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소득계층별 안녕감 증진 효과

        류지아(Ryu, Ji-A) 한국인구학회 2017 한국인구학 Vol.40 No.1

        본 연구는 의료기관 접근성이 개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득계층별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의료기관의 성격에 따른 접근성 차이가 소득계층별 안녕감의 증진에 차이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주목한다.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서베이(2014)와 서울통계(2014)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공공의료기관으로는 서울시 자치구별 보건(지)소의 수를, 민간의료기관으로는 자치구나 병의원 수를 활용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주요 지역변수들과 개인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후 분석한 결과, 자치구내 보건(지)소수는 최저소득층인 월가구소득 150만원 미만에 비해 모든 상위계층에서 유의미한 부적 차이를 보였으며 예측값으로 그려본 그래프에서는 최저소득층의 경우에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반면, 민간의료기관의 경우에는 최저소득층에 비해 모든 상위계층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그림으로 살펴본 결과, 모든 상위계층이 민간의료시설이 증가할수록 안녕감이 증진됨에 비해 최저소득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소득계층별로 접근하는 의료기관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계층별 차이는 안녕감 증진에 기여하는 의료기관 종류의 차이를 낳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소득계층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approach to medical institutions o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income classe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income classes. This study analyzed Seoul Survey(2014) and Seoul Statistics(2014) by using HLM. Each of the number of public health-centers and civilian hospitals within local units were employed. As local and individualvariables were held, the effect of public health centers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each of income classes comparing to the lowest income class. The lowest group only shows the positivity when the number of public health-centers increase in the graph. However, the impact of civilian medial facilities affect the positive effect to most of income classes comparing to the lowest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subjective well-being is increased by the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according to income classes.

      • KCI등재

        행복에 대한 소득의 상대적 효과

        류지아(Ji A Ryu)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1

        본 연구는 행복에 대한 소득의 상대적 효과를 위계선형모형의 수준간 상호작용항(cross-level interaction term)을 사용해 분석한다. 행복에 대한 소득의 상대성 연구들은 준거집단소득의 직접효과나 개인소득과 준거집단의 차이를 통해 모형화되었다. 그렇지만 이 모형들은 지역평균소득의 이중적인 해석을 놓치거나 개인이나 지역의 객관적인 소득수준을 무력화시키는 등의 단점을 갖는다. 다층모형의 수준간 상호작용항은 개인소득과 지역평균소득의 객관적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이들의 관계에 의한 행복 효과를 분석하게 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준간 상호작용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효과를 보여, 지역평균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에 대한 소득효과는 감소하여 행복에 대한 소득의 효과가 사회적인 영향을 받는 효과, 즉, 상대적 효과가 존재함을 보였다. 개인의 소득을 계층화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소득4, 5분위계층(월가구소득 450만 원 이상 750만 원 미만)에서 소득의 상대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한국사회의 소득분포 구조 내에서 이들이 치열하게 지위상승을 추구하는 계층임을 알 수 있었다. 최저소득층은 상대효과가 보이지 않았으며, 연소득 1억 원 이상의 최상위계층에서는 상대효과보다 절대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사회비교보다 경제적 자원의 효과를 더 누리는 계층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ve income effects on happiness using cross-level interaction term of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Studies about relativity of income on happiness have been modeled with the direct independent effect of local mean income or with the difference between household and local mean income. There are weaknesses in both models. The direct effect of local mean income has double meanings and the difference between household and local mean income nullifies objective income levels. The cross-level interaction term of HLM lets us maintain the level of objective household and local mean income and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n happiness their rel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cross-level interact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Therefore, it has shown if local mean income rises, income effects of respondents on happiness go down. After categorized, the fourth and the fifth have shown the strongest relative effects. It is possible that the fourth, in particular, is the most ambitious class pursuing higher social status in South Korea. The first, the lowest class, shows no relative effect. The seventh, the highest class, has more absolute income effect than relative one.

