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라영안 ( Ra Young-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높은 성적을 유지하는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교에서 두 학기 이상 평균 평점 4.0/4.3 이상인 대학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업 성취 촉진 요인과 학습전략을 질문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하여 전사한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정리한 결과, 학업 성취 대학생의 학업성취 촉진 요인으로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동기화전략, 조절전략의 4개의 영역이 도출되고 각 영역별로 맥락적 노트필기, 시연을 통한 예습복습, 세밀한 시간관리, 적극적인 대인관계,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유연한 사고의 8개의 중심내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이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학업성공 요인을 지각하고 그들의 학습전략이 성공적인 학업성취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이 학업 최우수 대학생의 학습관련 생활태도 및 습관을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학습전략을 반영한 학습 프로그램을 구상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Korean top level college students’ academic success. To address this aim, 45 Korean students, all juniors in their Bachelors of Arts, who earned a GPA of above 4.0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What factors relate to your good GPA?” a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s to good GPA?” Student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the 4 categories and 8 concepts of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top level students among high achievers’ excellent GPA were found. Identifying these factors can be useful for college students, faculties, and higher education administrators in providing a helpful guide that will maximize the chances that college students will be successful.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라영안(Young-An Ra),김혜민(Hye-Mi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소명과 하위요인(초월적 부름,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에 거주하는 대학생 19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소명의 수준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와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진로장벽은 전체 진로소명 및 그 하위요인(초월적 부름,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준비행동과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하였을 때, 전체 진로소명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사이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소명의 하위요인들의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진로소명의 하위요인 중 목적과 의미만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and its subdimensions(transcend summons, purpose and meaning,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college students. For this aim, 191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levels of career barriers, career call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assessed. We utilized SPSS and Hayes(2013) Process Macro tool to analyze the data. As results, career barrier showe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call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areer calling in tota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on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for each subdimensions of career calling, showed that only purpose and meaning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founding from the research, we proposed the implication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상태에 대한 잠재계층 분석

        라영안(Young-An Ra),김원호(Won Ho Kim),김경은(Kyung-Eu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상태에 따라 어떠한 하위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 각 하위 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으로는 나이, 성별, 학점, 전공계열을 적용하였고, 진로변인으로는 진로타협과 진로 스트레스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45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상태는 성숙, 유예, 유실, 미성숙의 네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집단 분류에 대학생들의 개인특성 변인과 진로변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 간의 비교에서 가치타협이 높을수록, 그리고 흥미타협이 낮을수록, 성숙한 진로의사결정 상태의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과 이를 위한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number of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ir demographic and career variables on those profiles. We employed age, gender, year of college and major field for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stress for the career-related variables. For the current study, final sample included 458 Korean college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d four latent profiles which were mature, moratorium, foreclosure, and immature status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when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levels of value compromise and lower level of interests compromise, they are more likely to be placed in mature status of career decision making. With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 offer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해외귀국 대학생의(TCK)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라영안(Ra, Young-An),김혜정(Kim, Hye Jeong),김향미(Kim, Hya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해외귀국 대학생(Third Culture Kids: TCK)이 대학에서 겪고 있는 학습경험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 3년 이상 거주한 후 본국으로 돌아온 해외 귀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에서의 학습경험 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결과를 전사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 해외귀국 대학생의 학습경험은 학습동기,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습방법, 선호하는 학습 환경, 국내와 해외의 학습차이, TCK 학습자가 겪고 있는 학습곤란, 이렇게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학습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학습방법은 도움구하기, 경험학습, 그룹학습, 시연, 적절한 환경 만들기, 구조화로, 학습환경은 교수법, 과제, 평가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국내외 학습차이는 경험주의학습과 교과중심학습, 학습자중심학습과 교 수자중심학습, 집단학습과 개인학습, 이해학습과 암기학습, 국내외의 학습, 교육, 능력 차이로 범주와 되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언어,교수와의 관계, 교우관계, 평가방식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해 외귀국 대학생이 겪고 있는 학습경험에 대해 탐색하고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of Third Culture Kids in Korean Colleges. To address this aim, TCK, who had lived in foreign countries over three years and came back to Korea, were interview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regarding learning experience in Korean colleges. We us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analyzed the data and as a result, their learning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to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preferred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 in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included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contained seeking for help, experiential learning, group learning, demonstration, creating proper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ed thoughts. Preferred learning earning environment included teaching strategies, assignments, and evaluation. In addition, difference in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contained experiential vs curriculum based learning, learner vs teacher based learning, group vs individual learning, understanding vs memorization, and difference in learning, teaching and abilities. Finally, difficulties in learning included languag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lationship between peers, and evaluation methods. At the end, implications for assisting TCK students we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라영안 ( Young-an R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 그리고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려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유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우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한국인 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나이, 성별, 미국 내 거주기간이 그들의 우울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냈다. 즉, 한국인 유학생의 나이가 많을수록, 여학생일수록, 미국 내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을수록 우울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정중심, 정서중심, 회피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우울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유학생의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For this aim, 182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who currently living in the U.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s results of the study,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gender, length of stay in the U.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of Korean intranational students. In other words, Korean intranational students, who are older, female, and living relatively shorter period of time in the U.