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과 영아기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Choi, Seon-Ny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 영아기질, 양육행동이이 영야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어머니이다.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16.0을 통하여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긍정적 심리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머니 양육행동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의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영아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t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elf-estee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infant temperament, parenting look at how the variables affect the infant development. Study is an infant born in 2008, 1802 mothers name. Child Policy Research Institute Korea Children's Panel 3rd year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is of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correlation evalu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path and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infant development through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mothers had a positive impact due to the influence of positive parenting Infant Development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mother and mediating role of parenting behavior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th to infant development. Second,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mother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o the Infant Development wer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parenting mothers on infant development. Third, the direct effects on the mother parenting infant develop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 KCI등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Choi, Seon-Nyeo),문영경(Moon, Young-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며, 성별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의 훈육방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경우 여아보다 아버지 훈육방식 중 강압적 처벌과 방임,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는 남아보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 자존감 상함, 아버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아버지의 논리적 설명 훈육방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아버지의 강압적 처벌 훈육방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는 불안/좌절감 경험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불안/좌절감 경험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자녀 양육실제에서 효과적인 훈육전략을 실행하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을 줄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ir parents" discipline styl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ir genders. 360 preschoolers (aged 3-5, in city "D")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SS 18.0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s on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genders, shown i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arents" discipline style,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lso, Stepwis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ir parents" discipline style based on children"s genders. Boys showed higher figure than girls in coercive punishment and neglecting in father’s discipline style and i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 the other hand, girls have higher figure in pride-hurt stress in Child Daily Stress and logical explanation in father’s discipline style. Secondly, Boy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ave effects, the highest to the lowest in the order, from father’s logical explanation, anxious/distressful stress, pride-hurt stress, father’s coercive punishment. On the other h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o the highest to the lowest, from father’s coercive punishment, anxious/distressful stress, father’s logical explanation. Girl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ave higher effects, in the order, from anxious/distressful stress and father’s coercive punishment.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ave effects, the highest to the lowest in the order, from anxious/ distressful stress, mother’s coercive punishment and father’s coercive punishment. On the conclus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conduct effective discipline strategies in the basis on children"s genders and decrease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 KCI등재

        청소년 자서전 창작 지도 방안 및 사례 분석 -미래 자서전 쓰기를 중심으로-

        최선녀 ( Sun Nyu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1인 출판사의 창업이 늘어가고 있는 지금 자서전을 쓰고자 하는 계층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자서전은 인생에 대한, 인생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서전 쓰기교육은 질풍노도를 거치며 참자아를 찾아가는 청소년 시기에 인성 교육과 문학교육을 통한 자아정체성 확립 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자서전 쓰기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파이너가 제시한 후향, 전향, 분석, 종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현재를 진단하며 미래를 설계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서전에 대한 이해와 함께 청소년에게 있어 미래 자서전 쓰기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 모델을 제시한다. 이때 책 만들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사 표현 방식의 다양화를 유도하며 경험을 통한 자신과의 소통, 타자와의 소통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그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는 이러하다. 기본적으로 자서전의 원리이기도 한 자아회상의 원리, 선택의 원리, 자기 진실성의 원리, 경험자아와 서술자아의 거리두기의 원리, 자아성 찰을 통한 의미발견의 원리, 관계성의 원리, 통일성의 원리 등이 나타난다. 학생들은 시간 의 흐름에 있어서는 주로 과거-현재-미래가 모두 나타나는 유형을 선호하고, 화제에 따른 서술보다는 진실성을 우선시하여 연대기적 서술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사건의 상 당 부분은 성적, 친구, 이성문제가 차지를 하며, 미래에 대한 설계는 막연한 경향이 있고, 죽음으로 성급하게 결말을 맺는 경우도 있어 1, 2차시에서 창작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 중요하다. 기타 자서전 쓰기는 자기 또는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삶의 이해, 경험을 통한 미래 설계, 다양한 서사표현, 글쓰기 흥미 상승, 자신감 상승의 효과 등이 있다. As self-publishing is increasing, people who want to write their own autobiography also increase. An autobiography is about and for a life. Education of writing autobiography is important to establish self identity through humanity and literature education in adolescent age, passing through the storm and stress and looking a true self. Writing autobiography, based on one``s own experiences, makes people passe through the regressive, the progressive, the analytical, and the synthetical steps suggested by W. Pinar, reflect their lives, diagnose the present and design the future. This study figures out understanding on autobiography and necessity of education of future autobiographical writing for adolescents and suggests a model for the class. Then, in order to make books, diversification of methods to express narratives will be induced and education will be made to build self identity through communications with the self and the other by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Basically, principles of selfreflection, choice, self integrity, distancing experienced and narrative selves, discovering meaning through self reflection, relationship and unity. Students preferred types to show all tenses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for time, focused on truths rather than narrating according to topics and chose chronicle narratives. Considerable amounts of events included sexual, friendship and love-relationships, and for designing future, it tended to be vague or the ending was completed as hasty death. Therefore, during first and second steps, it is important to make an autobiographical writing plan. And for other effects of writing autobiography, there are understanding of lives through communications with the self or the other, designing future through experiences, various expressions of narratives, advocating interest in writing and improving self-esteem.

