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의 구조방정식 모형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가 자녀의 SW교육 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변인을 자녀의 SW 관심도, 부모의 SW정책 인식, SW관련 역량, 자녀의 SW 진로, 자녀에 대한SW교육 의지로 설정하고 SW교육 경험이 있는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SW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의지에 미치는 요인은 자녀의 SW 관련 직업을 매개로 SW관련 정책과 SW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고, 자녀의 SW 관심도는 직접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factors parents have on the SW education willingness for the child. In order to design a structured model, we set the configuration of five variables; child's SW interest, recognition of SW policy, importance of SW competency, child's SW profession and willingness of SW education. We surveyed the parents who their children have SW educ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mediating factors on parental commitment to their child's SW education was recognized SW-related jobs. SW-related job was worked the recognition of SW policy and the importance of SW capabilitie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SW interest of child affected an important independent factor.

      • KCI등재

        디지털 기반 창의협력지능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류미영,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ccelerates the social change, and changes in the school field in line with this are also urgently required. In this study, a digital-based collaboration intellig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utilizes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operate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was designed, and a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A teaching-learning model called ‘Creative Collaboration Intelligence’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wo items that did not meet the standards by conducting expert validity tests on the previously designed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odel, 18 kind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model and pilot classes were applied to 54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was 4.09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class content was 4.11, as high as 4.11.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attitude was 4.08 post-test than the pre-3.83, and the cooperative creative attitude was 3.82 post-test than the prior 3.48.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tool use attitude increased to 4.08 from 3.79 prior.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model for future-oriented innovative education and contribute to nurturing future talents. 지능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회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고, 이에 발맞춘 학교 현장에서의 변화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이 협력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창의협력지능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설계한 창의협력지능 수업 모형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실시하여 기준에 미치지 못한 두 개 문항에 대한 수정⋅보완 작업을 통해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모형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모형을 토대로 초중등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18종 개발하여 초⋅중학교 542명을 대상으로 시범 수업을 적용하였다. 사전, 사후로 나누어 실시한 검사 결과 수업의 만족도는 4.09, 수업 내용의 흥미도는 4.11로 높았으며, 협력적 문제해결태도는 사전 3.83보다 사후 4.08로, 협력적 창의 태도는 사전 3.48보다 사후 3.82로, 협력적 도구 활용 태도는 사전 3.79보다 4.08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모형과 프로그램이 미래형 혁신교육의 모델이 되어 미래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 SW교육을 위한 CT교육 프로그램 개발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1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지만 실제 초등교과와 연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선 수학에서의 CT 적용 방안을 3가지 모델로 설정하였고 CT기반 수학의 수업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긍정적인 만족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 적용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료가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생의 CT능력 신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The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justice and utiliz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with SW education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However, a program ha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actual elementary curriculum is not much.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in applied mathematics based on CT. First, a separated view for a CT Applic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objectives are set in three different application models. In order to achieve the CT-based math lessons, we also hav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 applied the developed materials in class, an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addition to the validation of school applica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professional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ata showed that ar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CT ability as well as the ability to be helpful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 KCI등재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스마트 앱 개발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스마트 앱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 학습 앱을 개 발하기 위해 말하기 듣기의 기초가 되는 반복말하기와 자신의 소리를 녹음하여 듣는 TTS기능을 적용하였다. 개 발된 앱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4개월간 수업에 적용하고 말하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 영역을 검사를 하였 다. 