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인 ‘사실’의 의미

        류부곤 한국형사법학회 2015 형사법연구 Vol.27 No.4

        As the crime factor 'fact-alleging' is needed for defamation crime in korean criminal law. Legal protected interests of defamation crime are the social honor, that means social evaluation for worth of personality or behaviour of person. So, fact-alleging estimated as the crime factor of defamation should be a kind of behaviour that can derogate person's social honor. Therefore, alleged fact should contain the matter that can derogate person's social honor : it's the first element of crime factor for defamation. It means that, we have to prove the next proposition to be true : when people recognize the alleged fact, social appraisement for targeted person must be deteriorated. But there are no concrete types of facts that can derogate social honor in current criminal provision for defamation, also current academic opinions and general interpretations of legal sites cannot suggest concrete standard for the fact as criminal factor without 'enough fact for deteriorating person's social evaluation'. Specially in case of that, the fact is not the contents can be estimated social general 'adverse fact', but value neutral fact or objective condition, whether it can be come under 'fact-alleging' as the crime factor of defamation or not, it is very difficult problem for solution of specific case. On the other hand, fact-alleging as the crime factor of defamation doesn't cover individual subjective deliverance or evaluation, in rela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that can be guaranteed by constitutional law. So fact-alleging for defamation crime should not be a expression of subjective opinion or valuation, but a expression of fact. For such problems this thesis tries to find concrete types of fact for defamation crime with analysis of cases in current judical precedents of korean supreme court. 형법은 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으로 ‘사실의 적시’를 요건으로 하고 있는데, 명예훼손죄의 보호법익은 사람의 인격가치 또는 행동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의미하는 외적 명예라고 할 수 있으므로 명예훼손으로 평가되는 사실의 적시 역시 이러한 외적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일 것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여기에서 적시되는 사실은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일차적 요건이 도출된다. 즉 그 내용을 사람들이 인지하였을 때 해당 표현의 대상이 된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저하될 수 있는 내용을 적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형법조문은 이러한 외적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사실을 유형화하지 않고 있으며, 학계나 실무계의 일반적인 해석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데 충분한 사실’ 정도로만 설명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기준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사회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사실’이라고 평가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가치중립적이고 객관적 상태나 현상을 내용을 하는 경우에 명예훼손행위의 요건인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개별적인 사례의 해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명예훼손행위의 요건인 사실의 적시는 헌법상 보장되는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상 개인의 주관적 의견표명이나 평가는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따라서 명예훼손에서의 사실의 적시는 의견표명이나 가치판단이 아닌 사실의 표현이어야 한다는 요건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논문은 여러 판례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여 구체적 내용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 KCI등재

        미성년자 등 간음죄에 있어서 ‘위력’의 의미

        류부곤 韓國刑事法學會 2013 형사법연구 Vol.25 No.1

        Although sexual intercourse by the threat of force against minor(adolescents) or the disabled is provided as a critical crime in the korean criminal law, there are few discussions in earnest about the meaning of 'the threat of force' for this kinds of crime-factor. Meanwhile, korean supreme court presents own guidelines about the meaning and standard of judgment for the threat of force and made a specific cases. But this way, textbook problem by metaphysical abstraction about the meaning of the threat of force is remained as before or critical opinion likes that, it’s a excessive-purposive construction by victim’s subjective intention and situation beyond textual meaning of the threat of force, can be raised. To the correction of this problem for construction the meaning, next three points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threat of force’ must be considered in the way of case-solution. First point is that, use of the status in objective situation made by the certain status. Second, critical invasion to the victim’s right of self-decision for sexual activity by the threat of force must be confirmed. Lastl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f threat and the critical invasion to the victim’s right of self-decision must be certified clearly. If there is enough-wide popular consensus about necessity for the minor’s and the disabled person’s right of self-decision for sexual activity, and if this consensus can support soundness of the attitude of supreme court, it means that, now we have to discuss about the legislative activity for the crime of sexual intercourse with ‘non-consent’.

