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의 사회적 문제해결 행동 목적과 전략에 관한 연구

        류칠선(Chill Sun Ryu) 한국아동학회 1994 兒童學會誌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oal and strategy differences in the Social Problem Solving (SPS) according to ages and interaction target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8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4 and 5 years. Their SPS behavior was observed as it occurred naturally in free play interactions. The data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repeated measures, an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oal and strategy differences in SPS behavior according to age and interaction targets of children.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류칠선(Chill Sun, R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행복을 이해하고 구조적 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행복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여 유아교육의 질적수준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41명을 무선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자신이 하는 일의 세계에서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자아 실현형, 행복은 지금 자신 안에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든 일에 기뻐하 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내적 만족형, 가족이나 좋아하는 사람 뿐 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사회 관계형, 다른 사람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생활하는 것과 자유롭게 행동하며, 가족이나 친밀한 사람과 함께 지내는 개인중심의 신념과 태도를 강조하는 개인 신념 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types of happiness that kindergarten teachers feel and the features of each happiness type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D city. They were chosen randomly. The Q-methodology, which allows in-depth measurements of people's subjective perception of happiness, was employed. The results and further analysis revealed 4 structural types of happiness: 1) self-realization type, who feels happiness while setting goals and achieving them; 2) inner satisfaction type, who thinks that happiness can be found in the current status; 3) social relationship type, who emphasizes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4) personal belief type, who emphasizes living life in one's own style without being bothered by others.

      • KCI등재

        유아의 인성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반응 분석

        류칠선(Ryu, Chill-sun),조인경(Cho, Inky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인성교육 과정에서 어떠한 반응이 나타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D시의 H유치원 만 5세 54명이다. 유아들에게 총 20주 동안 인성 교육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2명의 교사가 유아들의 인성 행동에 대한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저널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성 교육을 실시한 초기, 유아들의 생각과 행동은 일치하지 않았으나, 인성 교육에 대한 다양한 활동과 바른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를 실시한 후 유아들은 바른 행동을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유아들은 교사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우고, 지속적으로 지도가 계속되자 유아들은 실생활에 적용하며 바람직한 행동을 보였다. 후기에는 교사가 없을 때도 바람직한 인성행동을 스스로 지키며 만족하는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search children"s reaction in the course of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process. The subjects was 54 5-year-old at H kindergarten in D city. Two teachers wrote a journal for children"s personality behavior during 20 weeks personality education. Journal was analyzed and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At the begin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there was a disparity between what children said and what children did. However children showed to try hard from the heart after the introduction of various activities with regard to personality education and detail examples of good behaviors. In addition, children showed good behaviors in real life after continuous education. At late stage of this study, children showed good behaviors and were satisfied by themselves during teacher"s absence.

      • 유아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언어교육활동 현장적용

        류칠선(Ryu, Chill-Sun),이연규(Lee, Yeon-Gyu),박혜정(Park, Hye Jung)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9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총체적 언어교육활동을 유치원 현장에 적용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만 3, 4, 5세 혼합연령 유아 32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유아의 언어활동을 녹화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언어활동은 실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달해가며, 분리된 낱글자가 아니라 의미를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사용되며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음성언어뿐 아니라 문자언어도 함께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언어발달은 언어영역간의 통합을 통해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동시에 이루어졌고, 교과간의 통합은 언어영역과 사회, 과학, 미술의 교과와 관련된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발달이 이루어져 의미 있는 언어사용을 자극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유아의 통합적 발달을 도모하였다. This research applied the activities for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at the preschool settings and analyzed the processes and results. Thirty two of 3, 4, 5 year-old children from mixed age classrooms were included in the seven-week study as subjects. Children's language activities were videotap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z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ere attained in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evolving activities for the integration among language areas. Th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language-social science, language-natural science, and language-fine arts enhanc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n natural ways and promoted children's meaningful use of language.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영아의 발달특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류칠선(Ryu, Chill-Sun),최선녀(Choi, Seon-Nyeo),최유경(Choi, Yu-Ky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영아의 발달특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2010년 3차년도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대상자인 24개월 이상 31개월 이하 영아 1,802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모형으로 통계처리하였는데 모델의 적합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기질과 발달특성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영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부적 직접효과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에도 부적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발달특성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긍정적 직접효과를 나타냈고, 매개변인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효과도 긍정적이었다. This study is to the effects of mother"s attitude by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development and mother"s self-esteem.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the mother of his 1,802 people of infants 31 months or less 24 months or more is a three-year Korean children"s panel data subject in 2010 of childcare Policy Institut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o structure model, goodness-of-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Infants development and infants" temperament was found to influence the attitude rearing mother by the mother"s self-esteem. If you take a closer look at the results, direct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was negative then it was negative even when you have to mediate the self-esteem of the mother. In addition, a direc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on the mother nurturing attitude is positive, effect through the self-esteem of the mother is a parameter change factor was also positive.