검사결과, 말하기 능력에 있어 4-6학년 초등학생 모두 능력이 신장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smart application for English speaking effectively. First, to develop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we applied the TTS feature to record your own sounds and learning theory repeated listening and speaking that is the basis of English learning.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we applied a lesson to elementary students for 4 months. In the test result, we found that all students have advanced to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the test results of the affective facto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most student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상징물 명칭의 현황과 명칭 표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류미영,장영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1995년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자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라 한다)는 다른 지자체와 구별되는 상징이 필요했고, 자신만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투어 상징물을 만들었다. 기업의 상징과 지자체의 상징은 정체성을 표현하는 점은 유사하나, 지자체의 상징은 공공성에 의해 ‘공공상징’이 되고 지자체 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점이 있다. 지자체는 기업 상징물의 개념과 디자인 시스템을 적용해 상징물을 만드는 것에만 급급했을 뿐 유지 관리가 허술한 실정이다. 이는 상징물 명칭에도 완연히 드러나 비슷한 개념의 명칭을 여러 개 표기할 뿐 아니라 전혀 다른 개념의 명칭을 함께 표기하는 사례도 많다. 하나의 상징물을 여러 개의 명칭으로 표기하는 것은 명칭 통일만으로 해결할 수 없고, 상징물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 명칭에 대한 올바른 표기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자체 상징물 명칭 현황을 분석해 문제점을 제기하고, 지자체 상징물 명칭 표기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그니처를 활용한 지자체 명칭 개선안 제안을 위해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기업의 시그니처와 지자체의 시그니처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상징물의 형태학적 분류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통해 시그니처의 형태학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였다. 연구 범위는 지역적 범위, 상징물의 범위, 사용자의 범위로 나누었다. 지역적 범위는 지자체 간 같은 위계를 비교할 수 있는 지자체 홈페이지로 정하고, 광역자치단체(경기도)와 기초자치단체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경기도 지자체 홈페이지 32곳을 분석 대상으로 정했다. 사용자는 상징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으로 나누되 관리자(지자체)의 관계도 고려하였다. (결과) 경기도 지자체 상징물 명칭은 상징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이나 없는 사람 모두에게 체계적으로 보이지 않아 혼란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상징물 명칭 혼동은 단순히 명칭의 혼동이 아니라 상징물의 혼동이다. 지자체의 상징물 명칭이 혼란스러운 제일 큰 이유는 지자체가 상징물을 잘못 관리하고 있기 때문으로, 관리자가 상징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상징물에 대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취득 정보의 질적 수준이 달라지는 등 관리자와 사용자는 관계가 깊다. (결론) 경기도는 상징물 명칭 표기 방법이 다양하고 도, 시, 군을 포함하는 지역 특성이 명칭에도 담겨 있으며, 전문 지식이 있는 사용자나 없는 사용자 모두에게 혼란스럽다. 비슷한 개념의 명칭을 여러 개 표기할 뿐 아니라 전혀 다른 개념의 명칭을 함께 표기하고, 직접 노출된 명칭이 여러 개이거나 직접 노출된 명칭과 간접 노출된 명칭이 다른 사례도 많았다. 특히 CI나 BI는 상징물 디자인 개발 단계에 시그니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그니처의 일부 명칭만 표기하거나 직접 노출과 간접 노출로 나누어 표기해 혼란이 가중되기 때문에 시그니처를 활용한 지자체 상징물 명칭 표기로 사용자나 관리자가 상징물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tarting with the 1995 local elections, the government needed symbols distinct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Compared to the corporate symbol, the local government's symbol is a ‘public symbol’ by its public nature, and there is a difference that affects all members of the loc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was busy making symbols by applying the concept and design system of corporate symbols, and the maintenance is poor. This is clearly shown by symbol names, and not only are multiple names with similar concepts displayed, but often a completely different name appea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tatus of local government symbols and raise questions, an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name of local government symbols. (Method) This study elici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rporate signature and the local government signature through a preliminary study of the proposal for improving the local government name using signatures, and examined the morphological components of the signature through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The research scope was divided into regional scope, symbolic scope, and user scope. The regional scope was set as the homepage of the local government that can compare the same hierarchy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and 32 homepages of the Gyeonggi-do local government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The user was divided into those with and without expert knowledge of the symbol, but also considered the relationship of the manager (local government). (Results) It is true that the symbol names of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is confusing because it does not appear systematically to everyone who has or does not have expertise in symbols. The confusion of symbol names is not just confusion of names, but confusion of symbols. The main cause of confusion in the names of local government symbols is poo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managers and users are highly related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acquired depending on managers. (Conclusions) Gyeonggi-do has various symbol nam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confusing users with or without expertise. In addition to many names of similar concepts, names of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were written together, and the names of direct exposure were often different or directly or indirectly. In particular, despite the CI or BI's signature during the symbol design development phase, only some names in the signatures are displayed or separated by direct or indirect exposure, adding to the confusion, which needs to be improved.

