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의 명품 소비와 차이의 문화정치

        류웅재(Woongjae Ryoo),박정은(Jeongeun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5 No.1

        이 연구는 한국 사회 남성들의 명품 소비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이며, 개인이 명품 제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또 이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과 실천을 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실천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들이 개인의 삶에 개입되는 방식과 이들의 총합으로서 한국 사회의 브랜드 소비와 물질문화를 둘러싼 다기한 지형과 문화정치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30대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명품 소비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기표현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위한 상징적 욕구의 충족과 정체성 및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의 연장선상에서 명품 제품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명품은 애착의 대상일 뿐 아니라, 새로운 관계와 자기 정체성의 형성 과정으로서 이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만족감이나 자기 효능감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준거 집단으로부터 브랜드 소비 양식을 학습하면서 명품과 명품이 아닌 제품을 혼용해 사용하는 포스트모던(postmodern)적 소비 행태와 전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명품소비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나 필요로 인식되며, 이에서 파생되는 기호들은 현대사회의 남성성이 경제적 자본과 연동되는 자기관리, 자기계발 등의 가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social and personal meanings that luxury consumption hav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experiences of men in their 30s. Interviews with nine male consumers who are committed to luxury brands, especially those that produce suits, watches, fountain pens, and shoes, were conduc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We found that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 whole process of luxury brand consumption including buying, using, and managing and try to consume the products for self-expression, congruent with their lifestyle and identity. Individuals have learned how to consume the luxury brand from their role models. Their consumption follows hybrid and postmodern patterns and combines luxury brand products with non-luxury on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using the luxury products is considered necessary to achieve some advantages in social contexts and can be also functioned as a sort of social signifier and self-help, as well as, a tool for self satisfaction or well-being.

      • KCI등재

        대학의 연구문화 낯설게 하기, 그리고 성찰적 대안의 모색

        류웅재(Woongjae Ry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1

        이 글은 그간 꾸준하게 제기되어온 대학에서의 논문쓰기와 평가제도가 야기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포함해 대학의 연구문화를 성찰적으로 논의하는 세 편의 글을 소개하고 있다. 이 글들은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관된 소주제들, 가령 평가의 대상이 되는 대학 내 연구자로 살아간다는 것, 또는 그들의 의식과 관행, 공고한 자본주의 시스템 하에서 자유롭기 어려운 학계 내 경쟁의 문제,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영어논문 쓰기와 전공을 불문한 영어강의의 문제, 국내 언론사는 물론 해외 평가기관의 대학평가, 교원채용과 전공편중의 문제 등 상이하지만 연결되어 있는 주제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다루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대학의 변화된, 그리고 변화하고 있는 환경과 제도화된 연구문화의 풍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논문쓰기의 기술적 문제를 포괄하면서도 이를 넘어서고 구조화하는 지식 생산의 제도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 관한 성찰적인 고민과 깊이 있는 공론의 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troduce a series of critical writings, directly dealing with some pertinent issues, such as imminent problems and challenges that the Korean universities are confronting toda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institutionalized knowledge production and research culture, the process of writing for and publishing in scholarly journals, university evaluations and competition, globalization, and others. One may argue that the main reason is due to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niversity system in the global context. We need an open and self - reflexive public dialogue in order to change and imagine a different kind of knowledge production system, in institutional, economic, and cultural realms.

      • KCI우수등재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한국사회의 위기 징후

        류웅재(Woongjae Ryoo),최진호(Jinho Choi) 한국언론학회 2016 한국언론학보 Vol.60 No.1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a question of South Korea’s paradoxical facet of the 2014 ‘Pope Francis Syndrome’ as it witnesses general ruptures related to the crisis of political leadership that exis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oday. For this, we explore how the Pope Francis’ visit to South Korea galvanized publics’ desires and social imaginary on good leadership and ideal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utilize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analyzing the four major daily newspapers’ article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edia discourse signifies publics’ disappointments with politics in general due to the lack of responsible leadership and mutual communication, while public strongly draws their attention to Francis Pope’s unique leadership. Secondly, in line with this, public discourses against the state neoliberal policies and overall corporatization of society were formed. Futhermore, it shows that Pope makes a consistent effort to console young generation and provides them with courage and motivation. Thirdly, it signifies public’s social imaginary for social justice and social integration that are far from South Korea’s reali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위험한 불확실성의 시대, 쓰레기가 되는 삶들

        류웅재(Woongjae Ryoo) 한국언론학회 2017 한국언론학보 Vol.61 No.3

        This article explores two late European sociologists and their series of theoretical concepts. Specifically, this essay analyzes the life and practice, various strategies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of the subjects ‘here and now.’ For this, this essay focuses on the way the subjects accept and harmonize, or creatively articulate and appropriate the structural forces, including economic and political powers in their everyday lives, and their active inquiry in seeking for progressive political and social possibilities, and their own empowerment, yet to be realized.

