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일제 프로그램의 편성ㆍ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문미옥(Moon Mi-Ok),조부경(Cho Boo-Kyung),이연승(Lee Yeon-Seung),신은수(Shin Eun-Soo),김영실(Kim Young-Sil),안진경(Ahn Jin-Kyeong),김지영(Kim Ji-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종일제 프로그램의 편성ㆍ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비례 유층표집을 통해 선정된 201명의 유치원 교원과 이들 중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선정된 11명의 교원이다. 연구도구는 설문지와 면담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유치원 교원은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였으며, 교육과정 작성시 참고하는 자료로는 교육부ㆍ지역 교육청ㆍ시중에서 판매하는 자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종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는 교원들의 상당수는 종일제를 위한 교육계획안을 작성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유아의 늦은 하원과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해 종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았다. 종일제 교육계획안 작성시 보육, 심화학습, 특별활동 위주로 종일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종일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으로 교사들은 종일반 전담교사, 운영비 보조, 보조 교사 투입, 종일제 프로그램개발 및 자료 개발, 종일반의 물리적 환경 개선 등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and to present guideline of improvement ways. The subjects for investigation questionnaire were 201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for population and the subjects for interview were 11 teachers who were selected out of 201 subjects by means of the same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preceding studies and documents.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ity of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made a plan for all-day program and consulted current materials and books that wer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ovinces office of education. The maj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didn't make a all-day program's plan didn't feel the necessity of making a plan and didn't make a plan for reasons of children's late homecoming and excessive work load. The majority made a plan for a care program, deepening study and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requested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ll-day program that is to support administration expenses for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investment assistant teachers, develop the full-day programs and materials and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ull-day class.

      • KCI우수등재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문미옥(Mi Ok Moon)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4

        The teacher`s role scal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is designed for both teacher self-rating and observer rating. Content validity was determined by 5 experts who defined the domains of specific content. Construct validity was obtained by the self-ratings of 404 teachers of 3- to 5-year-old children. Five factors using 38 items of the original 59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factors were Indulgence and Perseverance,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Fluency.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positive correlations of the Teacher`s Role Scale with the Teacher`s Creativity Test of th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For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of the 5 factors ranged from .74 to .88.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ents ranged from .653 to .838. These results confirm the Scale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옛 문헌에 나타난 윷놀이의 유래와 놀이방법

        문미옥 ( Mi Ok Moon ),손정민 ( Jeong Min S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옛 문헌 22권을 고찰하여 윷놀이의 기원과 유래, 도구와 놀이방법을 밝힘으로서 유아를 위한 윷놀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윷놀이는 삼국시대나 그 이전시기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계절과 관련된 하늘의 별자리와 하늘 땅 등을 상징하는 내용으로 윷판을 만드는 등,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고유성이 강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놀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윷가락의 소재는 나무·밤·콩 등이 사용되었으며, 윷판 대신 손가락·산가지(전통사회에서 수를 세기 위해 사용한 막대)를 활용하는 등, 도구와 방법이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놀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헌에 기록된 놀이규칙에서 우연성과 지략의 적절한 배합, 2인 이상 다수 참여 가능한 집단의 다양성, 정적·역동적 놀이방식의 공존, 난이도의 다양성, 방법의 다양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놀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규 교육과정에서 인지발달·사회도덕성·신체발달 등을 위한 통합교육활동으로 적극 실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istory and origin and tools and how-to of yut from 22 Korean old documents.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child`s yut. Brief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timated that yut existed from a period of Three Kingdom. Yut is the only representative traditional play with strong individuality. Specifically, a board of yut symbolized the content of constellation related to four seasons, sky, and earth. Sticks of yut are made of tree, chestnut, and bean. Fingers and tree branches of traditional number counter were used to replace a yut board. Yut shows openness and creativity in its tools and ways. In addition, play rules from documents indicat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oexistence of accidentality and strategy, variety of groups, still and dynamic play method, variety of task level and play method.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yut is required to be integrated into the regular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child`s cognitive, social and moral, and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