      • KCI등재

        소득이 많을수록 더 행복할까

        류지아(Ji-A Ryu)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2

        경제발전정도와 행복의 관계는 경제발전과 국민행복이 정의 관계에 있다는 욕구이론과 기본조건만 만족되면 다른 조건이 더 영향을 준다는 생존이론의 두 가지 이론적 입장이 존재한다. 두 이론은 공통적으로 소득과 행복의 정적인 관계를 가정하지만 특정 수준 이상에 대해서는 입장차를 보인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개인단위에서 경제적 자원의 행복증진효과에 포화점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2이며,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계층이 상승하면 행복감도 상승하여 고소득층이 가장 행복한 구조였지만 3분위 이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통제변수들을 투입한 후에는 고소득층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더 행복했다. 게다가 소득2분위계층이 1분위와 3분위계층보다 더 행복이 낮게 예측되어, 최저점이 존재하는 형태였다. 결론적으로 포화점은 존재하지 않았고, 생존이론은 지지되지 않았으며 최저점의 존재로 인해 욕구이론 역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다양한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는 경제적 자원이 많을수록 더 행복해지며 부유할수록 소득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are two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on relations between economic developments and happiness. Survival theory argues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disappear once basic needs are fulfilled. Need theory says more economic resources create novel desires. It is reasonable that the more money we have, the happier we are. This thesis analyzes if there is evidence of satiation of household income effects on happiness in South Korea. KGSS 2012 has been used. Analysis methods a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People are happier if income level rises but there are no significance in higher classes than the third on ANOVA. Income effects, however, are the strongest in the highest on multiple regression. There does not seem to find a satiation point. There seems to be the lowest point on the contrary. With diverse analyses, I confirm that income effects on happiness is much stronger for the wealthy in South Korea.

      • KCI등재

        지역보건의료기관 분포가 서울시 고령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류지아(Ji-A Ryu)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본 연구는 지역내 보건의료기관 분포가 서울시 고령자들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관 성격에 따라 병의원과 지역보건소로 나누어 기관분포의 직접효과 및 개인 경제력의 조절효과를 다층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2018 서울시 노인실태조사와서울통계2018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자치구내 병의원뿐만 아니라 지역보건소 분포 역시 증가할수록 서울시 고령자들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안녕감이 증가되었다. 그렇지만 병의원 분포의 영향은 고령자의 경제수준에 따라 상이하였는데, 병의원 분포가 갖는 지역효과는 서울시 고령자의 경제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역병의원 분포의 영향은 경제수준이 낮은 고령자에게더욱 정신적인 효용을 발생시킨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민간병의원 분포효과는 경제력으로 인한 안녕감 격차를 줄이는 데에 부분적으로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치구내 지역보건소 분포는 고령자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뿐만아니라 경제적으로 부유한 고령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유의미한 안녕감 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이것은 지역보건소가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만 유용한 지역기반시설이라는 편견에 도전하는 결과이다. 이 연구는 어떤 성격의 지역보건의료기관이든 지역내 보건의료기관이다수 분포하면 모든 계층의 서울시 노인들의 안녕감에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밝혔고, 특히, 경제적으로 취약한 고령층의 안녕감 증진에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고령자들에게도 지역보건소 분포가 동일하게 안녕감 증진에 긍정적이라는점도 보여 대도시의 고령자에 대한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distribution of local health institutions on the elderly's wellbeing in Seoul dividing into private and public centers.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 effect of the distribu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economic status using a multi-level model. Data from the 2018 Seoul Elderly Survey and Seoul Statistics 2018 were used. Not only distribu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but local clinics increased, elderly's wellbeing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ion of clinic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The local effect of clinics and hospitals appears to decrease as the economic status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the hospitals and clinics generates more psychological utility with low economic status. Therefore, the distribution effect of private hospitals can partially contribute to narrowing the well-being gap due to economic statu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public centers did not differ. It is challenging for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local public health centers are useful only to economically vulnerable people. This study revealed that, regardless of the type, a considerable number of health institutions is positive to the elderly, and it can be more beneficial to the economically vulnerable. Also, many public centers are positive to the wealthy, too. This study makes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in metropolitan cities.