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lso, emotion-oriented coping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Korean intranational students. At the e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대학생 진로 타협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김경은(Kyung-Eun Kim),라영안(Young-An Ra)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진로 선택 과정에서 현재 선택한 진로가 기존에 바라던 진로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타협의 정도를 측정하는 ‘대학생 진로 타협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국내외 진로 타협 척도를 찾아 번안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문항을 추가하여 18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17문항을 선택하였고, 197명의 대학생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295명의 새로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가치, 흥미, 사회적 지위)이 적합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진로 만족도, 진로 스트레스 검사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확인해 본 결과, 척도 전체가 좋은 내적 일치성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진로 상담 연구 및 실제에서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career compromise scale’. The aim of developing the scale was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levels of compromise when they make their career decisions. On 6 pre-items which were developed by Creed and Gagliardi(2014), 12 items were added to consider the Korean context of career compromise. After item analysis, 17 of 18 items were selected. As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i.e. value, interest, social status) was the best structure. The results support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by making correlations with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stress scales.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also supported, thus we found that career compromise scale was acceptable. At the end, we offer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해 교원들이 인식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탐색

        김동일(Dong Il Kim),라영안(Young-an Ra),이혜은(Hye Eun Lee),금창민(Chang Min Keum),박소영(So Young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실시 될 예정인 자유학기제를 시작하고 적용해야하는 교사들을 돕기 위해, 자유학기제 사전 준비 과정에서부터 시작단계, 즉 스타트업 디자인에 초점을 두어, 교장, 교감 및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유학기제를 정착시키기 위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자유학기제의 정착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제 운영학교와 미운영학교의 교장, 교감, 그리고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촉진요인은 학교 수준과 교실 수준의 2개의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체험 인프라 구축’이 가장 일반적인 요인으로 나타났고, 교실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가장 필요한 요인이었다. 저해요인으로는 학교 내 요인과 학교 외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었는데, 학교 내 요인으로는 ‘담당 교사의 업무 증대’, ‘예산 부족 및 편성의 어려움’, ‘미운영 교사의 이해 부족’,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학교 외 요인으로 ‘체험 인프라 부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교사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연수’, 학부모 측면에서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학생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오리엔테이션’, ‘수요조사사전실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후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o help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the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ilitating factors, risk factors, and needs for conducting the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To address this aim, 21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cluding presidents and vice president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What facilitating factors are needed for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and “What are the risk factors that prevent the successful ree-semester program?” Participa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As a result, the two categories of the facilitating factors, school factors and classroom factors, were identified. They dealt with issues such as infrastructure development, financial issues, effe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restructuring of curriculum. In addition, two categories for the risk factors, inside of school factors and outside of school factor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d developing infra, financial issues, and difficulties of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Lastly,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 free semester programs in the immediate future, three categories were found for needs of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teachers aspect, students aspect, and parents aspect. These needs involved effective training for teachers, active engagement of parents, and students orientations. Identifying these factors can be useful for teachers as well we students who need to experiences free-semester program. In the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혜민 ( Kim Hye-min ),라영안 ( Ra Young-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발달을 이해하기 위해 전공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공계열과 비이공계열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은 이공계열과 비이공계열에서 차이가 있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은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이공계열과 비이공계열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이공계열과 비이공계열을 나누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결정성, 편안성)에 따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공계열 학생들은 진로결정수준의 결정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고, 비이공계열 학생들은 진로결정수준의 결정성과 편안성 모두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진로상담 및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논의와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STEM or non-STEM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nd comf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with the samp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lso,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decision level (decidedness and comf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ese aims, we collected 315 data from 4-year colleges in South Korea. We used SPSS22.0 and Process Macro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major, bu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Second, both STEM group and non-STEM group’s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Lastly, the results of STEM group showed that decided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non-STEM group showed that decidedness and comfor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ed useful intervention to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김경은(Kyung-Eun Kim),라영안(Young-An 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대학생이 진로결정 만족감에 이르게 되는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고자 인지적 요인(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행동적 요인(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정서적 요인(진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전국의 10개 4년제 대학의 재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주요변인들 간의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과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나 진로만족이 높고,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진로만족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나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을 통제했을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만족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진로준비행동 촉진에 초점을 두고 상담 및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factor(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havioral factor(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motional factor(career 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impa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atisfac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For this aim, 294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were measured. Uni-variate, bivariate, and hierarchical mult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Baron and Kenny(1986)’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This means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ould be able to lead higher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hen demographic variables(age, gender, grade, major field) were controlled, we found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We offered implications that to lead the higher levels of caree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t would be important to focus on increasing their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