      • KCI등재

        근대 경찰제도 도입과정에 대한 법제도사적 고찰

        류부곤 한국경찰법학회 2020 경찰법연구 Vol.18 No.1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polic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modern police system in the Gabo Reformation(1894-1896)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whether the early modern police system is modern in terms of ideological 'modernity' compared to the institutional reality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I would like to draw implications related to the concrete tasks of recent police reform in terms of ideological modernity. In conclusion, in the aspect of institutional modernization, the fact that it was made by introducing foreign modern system without autonomous system reform does not uniformly deny the modernity of such reform.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police reform system,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reform of awareness is not sufficiently seen. Formally, he tried to look modern but didn't seem to elicit the change of ideas, and only the instrumental character of the institution is emphasiz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history, it is hard to say that the police system of the Gabo Reformation period cannot have more than meaning as a modernized concept. This suggests two points in relation to the recent police reform. The first is to overcome the low credibility of the police, and the second is to focus on a clear ideological orientation that institutional reform in relation to the investigation structure reinforces legal responsibility for investigation. 이 글은 갑오개혁기(1894-1896) 근대 경찰제도의 도입과정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근대 경찰의 모습과 성격에 대하여 史實을 기초로 분석을 시도한다. 특히 과거 전통사회의 제도적 현실과 비교하여 초기 근대경찰제도가 이념적 ‘근대성’의 측면에서 근대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념적 근대성의 지향이라는 측면에서 현대 경찰개혁의 구체적 과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제도적 근대화의 측면에서 자생적으로 제도개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외국의 근대적 제도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졌다고 해서 그러한 개혁의 근대성을 일률적으로 부정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갑오개혁기 경찰제도의 도입과 운용의 과정에는 인식의 개혁에 해당하는 부분이 충분히 보이지 않는다. 형식적으로는 근대의 모습을 꾀했지만 관념의 변화까지는 이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보이고, 제도의 도구적 성격만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역사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갑오개혁기의 경찰제도가 상념화된 근대로서의 의미 이상을 가지기 어려운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대 경찰개혁과 관련하여 다음의 두 가지 점을 제안한다. 첫째는 경찰에 대한 낮은 신뢰도의 극복이며, 둘째는 수사구조와 관련한 제도적 개혁은 수사에 대한 법적 책임의 강화라는 분명한 이념적 지향점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

      • KCI등재

        마약류범죄 수사와 관련한 형사법적 고찰 : 특정 수사기법 및 마약류관리법 정비방안을 중심으로

        류부곤 경찰대학 범죄수사연구원 2022 범죄수사학연구 Vol.8 No.2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issues in criminal law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of drug crimes among the various policy areas to deal with the spread of drug crimes.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global trend of policy on drug crime is shifting from the regulation and punishment to the direction of management and treatment.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for the state to find out the use and supply of drug and take public measures against it. And criminal justice agencies are at the forefront of these activiti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discusses several legal issues that can be raised in order to effectively find the supply and use of drug and to properly exercise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rough this, we aim to improve the substance and efficiency of investigations into drug crime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response policy against drug.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specificity of drug crimes in the investigation method, acknowledge the necessity, and develop legislative and interpretive theories so that investigative agencies can use them legally.

      • KCI등재후보

        사행성 개념의 규범적 고찰

        류부곤 경찰대학 범죄수사연구원 2018 범죄수사학연구 Vol.4 No.2

        이 글은 도박이나 사행행위 등에 대한 법적 규제의 근거에 자리하고 있는 사행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그러한 과정으로 우선 사행성 개념에 대한 분석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괄적이나마 사회과학적 차원의 이론적 논의를 소개, 분석하여 본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는 사행성에 대해 막연히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관점에서 생각을 시작해 볼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행 법체계에서 사행성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상세히 살펴보고 그 문언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 사행성 개념에 대한 대법원 판례의 경향을 소개하고 이에 대해 분석해 보고, 사행성과 도박의 관계 등의 고찰을 통하여 사행성의 규범적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인신구속제도의 개선 필요성과 방향 - 긴급체포 및 구속의 제도적 개선점을 중심으로 -

