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문법 대조 - 격 표지와 어미를 중심으로 -

        도정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본 연구는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와 어미를 대조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러 연구에서 만주어 문어와 시버어의 대조가 시도되었으나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대조는 시도된 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대조는 두 언어의 관계를밝히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시버족이 1764년에 현재 중국 서부에 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으로 이주하여 이후 두 언어 간의 접촉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면 그 공통점은 1764년 이전부터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격 표지의 경우, 만주어 문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의 유사성보다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격 표지의 유사성이 더 크다. 특히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탈격 표지는 만주어 문어의 탈격 표지와 큰 차이를보이고, 공동격 표지는 만주어 문어에는 없고,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에만 있다. 어미의 경우, 만주어 구어와 시버어 구어의 동사 어미들은 종결 어미, 분사 어미, 부동사 어미 등 3범주로분류되며 만주어 문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각 어미에 따라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만주어구어에서는 영형태 어미가 명령문뿐만 아니라 의지를 나타내는 문장에도 쓰일 수 있다. 그리고 만주어 구어의부동사 어미는 극도로 단순화되어서 -me/-m이 동시 관계 접속문뿐만 아니라 계기 관계 접속문에서도 출현하게 되었다. 시버어 구어의 경우 만주어 문어와 만주어 구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분사 어미 -maɣə/-mak와 부동사 어미 -maχ의 존재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by contrastive analysis of case markers and verb endings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In case of case marker, there is more similarity between case marker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than case marker of Written Manchu and Spoken Sibe. In particular, the ablative markers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Written Manchu. And the comitaitve marker does not exist in Written Manchu, but only in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In the case of verb ending, the ending system of Spoken Manchu and Spoken Sibe consists of sentence-final ending, participle ending, and converbal ending.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Written Manchu.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detail depending on each ending. In Spoken Manchu, zero form ending can be used not only for imperative sentences but also for sentences that indicate will. And the converbal ending of Spoken Manchu is extremely simplified, so -me/-m has a variety of functions. Spoken Sibe is characterized by having participle ending -maɣə/-mak and converbal ending -maχ which do not exist in Written Manchu and Spoken Manchu.

      • KCI등재

        만주어 복합 시제 형태 분석 - 만주 - 퉁구스 언어의 복합 시제 형태와 관련하여

        도정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4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at Manchu compound tense forms –HAbi, –HA bihe, and –mbihe are analyzed as the form ‘V-Aspect+bi-Tense’. The cross-linguistic order of tense, aspect, and mood morphemes is Verb > Aspect > Tense > Mood. This study examines the order of tense, aspect, and mood in Manchu-Tungusic languages, and survey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gative forms of Manchu compound tense. Based on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se processes, I argue that the Manchu compound tense forms –HAbi, –HA bihe, and –mbihe are analyzed as –HA+bi, –HA+bihe, and –mbi+bihe. This can be formalized as ‘V-Aspect+bi-Tense’. In Manchu-Tungusic languages, the existential verb bi- is used in the form of ‘V-Aspect+bi-Tense’. The verbal ending in front of bi- expresses the aspect, and the verbal ending attached to bi- expresses the tense. Applying these grammatical phenomena to Manchu, –HAbi, –HA bihe, and –mbihe are analyzed as –HA+bi, –HA+bihe, and –mbi+bihe. 본 연구는 만주어 문어 자료에 나타나는 복합 시제 형태 –HAbi, –HA bihe, –mbihe가 ‘V-Aspect+bi-Tense’로분석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범언어적으로 시제, 상, 서법은 동사 > 상 > 시제 > 서법 순으로 실현된다. 본 연구는 만주어가 속한 만주 – 퉁구스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시제, 상, 서법 순서의 특성과 만주어 복합 시제 형태의 부정형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만주어 복합 시제 형태 –HAbi, –HA bihe, –mbihe가 각각 –HA+bi, –HA+bihe, –mbi+bihe로 분석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것은 ‘V-Aspect+bi-Tense’와 같이 형식화할 수 있다. 만주 – 퉁구스 언어들에서는 존재 동사 bi–를 이용하여 ‘V-Aspect+bi-Tense’ 형식으로 시제와 상을 함께 표현하는 경우가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 경우에 bi–의 앞에서 실현되는 어미는 상을 표현하고, bi–에 붙은 어미는 시제를표현한다. 이러한 문법 현상을 만주어에 대입하여 보면 –HAbi, –HA bihe, –mbihe가 만주 – 퉁구스 언어에서시제와 상이 우언적으로 표현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각각 –HA+bi, –HA+bihe, –mbi+bihe로 분석될 수 있음을알 수 있다.