      • KCI등재

        서울시 고령자의 지역 의료환경욕구에 대한 지역의료자원의 영향

        류지아(Ji-A RYU)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6

        본 연구는 서울시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지역 의료환경욕구에 대한 지역의료자원의 영향을 대표적인 의료자원인 자치구내총의료기관수, 총의사수, 총병상수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은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1수준 분석자료는 2018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를, 2수준 분석자료는 서울통계 2018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자들의지역의료욕구는 자치구 내 총의사수와 총병상수가 증가할수록 지역 의료환경욕구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지역내 의료기관의 수보다는총의사수와 총병상수의 영향이 결정적이었다. 이를 토대로, 고령자들의 지역 의료환경욕구에 영향을 주는 지역의료자원은 병원급 이상의의료자원임을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초고령사회를 준비하는 대한민국에서 고령친화적 사회생태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고령자들의 상급의료기관에 대한 의료욕구가 검토되어야함을 보여준다 Focusing on the elderly living in Seoul,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local medical resources on the needs for community medical environment based on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total number of doctors, total number of beds in the district as a representative of local medical resource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2018 Seoul Elderly Survey was used for the data of the level one and Seoul Statistics 2018 were used for the data of the level 2. As a result, as the total number of doctors and beds increase, the elderly's needs for community medical environment significantly decreased. It exhibits that the total number of doctors and beds are critical rather than the total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distri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hospitals that affect the needs for community medic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n order to provide the pro-aging social ecological syst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lderly's needs for community medical environment for the higher medical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the super aging society

      • 申采浩의 민중혁명론과 역사인식

        류지아(Ryu Ji-A) 효원사학회 2009 역사와 세계 Vol.- No.35

        From 1910s, Danjae became to recognize the limitation of nationalism starting to admit the theory of the social reform and the world reform. He was given the effect of Anarchism as anti-authoritarianism for Josun which was not the strong but the weak. Beginning to accept Anarchism regularly, He didn‘t pursue independence by the power any more. Instead of that, he was unjust another nation's rule to our nation and aimed at coexisting with others. He advocated the peace of human races beyond its nationality. From this, without a mention of a nation, he emphasized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authoritarianism which meaned 'the people liberation.' He claimed to set up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means of the people immediateness revolution not for Josun’s independence as a nation but for establishing the world all of Josun people leaded liberal lives. In 1920s he regarded the racial liberation movement as the movement of people liberation and anarchist. He advocated liberation from Japan to liberate the people from Japanese coercion not to form a new government plundering the people. We can acknowledge that Korean History was obliged to keep the orientation of nationalism to criticize and come over Japan's colonial historical view. But the motto, 'the subjective national historical view' in Revitalizing Reform system made his historical view be understood in only national historical view. We have to reflect that this prevents the opportunity to totally understand his entire historical view.

      • KCI등재

        한국 종교집단들의 한국적 민간신앙 수용 차이

        류지아(RYU Ji-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집단들(불교, 개신교, 가톨릭)과 무종교인이 한국적 민간신앙의 수용 정도를 신념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기술적 수준에서는 불교집단이 다른 나머지세 집단과 다르게 민간신앙적 신념과 실천에 있어 정적인 방향으로 치우쳐 분포하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종교집단들은 크게 민간신앙 수용적인 불교집단과 그와는 반대인 개신교 집단, 그리고 가톨릭과 무종교인들이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형태였다. 무종교인들을 준거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실천보다는 신념에서 서양종교집단들이 민간신앙에 동의하지 않았다. 비록 종교집단간의 비교에서 개신교와 가톨릭은 덜 실천적으로 나타났지만, 신념과 실천을 비교했을 때 실천의 표준회귀계수가 더 정적으로 나타나 서양종교집단에서는 한국적 민간신앙에 대해 ‘모순적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교집단은 민간신앙적 신념이 실천보다 더 크게 나타나 행위에 대해 신념이 선행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었다. 본 분석을 통해 민간신앙들이 종교집단별로 매우 다르게 수용되고 있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서양종교들은 교리의 영향으로 신념적으로는 기피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민간신앙 행위들을 여전히 실천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folk faith which is accepted by Korean religious groups which are Buddhists, Protestants, Catholic and non-believers. I analyse the each groups’ differences of acceptance of Korean folk faith. The beliefs and practices about Korean folk faith are the major sub-concepts in order to measure. Descriptiv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In the descriptive level, Buddhists are spread positively unlike other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beliefs and practices about Korean folk fai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t seems there are two poles such as Buddhists and Protestants and there are Catholic and Non-believers inbetwee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western religious groups show the contradictory attitude. They don’t agree with Korean folk faith in principle but they seem to practice it when they think it is necessary. This study shows Korean folk faith is accepted in the quite different way by each religious group.