      • KCI우수등재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연구

        류칠선(Chill Sun Ryu),오영희(Young Hee Oh)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ofile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133 teachers, 116 kindergarten principals, 103 mothers, 98 professionals in preschool education, and 132 student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May - August, 1998. The results showed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 (1) kindergarten teachers, principals, and professionals in preschool education, rated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haracter traits ; (2) mothers rated occupational prid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specialized functions as more important than character traits and (3) student teachers rated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specialized function, occupational pride and character traits.

      • KCI등재

        유치원 교사들의 집단 반영적 자기성찰 증진을 위한 재교육자의 역할수행 연구

        류칠선(Ryu Chill Sun),지옥정(Ji Oak Jung),윤선영(Yoon Sun 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의 집단반영적 자기성찰 증진을 위한 재교육자의 역할수행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 C. N 지역에 있는 24명의 유치원 교사였다. 연구방법은 집단작업을 통한 질적 방법으로서 참여연구, 실천연구 사례연구, 주제를 통한 상호작용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Lamnek(1995). Glaser&Strauss(1979)의 의역하여 범주화하기(paraphrasing)와 해석 Bogdan & Biklen(1991)의 단계별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Lamnek(1995), Glaser & Strauss(1979)의 의역하여 범주화하기(paraphrasing)와 해석. Bogdan & Biklen(1991)의 단계별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재교육자의 역할은 재교육이 이루어지는 매 회 작업과정에서의 주제 재안 및 구성자, 사회자, 상담자, 신뢰롭고 편안한 분위기 조성자, 사고확장자, 자료소개자, 토론정리 요약발표자, 공동평가자, 개인의 교육관 형성자극자이었으며, 이러한 역할수행은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성찰 능력 및 집단학습 능력이 증진됨에 따라 질적 변화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ole taking of the in-service educator to increase the group self-reflec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D, C, and N areas. The research methods were participatory research approach, action research, case study, and theme central interac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materials were done by the qualitative method based on paraphrase and interpretation of Lamnek(l995), Glaser & Strauss(1979) and the stage analysis method of Bogdan & Biklen(l99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les of in-service educator were analyzed theme proposer and composer, monitor, counselor, trust and comfortable atmosphere creator, thinking expansioner, reference introducer, disscussion presider and summary presentator, co-evaluator, and individual education view cultivative stimulator. The role taking was qualitative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in the abilities of self reflection and group lear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 행동에 대한 연구

        류칠선(Ryu, Chill-Sun),최유경(Choi, Yu-Ky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연령에 따라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D시의 D유치원 만 3, 4, 5세 유아 각각 20명이다. 유아들에게 총 10주 동안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의 사회적 문제해결 행동참여관찰 및 녹화기록과 일화 기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의 목적은 연령에 따라 방해하기를 제외한 끼어들기, 독차지하기 등에서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다. 문제해결 행동 전략을 분석한 결과 0수준과 2수준 전략사용은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수준 전략 사용에서 유의미하게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문제해결 행동을 할 때 유아의 연령과 상호작용 대상은 3, 4, 5세 모두에서 동성?이성?교사?복합 순으로 나타나 유아들은 동성 친구간의 상호작용을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oblem Solving(SPS) according to age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3,4,5-year -old children from D kindergarten of D city, 20, 20, 20 children respectively. For 10 weeks, subjects’ SPS behaviors were observed and daily episodes were recorded at free-chosen activity classes, and observed behaviors and records were further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urposes of SP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ages in “interception”, “monopolization”, etc except in “interruption”. Analysis of SPS strategies revealed that Level 0 and Level 2 strategies have no statistically relevant differences among ages, but that Level 1 strategies have statistically relevant differences among ages. Children’s SPS behavior subjects were “same gender classmates” - “opposite gender classmates” - “teacher” - “complex” in order of preference, showing that children prefer interaction with same gender classmates the most.

      • KCI우수등재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 척도 개발

        류칠선(Chill Sun Ryu) 한국아동학회 1998 兒童學會誌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of the profile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87 kindergarte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7.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Coefficient Alpha. Factors were extracted in the order of: characteristic traits, professional knowledge, specialized function, knowledge of liberal arts, cognizance of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 Cronbach Coefficient Alpha of the selected 30- item assessment scale was .906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