09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4 No.1

        A portabl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has extend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 because it is now possible to recognize a lot of information of identifying object at once through wireless, long distance frequency. Particularly, we need an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manages and controls information using RFID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uld offer complexity and various information to many peopl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present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s a systematic information of inspecting objects and visitors in case of disorders in a museum or a huge exhibition. The developed system performs that a RFID controller recognize a RFID tag identifier through wireless AP from database server in Client/Server environment based on ethernet. The visitors are provided more information of inspecting objects from database server at realtime, using a PDA with RFID reader and an RFID card to register its information. The exhibition manager can catch hold of the confusion degree as a whole or a zone through registering the information of inspecting objects and taking the reservation of visitors on web previous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exhibition effectively. And they are able to printout the circumstances of exhibition on web if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