      • KCI우수등재

        절충적 세계화와 국가의 담론정치

        류웅재(Woongjae Ryoo)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5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rgue against one dimensional and overarching rendition of the cultural globalization. The role of institutions, especially state intervention in the cultural realm has been a controversial topic for communication studies. Futhermore a dramatic upsurge of neoliberal paradigm in the last two decades has glorified the virtues of unregulated global market economy, and such discourses as “end-of-history” has ideologically strengthened deregulation and economic and cultural privatization. Both neoliberalist and leftist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state is obsolete, powerless, or incompetent as a decision maker in an age of globalization. By contrast, my aim is to provide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political economy of a local as well as global culturescape, and to offer a more nuanced analysis of the role of the state in cultural transformations, by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three South Korean governments. Specifically, I explore interventions by the state in transforming the scene of local and global culturescape, mainly utilizing Foucauldian discourse theory focusing on his concept of governmentality in actively articulating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in a context-specific way.

      • KCI등재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노영은(Yeongeun Noh),류웅재(Woongjae Ry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근래 한국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문맥에서 국토와 지역 불균형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것은 지역 문화산업이라 할 수 있다. 문화산업은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가능할 수 있게 하며, 경제적 부가가치 또한 큰 산업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산업을 경제적 논리와 이해관계에 기반한 ‘산업’으로만 접근할 경우, 문화산업이 지닌 특수성을 상실하고 이의 지속가능성 역시 담보하기 어렵다는 중요한 문제에 직면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도시계획과 지역개발에 있어 중앙정부 주도의 발전 계획을 수행해왔기에 문화산업의 실행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로를 걸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들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로 생성된 지역 공간의 변화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위한 사례로 이 글은 수원과 전주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독특한 문화원형, 혹은 문화유산을 보유한 두 도시인 수원과 전주가 지자체 차원에서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인식하고 발전시켜온 궤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는 지역 문화산업의 실행 과정에 개입하는 다기한 정치적, 경제적 맥락과 역사적, 문화적 요인들이 지역 공간과 문화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맥락화해 논의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위해 도시를 정치와 역사, 문화와 경제 등의 중층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형성 및 축적된 결과물로 본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이론적 관점을 차용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산업과 관련된 지역의 연구보고서 및 대통령 취임사, 보도자료 등이었다. 위 자료들은 도시가 추구하고 수행하는 문화산업이 어떻게 논의되고 축조되는지 이해하는데 일정한 유용성을 지닌다. Korean society recently is experiencing a considerable issue of regional imbalance.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his situation. However, the cultural industry faces another issue that only economic results can be pursued, if it is merely regarded as an ‘industry’. South Korea has carried out developmental plans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n Korea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national politic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n the practice and consequence of local cultural industries, by focusing on the cases of Suwon and Jeonju. Specifically, we tried to explore the cultural industry of two cities, Suwon and Jeonju and examine the trajectories of their development or changes. This was to discuss how the political context and economic factors involved in the cultural industry affect specific local space and cultural policies. Especially, this issue was analyzed based on a series of concepts and perspective by David Harvey. For instance, Harvey has viewed cities as the accumulation of diverse factors, such as politics, history, culture, and economy. The objects of analysis include local research reports, presidential inauguration speeches, and press release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These materials provide useful insight into how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in the city is discussed and formed in a context specific way.

      • KCI등재

        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이전기관 종사자 갈등 사례에 관한 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와 경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박한진(Park, Hanjin),류웅재(Ryoo, Woongja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onflict between workers in a relocation agency in the process of forming Sejong City and Gyeongbuk Innovation City (Gimcheon), that began with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development policy in South Korea. For this, we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of conflict between workers in the relocation agency and analyzed the causes, structure, and phenomenon of conflicts among workers in the relocation agency. Also, we attempted to find out which discourse obtains normality and positive public opin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pertinent texts and also in-depth interviews, and what social discourses were formed in this process. First, we found that the main factors of conflict among workers in the relocation agency in the new city construction process was the governments settlement conditions such as special housing supply policy, public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As the press reported this as a conflictual discourse, it served as an accelerator causing various social conflicts among workers in the relocation agency. Second, the governments sudden abolition of the special supply system not only encourages conflicts among public workers who moved to Sejong City, but also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tical crisis in neoliberal Korean society. Thir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ew city, fairness discourse at the level of equality eventually served as an accelerator for the new policy decisions and at the same time, 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an innovative system. Fourth, it was found that new city migrants need open discussions on numerous, heterogeneous, and multi-layered discourses and social agreement to find solutions against various conflicts of interests.