        류부곤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8 비교형사법연구 Vol.19 No.4

        For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nd the principle of human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emergency arrest and detention system in recent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Specifically, it proposes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oretical and comparative legal argument about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emergency arrest, the necessity of the ex-post arrest warrant and the subject and period of the deten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esign of the investigation system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 important issue is finding ways to improve on specific areas where judicial control is not exercised in view of the need for judicial control over compulsory disposition. When emergency arrest was carried out by autonomous judgment of investigation agency, but the detention warrant was not charged and the suspect was released,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for 48 hours, the arrest was made without a warrant, in this case, urgent improvement is necessary. Strengthening the internal deliberation and control procedures of the investigating agency can be an improvement measure so that the emergency arrest can be carried out as carefully as possibl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object-oriented and invasive investigative activities, enforcing ex-post judicial control is the right way to ensure human rights in criminal procedure. In other words, an emergency arrest must be an ‘exceptional’preemptive action. Ultimately, I think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etention of human being in investigation process, in principle, under the leading control of the judiciary. This is because the detention of human being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causes a significant infringement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If detention is recognized as the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agency, it is highly likely to be abused, even if the investigation process requires detention ac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Considering the intrinsic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warrantism and comparative legal analysi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ubject of human being detention to court, and to improve in adjustment of detention period and the operation of arrest place. 이 글은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적법절차원칙 하에, 인권보장이라는 이념을현실의 제도적 절차에서 보다 강화하기 위한 현행 형사소송법 상 체포구속제도의 개선필요성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글로, 그 중에서도 긴급체포와구속의 제도적 개선점에 주안을 둔다. 구체적으로 긴급체포의 주체와 대상, 사후영장의 필요성 및 구속의 주체와 기간 등에 대하여 이론적ㆍ비교법적논의에 근거하여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민의 인권보호를 위한 수사시스템의 설계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논점은역시 강제처분의 사법적 통제라는 측면에서 그러한 사법적 통제가 제대로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의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수사기관의 재량적 판단에 의하여 긴급체포가 이루어졌지만 구속영장이 청구되지 아니하고 석방되어, 결국 48시간 동안은 사법적 통제없는 인신구속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경우가 그러한 개선이 시급히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수 있다. 긴급체포가 최대한 신중히 이루어지도록 수사기관의 내부적인 심의나 통제절차를 강화하는 것도 개선방안이 될 수 있겠지만, 목적지향적이며침해적인 수사기관 수사활동의 본질적 속성상, 일정한 경우 선제적 강제조치를 예외적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더라도 사후적인 사법통제가 반드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수사시스템을 인권보장의 측면에서 부족함이 없도록 하는적정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현저한 침해를 가져오는 수사절차에서의 인신구속은 원칙적으로 사법기관의 주도적인 통제 하에 두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수사상의 필요나 사법절차의 담보를 위하여 수사절차에서 강제처분이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근본적으로 수사기관의 권한으로 인정되는 이상 남용의여지는 피할 수 없다고 보여진다. 비교법적인 자료의 참조와 동시에 헌법상영장주의의 본질적 취지를 고려하여 인신구속의 주체를 법원으로 전환하고그에 맞추어 구속기간의 산정, 구속장소의 운용 등에 있어 개선이 이루어질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공동의 부작위 과실의 경합과 형사책임 - 대법원 2023. 3. 9. 선고 2022도16120 판결에 대한 평석 -

        류부곤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4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4