        전통줄다리기에 대한 옛 문헌 고찰과 유아교육현장 적용방안

        문미옥 ( Moon Mi-ok ),유칠선 ( Ryu Chill-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유아교육은 놀이중심교육을 지향하고 있어 전통놀이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 중 전통줄다리기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을 뿐 아니라 국가수준 유아교육지도서에서도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교육실행 및 적용은 다루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필수조건이다. 특히 대동단결을 강조하는 놀이는 일제 강점기의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인위적 단절과 왜곡의 과정을 겪은 바 있어, 현장적용 이전에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파악하는 기초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전통놀이 관련 내용은 그림 자료 및 구전자료에서도 알 수 있으나 옛 문헌에 기록된 자료는 보다 공식적인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줄다리기가 유아교육계에 소개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체계화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민속학 분야연구에서 문헌 고찰을 포함한 연구가 다소 있으나 주요 결과가 서로 상이한 경우도 있으며, 유아교육 적용 시 고려해야 할 분석준거가 간과된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로부터의 유서(類書)류, 문집, 예서(禮書)류와 일제 강점기와 광복이후 남북한의 저서들을 고찰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육 현장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고찰의 주요결과는 우리 전통줄다리기는 현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외줄다리기 형태보다는 암줄 수줄 두 줄을 엮어 당기는 쌍줄다리기가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쌍줄다리기의 목적은 힘겨루기로 승부를 가리는 것이 주목적이라기보다는, 풍년을 비는 농경의식과 신분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모두가 함께 하는 종합예술축제로서의 의미가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위한 줄다리기 형태의 선정, 유아를 위한 줄다리기 줄의 재료와 줄의 굵기 및 길이, 유아연령에 따른 줄다리기 활동 내의 역할과 교사역할 등의 측면에서 적용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ancient literature and identify the origin, name, time, tool, participants, and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tug-of-war, and eventually present the way to apply those in 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roducers of eve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know accurate facts about the contents that are going to be dealt with before putting those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due to cultural obliteration polic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ents about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eliminated and distorted. Therefore, more effort based on accurate facts is needed. Korean Traditional Tug-of-War has been selected as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in 2015 and was mentioned in nationwide early child education teacher's manual book. Considering that early child education emphasizes play, appliance of traditional tug-of-war in education is becoming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raditional plays are written in detail in various ancient literature book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tudied books of Goryeo, Chosun Dynasty, Japanese colonial era, and North, South Korea, and proposed ways to apply them on early child hood education. By reviewing ancient literature, this study found that rather than using one rope, which is the way modern Korean kindergarten uses when doing tug-of-war, Korean traditional tug-of-war was held more by two ropes twisted each other. Also the purpose of two rope tug-of-war was not for strength competition, but to wish for abundance and participate all together happily.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presented plans for how to choose the kind of tug-of-war good for children, what kind of rope is good for children, and the role of children and teacher in tug-of-war according to age.

      • KCI등재

        옛 문헌에 나타난 연날리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문미옥 ( Mi Ok Moon ),문명희 ( Myoung Hee M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eaching a child to fly a kite by showing the origin, ages, tools and playing methods of playing Korean traditional kite through the examination on 48 old literatures. These old literatures includes not only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ooks for etiquette, and encyclopedia over the period from the Koryo Dynasty to Joseon Dynasty, but also several North and South Korean books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In addition, we examine the paintings from Goguryeo to present and refer to materials on flying a kite in foreign literatures, paintings and films. This study shows that kite flying is a play that have existed widely throughout the world as a form of entertainment. Korean kites and foreign kites share common features but Korean ones are the best in the world due to their ability to manuever sharply to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Kite flying in Korea is a game playing together, featuring that people compete to cut the strings of other kites` by crossing each other. This feature proves kite flying in Korea is a very creative and scientific game. It is important that kite flying can be used to cultivate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abilities of a child depending on the level of child`s development. 본 연구는 옛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전통연의 기원과 유래, 놀이자 연령층과 시기, 도구와 놀이방법을 밝힘으로서 유아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찰한 옛 문헌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의 문집, 예서(禮書)류, 유서(類書)류 48권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와 광복이후 남북한의 저서들도 참고하였으며, 삼국시대로부터 현대까지의 풍속화도 참고하였다. 또한, 문학작품에 진술된 연날리기에 대한 표현을 포함한 외국자료와 그림, 영화도 참고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연은 세계 각 민족 사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놀이이며 소망을 비는 기원의 목적과 오락 활동의 하나로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연은 세계적인 연이 가진 공통점 외에, 연 가운데에 방구멍을 둔 과학적 측면으로 인해 상하上下, 좌우左右, 급강하急降下, 급상승急上昇등, 보다 자유자재로 날릴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과학성이 뛰어난 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연날리기는 서로 연을 얼러 끊어먹기를 하는 등, 놀이자 간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놀이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연날리기는 물리과학적 지식, 미술표현, 한국민의 소망 등이 포함되어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으면서도 유아의 흥미가 높은 활동이므로 연에 대한 기초 연구결과에 기초한 보다 적극적 교육활동 전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옛 문헌에 나타난 팽이의 유래와 놀이방법