      • KCI우수등재

        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 청년 공정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곽영신(Kwak, Youngshin),류웅재(Ryoo, Woongjae)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5

        This study utilize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youth-related fairness discourse appearing in a series of newspaper editorials during the Moon Jae-in regime, from the beginning of his presidenc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how fairness dis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abor, as a representative social resource distribution channel, is articulated in the public forum of the media. In particular, based on the diagnosis that the meaning of fairness discourse in Korean society is distorted upon the interests and goals of each class and groups, we tried to examine the complex and plural nature of the concept of fairness in a context-specific way. First, fairness discourse is embraced by the ideology of meritocracy that emphasizes the principle of equity and procedural fairness. However, this view can conceal injustice, resulting from structur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Second, the media has expanded and reproduced the discourse of fairnes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pper class and the powerful. As a result, it justifies a ‘winner takes all’ logic and system of domination through existing competition rather than resolving structural injustice. Third, rather than presenting in-depth coverage of fairness discourse to the public, the media tends to serve and immerse itself in the interests of each political camp and use them as a political tool to amplify conflicts. Furthermore, since corruption and foul play are still prevalent in Korean society, the desire for meritocracy and fairness discourse is grow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henomenon of neo-nepotism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e meritocracy system is emerging in Korean society, there is still a social imagination and hope for the ideal meritocracy.

      • KCI등재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 디즈니 실사영화〈MuLan〉의 사례

        당지아(Tang, Jia),류웅재(Ryoo, Woongja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초국적 미디어 기업인 월트 디즈니 픽처스(Walt Disney Pictures)에서 제작된 실사영화 〈MuLan〉은 예상과 달리 중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반면, 서구에서 보다 큰 인기와 흥행성적을 거두었다. 이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생산, 유통된 실사영화 〈MuLan〉이 서구와 영화의 원작이 탄생한 중국에서 상반된 반응을 보인 원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실사영화 〈MuLan〉의 줄거리를 포함한 내러티브(narrative)와 구성, 등장인물, 대화, 의미 등에 관한 심층적 독해를 위해 채트먼의 ‘서사 이론’ 을 차용해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에 표면적으로 드러난 주제와 더불어 그 안에 내포되거나 숨은 함축적 의미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중국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서사분석과 심층인터뷰 결과, 실사영화 〈MuLan〉은 이전에 만들어졌던 애니메이션 영화 〈MuLan〉에 비해 중국 문화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투사해내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이면에는 서구적 시각에서 중국 문화를 선별적으로 재구성한 오리엔탈리즘적 재현도 내장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중국 수용자들은 자국의 전통이나 문화로 ‘상상된’ 요소들을 ‘우리’로 동일시하고 이외의 외부적이거나 타자로 ‘상상된’ 요소들은 배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통적인 영웅 목란에 관한 기존의 서사적 요소와 실사영화 〈MuLan〉의 그것의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표하거나 정부의 팽창적 민족주의, 혹은 애국주의적 민족주의 의제에 관한 동의의 아비투스를 형성하기도 했다. 이는 개방성과 자기 성찰성을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 수용 등에 관한 진지한 사회적 숙의가 필요한 지점임을 보여준다. The live-action film "MuLan," produced by Walt Disney Pictures, a transnational media conglomerate, was not a huge success in the Chinese market. However, it gained more popularity in the West, winning multiple awards in several film festivals. Therefore,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of why the live-action film "MuLan" that distributed in the global market get a sort of paradoxical reactions in the West and in its birthplace of stories, China. Based on such issues relating to global media and cultural phenomena, we analyzed this movie utilizing Chatman"s "narrative theory" in order to reveal the latent, as well as manifest meaning of the live-action film 〈MuLan〉, and also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audience"s acceptance pattern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he live-action film 〈MuLan〉 seemed to appear to portray the Chinese culture more precisely, compared to Disney’s animation 〈Mulan〉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it also shows that the film uses the Orientalist representation of Chinese culture in particular and Asian culture in general. Furthermore, the audiences tended to consider the elements of Chinese culture and tradition as ‘us,’ while excluding other elements as ‘others.’ Especially, by emphasizing a typical imagery of the traditional hero MuLan, they tended to express their loyalty to the country and also formed their own patriotic and nationalist sentiments. Hence, the issue of media representation of ‘us’ and ‘others’ may be critical in that it may lead to a oppressive nationalism in an era of globalization. Also, this issue calls for our attention and requires serious social dialogue surround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pular media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