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문화재로서 증평 남하리사지의 가치와 교육적 활용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8

        문화재의 가치를 찾아 누리고 나누는 것을 문화재 활용이라고 한다. 정부의 지원 사업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민간 참여 등으로 문화재 활용은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그런데, 문화재 활용이 문화재가 가진 본질적 가치에 집중되지 못하는 점이나 소외되는 문화재가 많다는 점 등 한계도 있다. 이 연구는 문화재로서 사지 활용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충북 증평 남하리사지와 소재 문화재를 사례로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재가 가진 가치와 특성을 분석한 후 그에 맞춘 실질적 활용 방안으로 교육적 활용을 제안했다. 남하리사지와 소재 문화재는 지역 문화재로서 고도(古都) 등 중심 지역의 것들과는 다른 그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지역적․시대적 특성이 녹아있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남하리사지 삼층석탑과 마애불상군을 다른 지역, 다른 시대의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공통점과 특성을 찾고, 이를 통해 지역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비교를 통해 지역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방법으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 내용이다. Finding, enjoying, and shar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s calle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becoming more active due to the government's support,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use of cultural heritage is not concentrat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cultural heritage and that there are many cultural heritages that do not receive attention.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e use of the temple site as a cultural heritage and sought ways to use the Namha-ri Temple Site in Jeungpyeong, Chungcheongbuk-do Province, and cultural heritages on the site as examples. After analyzing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I proposed educational use as a practical method of utilization accordingly. The Namha-ri Temple Site and the cultural heritages on the site are local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entral region such as the ancient capital. They contain reg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show cultural divers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nd the rock cliff Buddha statue of Namha-ri Temple Site can b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o find commo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ereby making the learners aware of their significance and value as local cultural heritage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at w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in a way that learners as subjects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local cultural heritage through comparison.

      • KCI등재

        안양 석수동 마애종(마애타종상)의문화재 가치와 보존・관리

        류호철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2 No.22

        The the scene of the bell hitting carved on the rock wall in Seoksu-dong, Anyang, is a valuable cultural property depicting a monk holding a shrine tree and hitting a bell hanging on a bell hanger on a rock wall. The heritage, which is thought to be from the early Goryeo Dynasty, is especially valuable as a cultural property in that it was carved as it was true after seeing the actual bell and the scene of hitting it. The scene of the bell striking is depicted on a rock wall, and it is also a rare heritag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further promot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tatue as a cultural property. From recogniz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ultural property from the local community to establishing a field management system involving local private organizations, strengthening high-tech facilities and emergency response systems, securin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in connection with Jungchosa Temple site in the long run, changing the name from rock-carved bell to the scene of the bell hitting carved on the rock wall, designating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Based on these,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the use of cultural property values to enjoy and share with many people. 안양 석수동 마애타종상은 승려가 당목을 들고 종 걸이에 걸려 있는 종을 치는 장면을 바위벽에 그린 귀중한 문화재이다. 고려 초의 것으로 생각되는 마애타종상은 특히 실제로 있었던 종과 그 종을 치는 모습을 직접 보고 사실대로 새겨 그린 것이라는 점에서 문화재로서 가치가 크다. 종 치는 장면을 바위벽에 그린 것으로 희소성이 높은 유산이기도 하다. 문화재로서 마애타종상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더욱 증진하는 데는 효과적인 보존・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에서부터 이 문화재의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지역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현장 관리체계 확립, 안전을 확보하는 첨단 설비 강화와 비상 대응체계 마련, 장기적으로 중초사지 등과 연계한 역사문화환경 확보 등 지구 단위 보존・관리, ‘마애종’에서 ‘마애타종상’으로 명칭 변경, 국가지정문화재로의 승격 지정 등이 그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반으로 많은 사람들과 더불어 문화재 가치를 누리고 나눌 수 있는 활용도 모색해야 할 일이다.

      • KCI등재

        역사교육 소재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교육적 활용 방향 - 고등학생 대상 문화유산 교육 사례를 통해 -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2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을 두고 논란이 뜨거웠지만, 정작 그 교과서로 공부해야 하는 중·고등학생들은 역사과목에 흥미가 없다. 학생들은 역사를 외워야 하는 재미없는 과목으로 인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진과 동영상, 실제 유적과 유물 등 유형문화재를 활용한 역사강의를 진행한 결과 학생들의 역사교육 인식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역사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주목할 만한 수준으로 높아졌고,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교육을 통해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응답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역사교육 소재로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특성을 분석하고, 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문화유산은 인간의 심적 동일성 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역사의 흐름과 문화적변화, 그리고 그에 담긴 의미 등을 직접 생각하고 추론할 수 있게 해준다. 문화유산이 갖는 이러한 교육적 가치와 특성을 살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역사과목에 흥미를 갖게 되고 나아가 국민의 역사 인식 수준도 높아질 수 있다. There has been a intense controversy over the policy switch from the authorized textbook to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of history. But most high school students who will study national history with the new textbook have little interest in history as a curriculum subject. In general, students think of history as a boring subject they have to memorize. On the other hands, a history lecture making sufficient use of cultural heritage produced a positive result. I gave a history lecture using cultural heritage itself or pictures and moving pictures of cultural heritage to the twenty or more high school students each semester for a year. As a result, I got a substantial change of perception of the history subject through the lecture. Furthermore,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y can enhance their ability to think and creativity with the history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 I analyzed the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s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and sought new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for history education in this study. We can think of many things and infer various knowledge about the flow of history and cultural changes with cultural heritage on the base of psychic unity of mankind. Students take interest in history subject and people improve their perception of history, after we change the ways of history education. We can mak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history and study history more actively by using the education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미지정문화재의 법적 성격과 보존·관리 기반 강화-강원도 인제군의 미지정문화재 현황을 사례로-

