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의 효율적 개정방안

        도중진(JoongJin Toh)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論叢 Vol.23 No.1

        1953년 제정된 형법은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을 일신하고 민권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제7장 : 제122조~제135조)를 규정하였으나 1995년 제3차 일부개정에 의한 벌금형의 도입, 벌금액의 조정 및 표제변경 등 이외에는 변함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에 대하여는 학계 및 법조계에서의 다양한 논의(해석론적 ․ 입법론적 측면)가 꾸준히 전개되어 왔지만, 정부당국의 입법론적인 측면에서의 논의는 1992년 이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법무부의 형법개정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중에 특히 형사특별법의 정비와 관련하여 “특정 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의 형법전으로의 편입과 관련한 개정 논의 또한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법론적 쟁점인 ①직무유기죄 규정의 재구성 여부, ②피의사 실공표죄 규정의 재구성 여부, ③공무원의 책임가중규정의 재구성 여부, ④사법 권의 진정한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법왜곡죄 규정의 도입여부, ⑤불법체포등치사 상죄 및 진술강요목적의 가혹행위에 관한 규정의 신설 여부, ⑥뇌물죄의 법정형 상향조정 및 공무원 이외의 자에 대한 처벌의 확대 ⑦징역형 및 금고형의 단일 화, 자격정지 병과규정의 삭제여부 등을 1992년 및 2011년 형법개정법률안과 주요국의 입법례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의 효율적인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egislated in 1953 with the base of totalitarianism and civil rights in defined crime on civil servants’ duty(§ 122~§ 135), criminal law has not been changed without adjustment and alternation of amount of fine. Since there has been a diverse discussion(interpretation and theory of legislation) of academic world and legal circles on crime on civil servants’ duty, government’s discussion on it could not happen since 1992. Lately, Ministry of Justice has been striving for revising the Criminal Law with the incorporation of Additional Punishment Law on Specific Crimes to Criminal Law. So,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that ① Abandonment of Duties reconstitutes or not, ②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reconstitutes or not, ③ Aggravation of civil servant’s duty reconstitutes or not, ④ introduction of distorting law for real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reconstitutes or not, ⑤ Death or Injury caused by Unlawful Arrest and Cruel Act for forced statement, ⑥ increasing of statutory punishment on Acceptance of Bribe and expansion of punishment except civil servant’s reconstitutes or not, ⑦ Suspension of qualifications imposes together or not.

      • KCI등재

        범죄피해자 진술조력인제도의 실효화방안

        도중진(TOH JOONG-JI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2

        아동이나 장애인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경우 그들의 가장 취약한 문제인 의사소통과 가해자의 이름, 피해날짜 등 특정사항에 대한 기억력 등의 제약으로 형사사법절차에서 공소유지와 유무죄 판단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들의 특성으로 제2차 피해를 경험하기도 한다. 아무리 강력한 처벌과 다양한 제도라도 방어능력이 취약한 아동이나 장애인의 경우에는 여전히 수사 및 재판과정에서 그 보호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인식 아래 2013년 12월 19일부터 성폭력범죄 피해 아동 및 장애인의 진술조력인제도가 실시되었다. 진술조력인제도는 진술의 신빙성을 높여 실체적 진실발견에 기여하고, 피해자의 제2차 피해를 방지하며, 범죄의 실체를 파악하여 범죄자를 빠짐없이 처벌함으로써 정의를 실현하고 범죄의 예방효과를 촉진하여 사법정의 실현에 기여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진술조력인제도는 법률규정상 제2차 피해 방지보다는 원활한 조사에 초점을 두고 운영될 뿐만 아니라 그 적용대상 범죄피해자에 비해 진술조력인의 부족으로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진술조력인제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는 진술조력인의 역할이 제2차 피해방지임을 명확히 조문화하고, 중립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와 선정취소 등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으며, 진술조력인의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여 진술조력인의 수요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양성함으로써 제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There could be not only problems of maintenance of prosecution but also problems of the Second Victim because child of sexual violence or the disabled of sexual is hard to remember the offender’s name, date of crime and some descriptions. Even though there could be stronger punishment and diverse system, the child or the disabled could not be protected enough in investigation and trial. Under circumstance-recognized, testimony aider for child of sexual violence and the disabled of sexual violence was carried out since Nov. 19 in 2013. Testimony Aider System could find of substantial truth by raising reliability and protect the Second Victim and contribute the criminal justice and do justice by punishing the criminal. Testimony Aider System can run for smooth investigation not for the Second Victim, but some questions could be raised because of lack of Testimony Aider to Victim. To run the Testimony Aider System efficiently some effective solutions could be needed. Testimony Aider’s role stipulates for protecting the Second Victim. Restrictions on neutral duty violation and selection cancellation also should be needed. The range of application should be widen and budget should be also necessary enough for need of Testimony Aider, by minimizing the disorder and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자의 인권제고 실효화 방안

        도중진(TOH JOONG JIN),정영훈(JEONG YEONG HUN) 한국피해자학회 2016 被害者學硏究 Vol.24 No.2

        Recently, violent crime in school is increasingly reduced. However,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there is no institutional apparatus and effective investment institutions that it is possible to find the help victim(student) substantially easily approached at the time of the school violence situation. If effective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school violence students, especially offender denied the perpetrators fact itself, to reject the payment of medical expenses or if offender admit perpetrators fact and there is not enough of the ability to pay, the cost of treatment is so as to give a great deal of mental and economic pain the victim students, and suffer from The Secondary Damage going to be consequences. By this, to respond quickly to an early stage through the effective reduction of protection measures of victim(student), to return the victim to a normal school life and academic, human resources, which are limited to the treatment and protection of damage student the placed, is necessary to protect the victim(student). Under such recognition, I consider in the center of the provisions on the “Violent Crime in school Measures Law”,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protection measures of damage student on the laws and regulations, as the actual remedies in human rights for the victim of violent crimes in school mandatory provisions of the protective measures request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the need to ensure the professional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effective of the provisions of economic assistance to the victim(student), the prohibition of offender(student)’ contact and threatened retaliation,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other victim(student), activation scheme of cooperation system with the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