        이 글은 두 사람이 동시에 담배를 피우다가 담배꽁초의 불씨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아서 화재가 난 실화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평석한 것이다. 대상판결은 두 사람이 동시에 발화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행위를 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가 발화의 원인임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이 사안에서 작위형태의 과실범은 아예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대신 대법원은 근로계약에서 도출되는 신의칙상의 부수적인 의무를 근거로 행위당시에 피고인들에게 개별적인 작위의무가 있었음을 긍정하고 이에 따라 피고인들 각각에게 부작위형태의 과실범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형사책임을 지우고 있다. 피고인들의 작위의무를 선행행위의 법리에서 구하는 경우에는 보증인지위가 인정될 수 있는지 자체에 대한 법적 논란도 있고 구체적으로 발생하는 작위의무의 내용이나 범위도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선행행위의 법리를 배제하고 근로계약에서 도출하고자 한 법원의 시도는 충분히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로계약에 따른 신의칙상의 부수적인 의무로 이와 같은 사안에서 화재로 연결될 수 있는 위험발생의 방지의무가 긍정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피고인들 각자에게 가벌적인 부작위가 있었고 이러한 각각의 부작위는 화재의 발생에 대한 인과관계가 긍정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피고인들 각자에게 실화죄가 성립한다는 결론은 논리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다만 대상판결은 그 표현에 있어서 매우 아쉬움이 있다. 담배꽁초를 함부로 던지는 ‘작위’는 애초에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않았는데, 이 점을 분명히 표현하지 않고 부작위범과 과실범의 성립요건을 단지 병렬적으로 설시하여 어떠한 법리를 말하고자 하는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나아가 ‘공동의 과실의 경합’이라는 표현을 중심에 두고 있는데, 이 사안은 표면상 작위의 과실행위가 경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지기에 대법원이 공동의 과실에 관하여 형법 제19조에 반대되는 법리를 설시하고자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착시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형법을 전공한 학자가 원심의 판결문까지 동원하여 꼼꼼히 분석해야만 그 진위를 알아차릴 수 있는 이러한 형태의 판시방식은 국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오늘날의 사법부는 분명 지양해야 할 방식이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judgment on a case where two people smoked at the same time and a fire broke out because they did not properly dispose of embers from their cigarette butts. Although two people simultaneously performed an action that could have caused the ignition, it was not revealed which action was the cause of the ignition. Therefore, in the target judgment, negligence in the form of an act was not the subject of discussion at all. Instead, the Supreme Court confirmed that the defendants had an individual duty to act at the time of the act based on the incidental duty of good faith derived from the employment contract. Accordingly, criminal responsibility is imposed on each of the defendants by affirming their negligence in the form of omission. In cases where the defendants' duty to act is sought based on the legal principle of prior acts, there is legal controversy over the guarantor status itself, and the content or scope of the duty to act specifically arises may be limited. Therefore, the court's attempt to exclude the legal principle of prior acts and derive guarantor status from employment contracts can be said to be sufficiently reasonable. In addi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dut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risk that could lead to a fire can be derived from the contents of the employment contract, each of the defendants committed a punitive omiss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 to the occurrence of the fire can be confirmed for each of these omissions. Therefore, the conclusion that each of the defendants is ultimately guilty of committing misfire does not seem logically problematic. However, the target judgment is very disappointing in its expression. The ‘act’ of carelessly throwing a cigarette butt was not the subject of judgment in the first place, but this point is not clearly expressed and the conditions for establishing a crime of omission and a crime of negligence are simply explained in parallel, causing confusion as to what legal principle is being discussed. Furthermore, it focuses on the expression ‘simultaneous presence of common negligence’. However, on the surface, this case appears to have been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negligent acts. Therefore, this expression creates the illusion that the Supreme Court was trying to establish a legal principle contrary to Article 19 of the Criminal Act regarding common negligence. This type of judgment method, in which the truth of the judgment can only be determined by a scholar who majored in criminal law and carefully analyzes the text of the original trial, is a method that must be avoided by today's judiciary, which needs to further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