        류호철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6

        There ar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or registered by law, and there ar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 or registered. We refer to the latter non-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owever,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registered are likely to be designated/registered in the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it’s more desirable to call th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not yet been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On the other hand,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don’t have their legal status, so the basis for putting public resources to preserve and manage them is not clear. Because of this,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are likely to suffer disasters such as theft or robbery, and many more are stolen than designated/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protection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should be strengthened. The most fundamental way is to give legal status to them. Specifically, we can designate the cultural properties a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or as ‘local cultural heritages’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n addition, local residents should be informed that cultural properties not yet designated are cultural heritages, and the system should be secured to protect heritages by the owners, local government, local civic organizations, and residents with the owner’s spirit. 문화재에는 법률에 따라 지정 또는 등록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지정문화재․등록문화재와 달리, 문화재로서 가치는 있으나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것들을 비지정문화재라고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비지정문화재는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일 뿐, 미래에는 지정 또는 등록될 잠재적 가치를 가진 것들이다. 이런 시각에서 아직 지정․등록되지 않은 문화재는 비지정문화재가 아니라 미지정문화재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미지정문화재는 아직 법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탓에 그것을 보존․관리하는 데 공공자원을 투입할 근거가 분명하지 않다. 이로 인해 미지정문화재는 안전한 보존․관리에 필요한 체제와 자원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지정․등록문화재에 비해 훨씬 많은 것들이 도난당하거나 도굴되는 등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는 재난을 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런 미지정문화재 보존․관리를 강화해야 하는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이것들에도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자료 지정 확대, 시․군․구 조례에 따른 향토문화재로 지정 등이 그 방법이다. 이에 더해 미지정문화재도 문화재임을 지역 주민 등 사회 구성원들이 인식하게 하여 그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문화재를 함께 보존․관리하는 실질적인 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긴요한 일이다.

      • KCI등재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 시간 분석

        류호철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5

        The first operation of alarm system starts at a detector. And the largest effect is depend on the operation of detector related to theinstallation location of fire source and detectors. But in National Fire Safety Code,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detector only specifiesmatters of fire detector installation by area and height, without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location and fire source location.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fire test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location of fire source and detectors(5 places) in order tominimize casualties as a result of the fast operation of fire detector when a fire occurred. Considering that it took the longest time for adetector close to a wall to work in the results of this test,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a minimum clearance to the wall was required. 경보설비의 최초동작은 감지기에서 시작되며, 감지기의 동작은 화원의 위치와 설치위치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감지기 설치 기준은 설치 위치와 화원의 위치는 중시하지 않고, 면적과 높이에 따른 화재감지기 설치에 대한 사항만을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감지기의 빠른 작동으로 인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감지기의 설치 위치와 화원의 위치(5개소)를 고려한 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유류화재를 가정하기 위하여 순도 95% 헵탄을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점화시켜 감지기가 동작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벽면에 근접한 감지기의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가장 많이 요구된 것으로 보아, 벽면으로부터의 최소 이격거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불교 사찰 사적(史蹟) 지정을 통한 문화재로서의 가치 인식 확장과 보존·활용 증진 -영광 불갑사(佛甲寺)를 사례로-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9