      • KCI등재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지도방안과 효과

        최선녀 ( Sun Nyu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본 연구는 교육청 책쓰기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협동글쓰기의 방법으로 「따로 또 같이」라는 책을 출판했던 학생 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의 제 1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지도방안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2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도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지도 단계를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와 효과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과 학부모의 설문과 교사의 관찰일지, 학부모의 관찰일지, 편집 후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 4장은 협동글쓰기를 통한 책 만들기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제 5장에서는 논의를 요약하며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student writers who published the book namely "Alone Together" by using the collaborative writing as the participants in the Book Writing Project by Daegu Education Office aiming at producing 100 thousand student writers. The 1st chapter of this study includes the necessity and research way of guidance plans in book writing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The 2nd chapter includes way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of collaborative writing based -book making and designing of guidance models, all of which were based for the suggestion of the guidance steps. The 3rd chapter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and effect and discussion over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book writing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change through the questionnaires for the participants students and their parents, teachers and school parents` daily records on their observations and editors` comments. The chapter 4 includes the discussion over its improvement ways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book writing and the discussion was summed up and came to the finish in the 5th chapter.

      • KCI등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선녀(Choi, Seon-nyeo),최항준(Choi, Han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취업모의 양육태도는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6세 유아와 그들을 자녀로 둔 160명의 취업모였다.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일상적 스트레스와 취업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공격성, 주의집중,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과 주의집중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논리적 양육태도, 불안/좌절감 경험·자존감 상함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아의 문제행동 중 공격성은 취업모의 강압적 양육태도와, 주의집중은 불안/좌절감 경험스트레스, 강압적·논리적 양육태도와, 불안/우울은 비난/공격적 상황 스트레스, 강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간의 취업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남아의 경우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고, 여아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강압적이거나 방임적인 양육태도보다는 상호보완적인 논리적 양육태도를 증진시켜 자녀가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스트레스를 낮추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daily stress and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160 children (aged 3-6, in city "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daily stress, their problem behavior and the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case of the boys, their aggression and attention have effects on their coercive attitude, and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have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logical attitude, blaming / offensive stress and pride-hurt stress in that order. Secondly, in the case of the girls, their aggression has effects on their coercive attitude, and their attention has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anxiety / frustration stress and coercive·logical attitude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their anxiety / depression have effects of decreasing magnitude on their accused/offensive stress and coercive attitude in that order. Third, the employed mothers" nurturing attitude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ir problem behavior. However, no such mediating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the boys. Therefore, the mothers tend to foster complementary and logical parenting, rather than coercive or negligent parenting. It is thought that children need to reduce their stress level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reduce their problems.

      • 어머니 심리적 특성, 양육행동, 영아기질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변인 탐색

        최선녀(Seon-Nyeo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영아기질이 영야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어머니이다. 연구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16.0을 통하여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와 각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긍정적 심리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어머니 양육행동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쳐 영아발달의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고,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영아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영아발달로 가는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t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elf-estee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infant temperament look at how the variables affect the youngya development. Study is an infant born in 2008, 1802 mothers name. Child Policy Research Institute Korea Children's Panel 3rd year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is of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correlation evalu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path and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infant development through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mothers had a positive impact due to the influence of positive parenting Infant Development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mother and mediating role of parenting behavior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th to infant development. Second,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mother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to the Infant Development wer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parenting mothers on infant development. Third, the direct effects on the mother parenting infant develop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 KCI등재

        초등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적 동시 쓰기 지도 방안 -빙고 놀이를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하여-

