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에서의 효율성과 수익성 개선에 미치는 지역간 파급효과

        리신위,우위에,김성환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In this study, we measured efficiency of Chinese firms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ccording to input and output by industry with panel data of Chinese listed companies from 2007 to 2020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s in R&D efficiency around privat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R&D investment efficiency, the effects of government ownership ratio,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y and R&D investment on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for some years after privatization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fixed effects panel regressions ans spatial Durbin panel regressions,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rivatiza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corpo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ina for years including the year of privatization and then aggravates it. Its effects are similarly or exactly reflected in their corporate profitability for the same period. Second,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improves corporate profitability for five years. Third, government ownership improves investment efficiency for the non-privatized firms, including both private firms and government firms, but not for privatized firms. Fourth,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y and R&D investments improve their efficiency, but hurt their current-year profitability. Fifth, the effects of privat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overnment ownership last positively for one year for privatized Chinese SOEs while such effects on corporate profitability last only for the year after privatization positively during the year, negatively for 5 year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D investments. Lastly,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privatiz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across region. Within regions, the metropolitan area, the central region, and the northwest region seem to be on the rise in corporate efficiency, while the coastal area is on the decline. Thus, the privatization of Chinese SOEs has been successful in improving their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turns adverse afterwards. The results imply that privatized firms need improvements in the efficienc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D investments activities for long-term improvements in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with spillover effects across regions nearby. 본 연구는 소유권 개혁의 배경을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상장기업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별 투입 산출에 따른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구축하고, 중국 민영화 전후의 상장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의 관점에서 본 연구는 민영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특히, 민영화된 기업의 정부지분율, 기술혁신 역량, R&D 투자가 기업의 효율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시계열적 차이와 기업 및 중국의 성별 즉, 지역간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업 수준 고정효과패널모형과, 성간 파급효과를 진단하는 더빈 패널모형(Spatial Durbin Panel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중국에서 국유기업의 민영화는 민영화 이후 1년 후까지 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다가 2년도부터는 음(-)의 영향으로 돌아선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도 사실상 동일하게 나타난다. 둘째,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은 기업의 수익성에 민영화 이후 최소 5년간 양(+)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부지분율은 민간기업과 국유기업을 포함한 비민영화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민영화 기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기술혁신역량은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성과에는 음(-)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민영화 과정, 기술혁신역량 및 정부지분율은 민영화된 중국 국유기업에 대하여 1년 후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업의 수익성에 대하여 해당년도 양(+)의 영향을 미치며 기술혁신역량 및 R&D 투자에서는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음(-)의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지역간에도 민영화는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으로 진단한 경영성과에 대하여 양(+)의 영향을 미친다. 그중에 수도권, 중부지역과 서북지역은 기업 효율성이 상승하는 반면에 연안 지역은 감소하는 추세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 국유기업의 민영화는 다소 일시적으로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지만, 기술혁신역량 및 R&D 투자도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기술 혁신과 R&D 투자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리신위,정정희,이근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 중에서 교사의 역량인 놀이 전문성과 교수 창의성을 중심으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산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교사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배부되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v.3.3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 교사의 놀이 전문성, 교수 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놀이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었을 때 교사는 교수 활동에서의 창의적 역량을 발현하여 활발하게 유아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가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의 실천에서 교사의 놀이 역량과 창의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creativity’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pertis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45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Daegu and Gyeongsan citi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oftware and Process Macro v.3.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eachers’ play expertise,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expertise exhibite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teaching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play, possess creative competence in teaching with creativity. This affirmation emphasizes their competence in effectively implementing an education process centered around play.

      • KCI등재

        민영화를 위한 중국 국유기업 신규상장이 투자자의 장단기 주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김성환(Sung-Hwan Kim),리신위(Xin-Yu Li),우용샹(Yong-Sang Liu)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2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vatization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SOEs) on their initial returns and long-term performance after initial public offering(IPO).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sed 1,599 Chinese IPO firms, some of which were SOEs.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their effects. Findings - First, the privatization of SOEs does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return of IPO firms. Second, the shareholdings of government prior to IPOs for both privatizing of SOEs and non-privatizing firms and for both exchanges of Shanghai and Shenzhe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return of IPO firms. Third, the privatization of SOE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long-term returns of IPO firms. Fourth, the state-shareholdings prior to IPO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long-term return of IPO firms. Fifth, the state-shareholdings of the privatizing SOEs prior to IPO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ong-term return of IPO firm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results imply that the higher shareholdings and ownership of the Chinese government on SOEs reduce the information asymmetry for the investors of IPO shares or maybe due to inefficiency of SOEs prior to IPOs lead to lower offer prices or higher opening prices leading to severe underpricing and relatively lower stock market returns in the long-run both for the privatizing firms and for the higher state-shareholding firms, while both factors interactively improve their long-term stock market returns.

      • The Role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Talents in China’s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ace for Talent

        양황 ( Huang Yang ),신상범 ( Sangbum Shin ),리신위 ( Xinyu Li ) 한국유라시아학회 2023 세계와 유라시아 Vol.2 No.1

        Using the China Innovation Talent Index indicators as a benchmark for talent innovat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volving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talent in China over the past two years. Using data from the top 50 cities ranked by the China Innovation Talent Index in 2021, we employe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impact of each factor on China's economy. The findings reveal a polarization in the distribution of innovative talent in China during this period, with a substantial concentration of such talent in the southeast and coastal regions.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alent concentration, patent grants, and technology market transaction volumes exert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economic growth of these regions. In contrast, other facets of the innovation drive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Furthermore, our findings indicate the positiv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alent concentration and innovation on economic growth, whereas local government intervention has a detrimental impact. Consequently,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alent concentration, innovation drive, and economic growth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