        Designating and registering cultural properties serves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ir value based on law. We can effectively preserve the value of a cultural property by designating or registering it as a type of cultural property appropriate to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ly, Buddhist temples with a long history have been designated and registered as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are not many places where the temple area itself has been designated a historic site (史蹟). Designating and registering only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emple bulidings and relics, and not temple areas as a whole raises the concern that thi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For example, Bulgapsa Temple, located in Yeonggwang-gun, was formed in ancient times and was rebuilt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surviving to the present day. However, while it includes 13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e temple area itself has not been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Designating the temple pavilion alone as a cultural property only recognizes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 building, whereas designating the temple area as a historical site would focus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formed and continued within the space. In other words, doing so would recognize that the temple area has sense of place (placeness). Therefore, to actively recognize, preserve, and utili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value of Bulgapsa Temple as a cultural property,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entire area of Bulgapsa Temple, a space where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cultural property. In other word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value of sense of place (placeness) as a cultural property, for cultural properties can also have practical meaning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hen designating and registering them as types that can encompass various values. 문화재를 지정·등록하는 것은 그것이 갖는 가치를 법률에 근거해 보존·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 문화재의 특성에 적합한 문화재 유형으로 지정 또는 등록할 때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긴 역사를 이어온 불교 사찰들은 전각이나 유물들만 개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어 있을 뿐 사찰 영역이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 많지 않아서 아쉬움이 크다. 사찰에 있는 전각과 유물 등 개별 문화재만 지정·등록하고 사찰 영역은 지정하지 않는 것은 문화재로서 사찰이 갖는 가치의 일부에만 주목하는 것으로,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에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예컨대 영광 불갑사는 고대에 형성되어 지금까지 역사를 이어가고 있는 사찰이다. 그런데 지정·등록 문화재가 13건에 이르지만 사찰 영역 자체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사찰 전각만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은 그것이 갖는 건축물로서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만 인정하는 것인 데 비해, 사찰 영역을 사적으로 지정하는 것은 그 장소 안에서 형성되고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 전체에 주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찰 영역은 장소성을 갖는 문화재이다. 따라서 문화재로서 불갑사가 갖는 역사적·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가 형성되어 이어져 온 공간인 불갑사 영역을 문화재, 즉 사적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재로서의 장소성이 갖는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는 말이다. 문화재는 다양한 가치를 포괄할 수 있는 유형으로 지정·등록할 때 보존과 활용도 실질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 확장과 등록문화재 제도 개선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산물로 보존하고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을 문화 재라고 한다.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를 도 입해서 운영해왔다. 법적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다. 그런데 문화재 관리와 보호를 적극화하면서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다. 근현대 시기에 형성된 것들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현재의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는 적어도 50년 이상 된 것들로 그 대상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한계 를 보완하기 위해 예비문화재 제도 도입을 검토해왔고, 서울특별시 등에서는 미래 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예비문화재 제도나 미래유산 제도는 그것을 문화재로 지정하거나 등록하는 것이 아니어서 강제력을 가질 수 없다. 사실상 목 록화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현대 문화재까지 포괄하도록 등록문화재 제도를 확대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선결 조건이 있는데, 이로 인해 재산권을 침해 하지 않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재원이 문화재보호기금이다. 이러한 제도 보완을 통해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넓히고 관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t is said that cultural heritages are worth preserving and utilizing as products that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past. In order to protect valuable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Such systems are intended to clarify what needs to be legally protected. Modern or contemporary heritages are typical examples of this.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By actively managing and protecting cultural properties, it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target cultural properties. Although it has attempted to protect the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times, the current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s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introducing a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veral local governments are operating a future heritage system. However, the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future heritage system do not designate or register it as cultural property. It is a system that expects the owners of cultural assets to preserve and manage autonomousl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y cannot take compulsory measures necessary to protect cultural assets. In fact, it can be called cataloging,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shall be expanded to cove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There is a prerequisite for this, which prevents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Fund may be utilized here. These system supplement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문화재 활용과 가치 증진 관점에서 서산 보원사지(普願寺址)의 특성과 활용 방안

        류호철,장용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0

        By revealing the inherent value of cultural heritage, we can enjoy it in various ways or use it as a basis for creating new valu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refers to further enhanc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in this way. Cultural heritage is a treasure hut that contains cultural diversity, and its characteristics vary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type, area, age, geographical condition, and preservation status. Therefore, we should utilize cultural heritage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containing Bowonsa Temple Site(Historic Site) and several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I explored ways to utilize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area. We can utilize cultural heritage most effectively and sustainably by reviving the culture that includes the cultural heritage and letting it recover its function as a living culture. The temple site and related cultural heritages have conditions suitable for realizing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at revitalize the culture in terms of historical, cultural valu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district-unit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ay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creating ‘historical and cultural village’.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that I seek new way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uch as area-based utilization, district unit utilization, utilization with reviving culture surrounding the heritage. 문화재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를 드러내어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누리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바탕으로 이용함으로써 문화재의 가치를 더욱 증진하는 모든 행위를 문화재 활용이라고 한다. 문화재는 문화적 다양성을 담고 있는 보고(寶庫)로, 그 유형과 지역, 시대, 지리적 조건, 보존 상태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그 특성이 제각각이다. 따라서 문화재 활용은 이러한 문화재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서산마애삼존불(국보)과 보원사지(사적), 보원사지 문화재(보물 5건) 등 국가지정문화재 7건이 함께 있는 보원사지 구간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 관점에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문화재 활용은 그 문화재를 포함하는 문화를 되살려 그것이 살아있는 문화로 제 기능을 회복하게 할 때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보원사지와 관련 문화재들은 역사적․문화적 가치와 입지적 특성 등에 비추어 문화를 되살리는 문화재 활용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역사문화마을 가꾸기’를 통한 지구단위 문화재 보존․활용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개별 문화재 활용을 넘어선 면적(面的) 활용과 지구단위 활용, 문화재를 과거의 산물로만 두는 한계를 넘어 문화를 되살리는 활용 등 새로운 보존․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