        문미옥 ( Mi Ok M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옛 문헌을 고찰하고 세계 여러 나라의 팽이 관련 문헌내용을 참조하여 우리나라 전통팽이의 기원과 유래, 소재와 종류, 놀이방법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찰한 옛 문헌은 조선시대 유서(類書)류와 일제강점기의 저서를 주로 참고하였으며 광복 이후 남북한의 주요 저서들도 살펴보았다. 옛 그림 자료는 조선시대 말에서 일제강점기의 풍속화가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참조자료로서 기원전 문학작품에 진술된 팽이에 대한 묘사 등을 포함한 외국자료와 그림을 살펴보았다. 문헌고찰 결과, 우리나라 팽이 뿐 아니라 인류 팽이의 기원은 도토리 등의 자연물로 추정되며, 각 문화권에서 독립적이며 자생적으로 발생한 놀이로 판단된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팽이는 범세계적인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창의적이고 친자연적인 소재와 다양한 종류의 팽이가 있었으며, 사람과 더불어 하는 놀이방식의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의 모든 전통놀이 연구는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 이전에 놀이의 유래 및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기초연구가 선행됨으로서 놀이기법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복합적 문화로서의 의미있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arch for the origin, materials and types, 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play methods by examining the Korean old literatures and researching top related documents around the world. Mainly referred documents were similar books of Chosun Dynasty and book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mportant public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of Korea`s post-independence were also reviewed. Works of genre painting from the last years of Chosun to Japanese occupation were analysed for old painting works. Description about a top of pre-Biblical times and materials and painting around the world were reviewed as reference documents.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s, the material of the origin of human top as well as Korean top was inferred as an acorn such as a natural object. Playing top occurred naturally independently and autochthonously in cultural area. In addition, Korean top has common worldwide similarities and a peculiar way of various and creative material. Korean top always needs people to be involved in play and also characterizes mathematical and scientific principl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es on all Korean plays should base on the origin and nature and meaning of Korean play before developing specific educational activities or programs.

      • KCI등재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에 나타난 널뛰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문미옥 ( Moon Mi-ok ),김의경 ( Kim Eui-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고유놀이인 널뛰기의 기원 및 유래, 놀이 시기와 놀이 도구, 놀이 방법, 그리고 주된 놀이자의 성별과 연령대 등을 밝힘으로서 유아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널뛰기는 고려시대부터 이어져 온 우리나라 고유의 놀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놀이 형태를 가진 시소는 1700년대부터 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널뛰기의 역사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널뛰기는 음력설에 주로 하였으나, 시기나 계절 관계없이도 했던것으로 나타났고, 긴 널판과 받침만 있으면 가능했으므로 도구 역시 크게 제약받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널판 양 끝에 서서 번갈아 뛰며 승부를 겨루는데, 어린이들은 안전하게 놀이하기 위해 늘어뜨린 줄을 잡고 뛸 수 있도록 하였고, 옆에서 다른 사람이 손잡아주는 경우도 있었다. 널뛰기는 주로 여성들이 놀았으나 성별, 연령 구분 없이 흥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우리고유의 놀이로서 정체성 함양, 물리수학적 지식 습득, 기초체력 향상, 사회성 및 창의성 증진 등 교육적 가치가 높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finding out the origin, tools, play time, rules and the main player`s gender and age from the reference from the old and the modern age. The result showed that Neolttuigi is a Korean traditional play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the Goryeo dynasty. Compared to seesaw which has a similar rule, while seesaw was first stated as a play in the 1700s, Neolttwigi has a long history. Neolttwigi used to be played in the lunar new year`s day but it was actually played any time or in any seasons, and it was also very easy to play as it only required a long board and a support. Two people jump up on each end of the board, and they sometimes compete. For children`s safety, they held a rope while jumping on the board. If there were more children, people sometimes held their hands instead of the rope. Neolttwigi was mainly played by Women, but regardless of the age and gender, people were interested in Neolttwig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Neolttwigi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its high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the children`s identification, acquire physical-mathematical knowledge, improve their physical ability, sociabi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2007년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문미옥(Moon Mi Ok),조부경(Cho Boo Kyung),이연승(Lee Yeon Seung),신은수(Shin Eunsoo),김지영(Kim Ji Young),안진경(Ahn Jin Kyeong),김영실(Kim Young 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2007년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편성ㆍ운영을 위한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유치원 교원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안의 구성 방침, 교육목표, 영역별 교육목표, 영역별 구성 체계와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서 제시한 구성 방침을 반영하겠다는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목표. 영역별 교육목표 영역별 구성 체계 그리고 내용 구성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교원들은 수준을 발달수준이며 수준별 교육내용 선정시 판단기준은 유아의 인지적 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opin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draft revision of the 2007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a view to presenting guidelines to help ensure that the curriculum can be effectively organized and managed. For this research, a nationwide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conducted on the curriculum regarding its principles,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and organizational systems of each subject area as well as ability-based education. The teachers have been found to be generally quite willing to apply the curriculum principles to the draft revision. They also expressed positive views on the curriculum's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and organizational systems of each subject area as well as the contents, Concerning the selection of contents for ability-based education, the teachers were of the view that the cognitiv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should be the main criteria.