        최선녀 ( Sun Nyu Choi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현재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에서 창의력 신장을 교육의 주요 지표로 삼고, 이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으로 설정하여 교육의 목표가 창의력 신장에 있음을 표명하고 있다. 또한 초등학교 시기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창의력 계발의 최적기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창의적 사고’는 교육이나 훈련에 의해 증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일상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발휘될 수 있으며, 삶의 문제와 관련한 문제 해결 경험이 창의적 사고 증진에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하는 창의적 동시 쓰기 활동은 창의력 계발의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창의적 동시 쓰기’는 일상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동시 쓰기로써 학습자는 동시 쓰기를 통해 새로운 내용을 발견하고 구조화 시키며, 글을 쓰면서 새로운 생각을 확장하고 창출하는 동시에 생각과 감정 및 경험을 체계적으로 조직, 창조하는 복잡한 사고 행위 및 문제 해결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실제 창작의 주체가 될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해 낮은 흥미도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학습의 흥미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빙고(bingo) 놀이를 통한 창의적 동시 쓰기’를 제안한다. 이는 빙고 놀이를 준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빙고 놀이 후 그 결과 속에서 아이디어를 구조화하여, 글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시 쓰기 방법이다. 이 과정 속에서 창의성의 필수요소인 수렴적인 사고와 확산적 사고를 유도하여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이란 특성을 갖고 있는 창의성 계발을 도모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빙고 놀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창의적 동시 쓰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Recently,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make a main point for increasing creativity, focus on it. Korea also makes 7th education course set a direction for "Bring up creative and self-regulating Korean who will take the lead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21 century". This indicates that the goal of education is to increase the creativity. And the idea that elementary time has infinite potential is dominant. ``Creative thinking`` can be improved by train or education and can be demonstrated in the time when people try to solve routine problems. And experience that relate to solving routine problems is useful for creative thinking. So creative writing based on own experience can be a useful method for developing creativity. ``Writing creative children`s poem`` can improve creative thinking by solving routine problems and learners who find new contents ,organize it, extend and create new thinking, and systematically organize thought, emotions, and experience need complex thinking and process of solving problems. But in fact students who is the main agent of writing show low interest. So this research suggests ``writing creative children`s poem by playing Bingo game`` for developing children`s creativity and improving study interest. This method is that children create idea by preparing Bingo game and after Bingo game, they organize ideas, and express through writing. In this process, convergent thought and divergent thought that are essential for creativity can be induced and this research aim to develop creativity that has fluent, unique, flexible and exquisit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research, I want to find a way for writing creative children`s poem that can be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유아기질, 교사변인에 대한 연구

        최선녀(Choi, Seon-Nyeo),오세경(Oh, Se-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7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집단에 따른 유아기질, 교사변인의 차이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기질 중 사회성이 상위․중위집단에서 차이가 있었고, 교사변인은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 순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 또한 유아기질 중 활동성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하위집단, 중위집단, 상위집단 순서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교실환경은 하위집단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교실환경과 사회성 기질, 교사-유아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나타냈고,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활동성 기질, 교실환경, 정서성 기질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기질과 교사변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교실환경의 구성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교수자료의 비치로 유아와 질 높은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교수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infant temperament and teacher variables and its effects on the infant’s pe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infant’s group of peer intera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positive peer interaction differed among the groups. Among the infant’s temperament, sociality was significant in the higher and middle groups, and teacher variables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lower, middle, and higher groups. Negative peer interaction also showed a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ctivity was significant among the infant’s temperamen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lower, middle, and higher groups.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significant in the lower group. Second, positive peer interactions were influenced most by classroom environment, followed by the temperament of soci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were influenced most by teacher-infant interactions, followed by the temperament of activity,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temperament of emotionality. In conclusion, we analogized that an infant’s peer interaction does differ according to the infant’s temperament and teacher’s variables.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hen creating a classroom environment and prepa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positive interactions in order to enhance teaching efficacy so that they can interact better with infant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항준(Choi, Hang-Jun),최선녀(Choi, Seon-Nyeo),임현주(Lim, Hyun-J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 238명과 영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담임교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Amos에 의해 통계처리 되었는데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다소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긍정적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영향력이 크지는 않았지만 긍정적이었다. 또한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이 어머니의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으로 가는 경로에서 직접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This study surveyed 238 infants, infants" mothers and fathers and their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good. The finding showed that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o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somewhat affected. The direct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positive and the effect of it became some positive with the medic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lso the direct effect of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n infant"s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 was positive and the effects of it became negative wit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The effect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시기 학교 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

        이정아(Lee, Jung-A),최선녀(Choi, Seon-Nyeo),문영경(Moon, Young-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 학교 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를 밝히는데 있어서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W1, 만 0세 시기)~8차년도(W8, 만 7세 시기) 자료의 2150명을 대상으로 SPSS 21.0(IBM Co)과 AMOS 21.0(IBM C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를 알아보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는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을 완전매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머니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와 만 6세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을 낮추고 만 7세 시기 아동의 학교 적응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정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며,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만 7세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돕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d the longitudinal developmental path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effects of preschooler"s external problem behaviors at age 6 and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Korea Children"s Panel 1st year (W1, 0 years old)~8th year (W8, 7 years ol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IBM Co) and AMOS 21.0 (IBM Co) program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among the study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interpreted through bootstrapping. Firs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years showe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hird, the cumulativ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didn"t not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cumulativ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ffect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mediating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 yea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reduce the mother"s accumulated parenting stress and chil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o prepare social policies, and to help children adjust to school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