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150개의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두변인 간의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연구모형-Ⅰ로 설정하여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변인 중각 시점에서 어떤 변인이 인과적인 선행변수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남․여학생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Ⅰ(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각 변인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연구모형-Ⅱ(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종단적 연구방법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첫째,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수업이해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오히려 수업이해도가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종단적인 효과의 크기와 인과적 방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여학생 집단별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는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이전 학년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의 요인이었다. 그리고 남․여학생 집단별로 각 조사시점에서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며, 남․여학생 간의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인과관계와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나 남․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 측정된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변인 간의 학생 개인별 변화추이는 중학교 2학년 때 수업이해도가 높은 경우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수업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자기효능감도 점차 향상된다는 개인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causality of two variables, 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nd difference according to sexuality targeting 6,908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nationwide 150 middle schools using the data of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has been being conducted since 2005 by KEDI(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is purpose, it was examined which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ct as a causal antecedent annually at each point through sett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earch model-Ⅰ. An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I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s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between two variables were reviewed through setting a research model-Ⅱ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ch analysis results of longitudinal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could understand the longitudinal effect size and casuality direction that learning understanding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learners rather than self-efficacy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learn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ult that the learning understanding highly affects on self-efficacy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Second, the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goes up by groups of male and female emphasiz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previous grade was a cause of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the next grade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And, the affections of learning understanding on self-efficacy in the next year were not changed at the time of survey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and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affections on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were not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trend of change by students individuals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as the time passed reveal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that high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results in high self-efficacy, and as learning understanding becomes high, self-efficacy is improved gradually.

      • KCI등재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은수(Ryu, Eun-soo),박민신(Park, Min-sin),박진희(Bak, Jin-hui),김자영(Kim, Ja-young),오현아(Oh, Hyeon-ah)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 연구에서는 다언어 · 다문화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에서 필요한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 그 구현 가능성을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문화 융합 사회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3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은 문화 다양성 교육의 관점과 세계시민 교육의 관점 그리고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그 방향성을 설정하고 문화 간 이해 및 상호 존중, 역량 중심의 교육 내용을 개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여 개발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향성의 의의를 검토해 보았다. In a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characterized by multiple languages and cultu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was reviewed centering on ‘the cultural-orient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To do this, chapters 2 confirmed the need for pre-admission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in this research and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by closely examining existing prior studi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Chapter 3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hould be se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vic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ntents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n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Lastly, Chapter 4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orientation presented in the original text by looking at ‘Next Generation Culture-Orient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tents provided in Chapter 3.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류은수(Ryu, Eun Soo)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총38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은 세 변인 모두 서로 양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부모 교육자료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남녀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학교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s affected by their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regulatory ability. For this purpose,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1st, 2nd and 3rd grades in Chungcheongnam_do,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through Pearson Rati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hree variable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dolescents’ self-regulatory ability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re positively co-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regulatory abi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sources, and furthermore, will help develop and implement a differentiated school adapt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KCI등재

        Blended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의 요인이 학습성과 요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구조방정식 모형의 2차 요인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

        류은수 ( Eunsu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수행되는 Blended PBL 수업의 질을 제고하고자 Blended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의 요인이 학습성과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의 I-의 과대학 의학과 1~2학년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5점 척도로 구성된 28개 문항을 관측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lended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과 학습성과 관측변수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값은 0.9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된 모든 요인의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는 타당도 검증 기준을 만족하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요인의 각 변인은 Blended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연구모형의 평가를 위해 적합도 분석 결과 Q값 뿐만 아니라 적합도 평가지표 중 절대적합지수 RMR, GFI, RMSEA, SRMR 값과 증분적합지수인 IFI와 TLI 및 CFI 값 모두 기준값을 충족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최종 수정된 연구모형의 관련요인과 구성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알 수 있는 경로계수 분석결과 모든 2차 잠재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관계는 정적이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Blended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학습성과 요인을 매개로하여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정적인 관계를 갖고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두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Blended PBL teaching - learning design model on learning outcome fa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Blended PBL lessons conducted at university using a research model. I asked questions to 1st-2nd year 198 students of I-medical school in Busan as objects of study. And the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complemented the factors, questions and used 28 questions composed of 5 scales as observatio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nalysis results of the reliability of Blended PBL teaching - learning design model and learning performance measurement variables, Cronbach `s α value is very high, 0.933,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nvergent validity of all measured factors meet the validation criteria. Secondl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each variable of the factor of clas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wareness was static relationship with all factors of Blended PBL teaching - learning design model. Thirdly, as a result of the fit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research model, both the Q value and the absolute fit index RMR, GFI, RMSEA, SRMR values which are absolute suitable indices of the goodness-of-fit evaluation index and IFI, TLI and CFI value which are the incremental suitable index, all were met and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Fourth, as a result of path coefficient analysis that can know the causal relation between related factor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the last updated research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econdary latent variables and latent variables is static and significant. Fifth, the influence of the Blended 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on the satisfaction of the lesson and the perception of the outcome by mediating the factors of the learning outcome significantly appeared with a static relationship and all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 KCI등재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e-PBL(Problem Bas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J.M Keller의 ARCS 동기모형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 및 협동적 지식구성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과 ARCS 학습동기 모형 그리고 학생성과의 구성요인을 개념화하고,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관련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효과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에 소재한 I-의과대학 의학과 1, 2학 년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을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개인배경(6개 문항) 이외에 10개의 하위영역에 대해 5점 척도로 작성된 58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표준화 경로구조도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관측변수로 사용된 문항은 최종 29개이다. 분석결과,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도 0.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모형의 타당화를 위한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역시 기준값을 충족하였다. 제안한 연구모형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10개요인(학습목표 인지도, 협동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사고,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학습만족도, 학습성과)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affe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medium of J. M.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o achieve this, it i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constructs of the student outcome, ARCS learning motivation model, and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to facilitate the medical colleg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and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investigating the meaningful effect of the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approp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For this study, 198 medical subjec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t I-Medical College in Busan were sampled. As the measurement scale, we developed 58 items with 5-point scale regarding 10 sub-domain except for the individual background(6 items). Then, we analyzed the goodness of fit in the research model and the standardized path structure map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based on the prior analysis, the total 29 items were used as the final observed variables. Consequently, the construct validity for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was showed appropri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result, Cronbach’s α was 0.934. Both the Construct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Variance Extracted Index also met the base value.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factor structure, the adequac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composed of 10 factors (Define problem & learning objective recognitio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e, Problem solving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was verified.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비대면 국어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습자 반응 연구