      • KCI등재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생의 소프트웨어 이미지 분석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가진 이미지를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의 항목은총 35쌍의 소프트웨어 이미지 형용사를 선정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주요인으로 구분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간 SW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소프트웨어를 어렵고 복잡하게 여기며 느리고 갖고 싶지 않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기 인식의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에 대해잘 안다고 인식할 경우 소프트웨어에 대한 긍정적인 용어를 선호하고 있었다. 학년간 분석에서 고학년이 될수록소프트웨어를 어렵고 복잡하며 소프트웨어의 객관적인 특징에 대한 답변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교육이 정규교과로 안착되는데 필요한 방향을 안내하였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Software image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elementary students. We have selected the items in a total of 35 pairs of test about software-related image adjectives and are categorized into 7 main factors, and then analyzed the entire image with the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oftware images of sex, the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software is complex, slow and difficult and do not want to have. The analysis of the self-awareness on the software, the students who know that well recognized for the software select the positive term for the software. The inter-grade analysis are the older grade students were the answer to the objective features of the software like more difficult and complex.

      • KCI등재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deep learning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 group of experts was discussed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he model of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deep-learning teaching method based on CT element-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subject of the developed program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recognition CNN algorithm, and we have developed 9 educational programs.  We applied the program over six weeks to sixth graders. he test of learning suitability for the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the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Expert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the minimum CVR value was more than .56. The fitness level of learner level and the level of teacher guidance were less than .80, and the fitnes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media above .96 was high. Although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due to the unfamiliar mater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 can be applied through the approach of using the unplugged CS that was implemented in the existing SW educat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Students gave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average of 4.0 or higher on the understanding, benefit, interest, and learning materia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딥러닝 개념 학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전문가 그룹 토의를 진행하여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위한 준거를 세웠다. 프로그램의 모델은 CT요소 중심 모델을 토대로 딥러닝 교수학습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주제는 인공지능의 이미지인식 CNN알고리즘으로 정하고, 9개 차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6학년을 대상으로 2주간에 걸쳐 적용을 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적합도 검사는 전문가들의 타당도와 학습자 만족도 설문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분석 결과 최소 CVR값이 .56이상을 넘어 타당하게 나왔다. 학습자 수준 적합도와 교사 지도 수준의 적합도 문항의 경우 .80이하로 나타났으며 .96이 넘은 학습 환경과 매체의 적합도 문항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낯선 소재로 인해 교사들이 어려워하기는 하지만 기존 SW 교육에서 실시했던 언플러그드 CS 활용의 접근법을 통해 수업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참여는 적극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인공지능 학습의 이해도와 유익성, 흥미도, 학습자료 등에 대해서 평균 4.0이상을 보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인공지능 교수학습자료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의미분별법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

        류미영,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최근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이미지 형용사 23쌍을 추출하고 인식과 감성, 능력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827명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하여 이미지 요인을 편리성, 기술진보성, 인간친화성, 우려성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검사결 과 초등학생들은 인공지능이 똑똑하고 새로우며 복잡하지만 신나는 뚜렷한 이미지를 나타냈다. 변인별 비교에서 여학생, 코딩 경험 학생과 고학년이 인공지능에 대해 우려하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반면 인공지능의 관심과 인식이 높은 학생이 인간 친화적이고, 편리하고, 기술 진보적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zed by elementary student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First, we extracted 23 pairs of image adjectives related to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d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related to recognition, emotion and ability and 827 elementary students were examined. Imag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convenience, technological progress, human- friendliness, and concern. As a result, they showed a clear imag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clever, new, and complex but exciting. In comparison with variables, female students, coding experience and older students though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as more human-friendly and technological progressive.

      • KCI등재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류미영,한선관,Ryu, Miyoung,Han, SeonKwan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이해와 교육적 영향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3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등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AI의 인식이 적었고 교육의 필요성도 낮았다. 선도학교 운영 여부에 따라 AI교육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였다.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SW교육 연수 경험과 교육 지도 경험이 많을수록 AI의 이해가 좋았으며 교육적 필요성이 높았다. 본 연구 자료가 향후 SW 교육이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al effect, and necessity in education.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we developed questionnaires with expert advice. W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15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AI' perceptions of female teachers were lower than those of male teacher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as less. Teachers with experience in leading schools recognized that AI education would help to improve creativity. Teachers who have a lot of teaching experience, many experience in SW education, the experience in SW education have a high interest in AI and understand the relevance of the subject.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direction of SW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