      • KCI등재

        옛 문헌과 근현대 자료에 나타난 썰매타기 놀이의 본질적 의미 해석

        문미옥 ( Mi-ok Moon ),손정민 ( Jeong-min S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옛 문헌과 근현대 문헌, 신문기사, 잡지, 박물관 소장 자료를 통해 썰매타기 놀이의 기원 및 유래, 놀이시기 및 장소와 주 놀이 대상, 썰매타기 놀이의 형태와 놀이방법을 밝힘으로서 놀이방법에 치중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썰매타기 놀이의 본질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썰매는 운반도구로 주로 사용되다가, 놀이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썰매타기 놀이는 주로 겨울철 물이 얼은 곳이나 비탈진 언덕과 같은 곳에서 놀이가 이루어졌으며, 주 놀이대상은 연령과 지위를 불문하고 이루어졌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썰매타기 놀이방법은 썰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했으며, 혼자 놀이도 가능하지만 주로 2명 이상의 집단 놀이로 행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썰매타기 놀이는 역동적 놀이방식으로 난이도, 놀이재료, 놀이방법의 다양성을 가진 창의적이며 친환경적인 놀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물리과학적 지식 및 신체운동적 가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보고로서의 가치가 있는 우리나라 전통놀이로서 유아교육과정에서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imary data on sledding through old literatures, news articles, magazines and museum-owned resources to clarify fundamental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sledding that used to be mostly focused on its playing method befor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leds were used as transport materials in the past time and it has evolved into a traditional play by children. Through many literatures, we assume that people rode on a sled over snow or a steep slope, and this activity called sledding were generally carried out by all people, regardless of age or status. In addition, we could figure out the fact that play methods of sledding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leds, and mostly more than two people were participated in sledding as a group play, though a person could play sledding solely. This study enables us to realize the fact that sledding is a creative and eco-friendly traditional play of diverse levels of difficulties, play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sledding played out in winter by anyone and anywhere need to be recognized as a typical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play, which is not lopsided of its technical perspective of play method.

      • KCI우수등재

        소학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문미옥(Mi Ok Moon),류칠선(Chill Sun Ryu)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aims,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education in Sohak(小學) a textbook for childhood education in the choson Dynast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6th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in process) and the theories of education in Sohak. Sohak consists of Establishing the Education Process(入敎), Clarifying the Cardinal Human Relationships(明倫), Reverencing for the Self(敬身), Examining Antiquity(稽古), Admirable Sayings(嘉言), and Exemplary Deeds(善行). The aim of education in Sohak was to preserve Sheng(性), i.e. human nature inherited from heaven.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Sohak was divided into 6 groups: distinction by age and sex, health, basic life habits, private life, family life, and group life. Methods of education in Sohak was the consolidation of knowledge and conduct, education of self control, learning of exploration, learning of constructive models, learning of keep the stages and telling stories of the sayings of the s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