        류은수(Ryu, Eunsoo),오현아(Oh, Hyeo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0년 4월부터 시작된 전국 중고등학교의 비대면 수업상황과 관련하여 중1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제 온라인 국어 수업사례를 탐구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수업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과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마련할 수 있는 대안을 수업 설계 측면과 운영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강원도 원주 소재의 중학교 1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제 온라인 국어 수업 사례와 이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사례연구방법론(Merriam, 1998) 및 자기수업 연구 방식(이용숙, 2011:8-10)으로 탐구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교사 및 또래 학습자와의 관계에 대해 느끼는 부재감이라는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를 고려한 온라인 수업 디자인 및 운영방법 2가지를 제안했다. 결론 첫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모둠활동이 가능한 실시간 수업 플랫폼 및 공유형 학습도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교사가 자신을 돌보고 있다고 느끼며, 또래 학습자와의 관계 속에서 대화를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생이 서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의견을 수업에 반영하고 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신속하게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여 학습자가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ich began in April 2020, and analyze learners responses to explore what to consider when designing online classes and what difficulties learners face in online classes. And based on this, it is to suggest alternatives that teachers can come up with when designing online classes and running classes. Methods The actual online Korean language class cases conducted on 3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Gangwon Province, and learners responses to them were explored and analyzed using case study methodology and self-classes study methods. Results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biggest difficulty learners face in online class situations is their absence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learners, and suggested two ways to design and operate online classes considering this. Conclusions First, it actively utilizes real-time class platforms and shared learning tools that enable group activities when designing and executing classes. This allows learners to feel that teachers are always taking care of them, and to learn and grow cooperatively in conversations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Second, by utilizing a platform through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an share their opinions, learners opinions are reflected in the class and individual feedback on assignments is provided. Through this, students and teachers can quickly give and receive feedback, and in this process, learners can feel that they are pro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lass.

      • KCI등재

        교과 통합적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제반 여건 탐색

        김영란 ( Youngran Kim ),송승훈 ( Seunghun Song ),하고운 ( Gowoon Ha ),김영희 ( Younghee Kim ),이정요 ( Jeongyo Lee ),이동일 ( Dongil Lee ),류은수 ( Eunsoo Ryu ),신수경 ( Sukyung Shin ),진현 ( Hyun Chin ),이유진 ( Yujin Lee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 간 융·복합적 교육과 교실 수업 혁신을 지향하는데, 국어과 교육과정은 이러한 취지에 맞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강조하고 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통해 교과 간 교육과정 통합 운영이 가능한데, 이 연구는 그러한 통합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현장의 여러 여건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우선 교과 교사들 간에는 ①복수의 교과에서 책을 함께 읽어서 학생과 교사의 부담 줄이기, ②의미 있는 학습을 위한 각 교과의 학습목표 확인하기, ③학생의 특성을 고려해서 도서 추천을 세심하게 하기 등을 고려하여 협력할 필요가 있다. 학교 차원에서는 ①학교 교육과정 운영 시 ‘한 학기 한 권 읽기’ 포함하기, ②학기당 지필평가 1회 및 과정 중심 수행평가로 평가 체제 혁신하기, ③교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하기 등으로 학교 전체 구성원들이 협력할 필요가 있다. 학교 밖 기관들은(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사대) ①학교 구성원의 이해 제고를 위해 교사 연수에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포함하기, ②예비교원의 교육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대 교육과정 개편, ③정책의 일관성 유지·홍보 및 지속성 있는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지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new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alled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cuses 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innovation of instruction. In the curriculum of ‘Language Art’ emphasizes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 this means a way of instruction with reading, discussion, & writing- to meet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curriculum between subjects through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rious aspects of schooling to support such integrating efforts are as follows: Teachers of subjects need to work together collaboratively in order 1) to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and teachers by reading a same book in different subjects classes, 2) to identify the learning objectives from each subject so as to provid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and 3) to recommend boo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Members in schools need to cooperate 1) to include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in the design and ena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2) to transform evaluation system into a new system of one summative-evaluation & frequent authentic assessments within one semester, and 3)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s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Finally, organizations like the Ministry of Education,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colleges of education need to provide support by 1) including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raise teachers’ understanding of it, 2) reforming the curriculum of colleges of education to improv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3) maintaining consistency of a policy and informing school members about the policy as well as allocating personnel for the policy over a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