      • KCI등재

        부-모의 성역할 관념에 대한 반대 성별 자녀의 영향 - 결혼경험이 있는 유자녀 성인남녀의 자녀성별구성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류지아(Ryu, Ji-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4 No.-

        본 연구는 부-모의 성역할 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반대 성별 자녀 효과를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반대성별자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결혼경험이 있는 유자녀 성인남녀로 연구대상을 한정하였으며 그 효과는 자녀성별조합 유형들의 성역할 관념 차이를 다중회귀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은 남녀에 대해 각각 3가지 모형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여성의 경우, 자녀성별구성에서 남성자녀의 비중이 커질수록 성역할 관념이 전통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모형2와 모형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에는 모든 모형의 모든 유형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성역할 관념에 대한 반대성별자녀 효과의 성별 차이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analyzes the effects of offsprings of opposite-sex on the parents" gender role perception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limited to adult men and women who have offsprings with marriage experience. The effect of opposite-sex children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gender role ideas among the types of sex associations. The analysis model consisted of three models each for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women, the traditional gender role concept is increasing as the proportion of male children increases in the gender composition of offspring.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odel 2 and Model 3. For m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ubgroups of all mode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inds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opposite-sex children on parents" gender role attitudes.

      • KCI등재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소득효과와 사회적 관계 : 준거집단 다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지아(Ryu, Ji-A)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소득은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소득효과에 대해 준거집단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통계자료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글에서 사회적 관계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소속 집단의 다양성으로 구성되었고 그 크기를 중심으로 측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구소득과 준거집단 다양성의 상호작용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주관적 안녕감을 조절했다. 이것의 의미는 다양한 준거집단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수록, 소득의 안녕감 증진효과가 감소되며 실질적인 안녕감 수준 역시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 의미는 다양한 준거집단을 가질수록 개인은 자신의 소득수준을 타인과 더 빈번히 비교할 기회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소득이 갖는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갖추어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즉, 개인이 놓인 다양한 사회적 맥락이라는 사회적 환경은 주관적 안녕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income effect that positively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with statistical data. In this paper, social relationships are defined operationally based on the diversity of actively participating groups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ir siz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term of household income and multi-layered reference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ed subjective well-being. The meaning of this is that the more active you are in the various reference groups, the les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ll-being of income and the actual level of well-being also decreases. This means that individuals have more opportunities to compare their income levels with others as they have different levels of reference groups. As a result, it can be considered that a social environment that can control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on subjective well-being has been established. In other words, it can be judged that the social environment of various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 is placed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한 진보적 여성신자들의 대응 전략

        류지아(Ji-A Ryu)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본 연구는 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응하는 진보적 여성신자들의 전략을 가톨릭 A여성단체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신학적 담론에서는 제도종교 안에 만연한 가부장문화로 인해 여성신자들이 여성으로서의 온전한 인간성을 펼치기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경험적 선행연구를 통해 집단수준과 개인수준에서 진보적 여성신자들이 제도종교의 가부장문화에 대응하는 전략들을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한국 가톨릭 A여성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집단수준에서는 종교제도 개혁 및 여성신자들의 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 여성의 사도신경이나 여성전례(典禮)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적 행위의 변화 등이 나타났다. 개인수준에서는 종교적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는데, 세부내용은 ?종교?와 ?제도교회?의 구분, 영성의 강조, 예수와 성모 마리아의 인간적 이해, 종교는 여성적이라는 인식 등을 내용으로 한다. 또 다른 개인수준의 전략으로는 거리두기 방식이 나타났는데, 그것은 제도교회에 참여하기는 하지만 적극적이지 않은 제도 교회와의 거리두기와 제도교회에 대한 무관심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영성의 강조나 제도 교회에 대한 무관심 등은 종교적 개인주의가 가부장문화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ategies of progressive female believers who respond to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institutional religion. In the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it is hard for female believers to be fully human because of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religion. Through empirical advanced researches, it can be classified into roughly two categories like group level and individua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focuses o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In the group level, there are efforts to reform religious institutions and improve female believers? consciousness and there are alternative religious behaviors which includes women?s apostles? creed and women?s ritual. In the individual level, there are religious cognitive alternatives such as distinction of religion and an institutional church, emphasis on spirituality, understanding Jesus and the Virgin Mary as human being and religion as feminine characteristics. Another strategy in the individual level is keeping in distance. It has two sub-strategies such as keeping in distance even though they are still participating in institutional local church and in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urch. Among those strategies, the two strategies like the emphasis on spirituality and indifference in institutional church can be concluded into religious individu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