      • KCI등재

        만주어 첨사 nikai와 의외성의 관계

        도정업 한국알타이학회 2019 알타이학보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Manchu particle nikai shows mirativity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nikai and defining the meaning of nikai. In previous studies, nikai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word. The studies that recognized nikai as an independent grammatical word were Uehara (1960) and Seong (1971). In Uehara (1960) and Seong (1971), the function of nikai was described as emphatic confirm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function of emphatic affirmation is related to mirativity which is the core of the concept of realization. From a distributional point of view, nikai is used only in a statement, whereas ni can be used both in a question and a statement. Semantically, nikai could indicate something someone did not expect. This feature is related to the nature of mirativ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chu particle nikai can perform the function of mirativity. 본 연구는 만주어 첨사(particle) nikai의 분포를 ni와 대조하여 검토하고 ni와 kai의 의미를 논의하여 nikai가 의외성을 표현하는 단어임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nikai는 독립된 문법적 단어로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nikai를 독립된 문법적 단어로 본 연구는 上原 久(1960)와 성백인(1971)이다. 이 연구들에서는 nikai의 기능을 ‘강조적 확언’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이 ‘강조적 확언’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기능이 ‘깨달음’이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하는 의외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滿文老檔』, 『金甁梅』, 『三國志』, 『滿漢西廂記』 등 네 문헌에 나타난 nikai의 분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nikai를 구성하는 ni와 kai의 의미 분석을 시도하여 nikai가 기대하지 않았던 어떤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nikai는 최근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의외성과 관련한 의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만주어 내포문에 나타나는 seme의 문법적 지위

        도정업,정한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9 No.-

        Manchu seme has been previously analyzed as a quotative particle, due to the fact that it often appear with quotative clauses. However, seme may apear with non-quotative clauses as well, as pointed out by 河內良弘·清瀨義三郎則府(2002) and Gorelova (2002). In this paper, we present on argument for the claim that seme is a complementizer head of an embedded clause. The argument is based on the observations that all instances of seme involve embedded clauses, appearing to the immediate right of the embedded clauses, and that the embedded clauses that appear with seme are always finite CPs, as they are tensed, assigns nominative case, and may be interrogative. 지금까지 만주어 연구자들은 seme를 인용문에만 나타나는 단어로 파악하고, 인용 조사나 발화/인지/지각동사의 보문을 표시하는 보문소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seme는 河內良弘·清瀨義三郎則府(2002)와 Gorelova (200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용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동사구 내포문에서도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 논문에서 설명한 seme의 여러 가지 역할과 본 연구에서 발견한 seme의 역할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seme가 내포문 전반의 보문소(complementizer head)로 기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결국, 본연구는 seme가 나타나는 내포문이 정형성을 지닌다는 점과 내포문 내에 의문문이 올 수 있다는 점에서 seme 내포문이 보문소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seme가 언제나 보문소구 내포문의 오른쪽에 인접하여 나타난다는 점을 근거로 seme가 보문소구 내포문의 핵인 보문소라고 주장한다.

      • KCI등재

        만주어 -reo의 문법화

        도정업 한글학회 2024 한글 Vol.- No.343

        본 연구는 -reo에 모음조화가 적용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서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reo가 명령 또는 요청을 표현하는 문법 형태소로 문법화되는 과정에 있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reo의 용법은 명령 또는 요청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rA가 추측과 의도를 표현하고, o가 의문 첨사이기 때문에 두 문법 형태소가 결합하면 상대방의 의도를 물어보는 의미에서 명령 또는 요청의 의미가 파생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reo를 -rao/-reo/-roo로 실현되는 것으로 파악하지만 실제 문헌을 보면 -rao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reo가 실현된다. 즉, -reo는 모음조화가 적용되지 않는 형태이다. 만주어에서 –rA와 o를 결합한 것은 언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의문문을 통하여 공손함을 갖추어 명령을 표현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인 대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수 있는 -reo의 용법은 명령 또는 요청일 것이다. 따라서 -reo는 명령 또는 요청을 공손하게 표현하는 문법 형태소로서 파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문법화 원리에 대응시켜 보면 -reo는 의미적으로 축소되어 명령 또는 요청을 표현하게 되었고, 음운적으로 축소되어 모음조화가 적용되지 않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reo는 문법화 원리에 따라 문법 형태소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reo functions as a grammatical morpheme expressing commands or requests. To achieve this, a detailed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phenomenon in which vowel harmony is not applied to -reo.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reo expresses commands or requests. -rA represents speculation or intention and o serves as a question particle, so combining them creates commands or requests.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reo can be realized as -rao, -reo, or -roo. However, the -reo forms do not have vowel harmony. -reo is used to express polite commands through questions. -reo is most commonly used in general conversation to express commands or request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reo is a grammatical morpheme that politely expresses commands or requests. In other words, -reo was semantically reduced to express commands or requests and phonologically reduced to remove the need for vowel harmony. In conclusion, -reo was grammaticalized as a morpheme according to the grammaticalization principle.

      • KCI등재

        만주어 구어 원망법 어미 변화의 한 양상 —시버어 구어와 대조적 관점에서—

        도정업 한국알타이학회 2020 알타이학보 Vol.0 No.30

        This study argues that the optative ending -ki has merged with the imperative ending -Ø in consultant’s Spoken Manchu. Written Manchu’s optative ending –ki appears in horative or imperative sentences, as well as statement of speaker’s will. In Spoken Manchu, ending -Ø appears in those sentence types, instead of -ki. In case of Spoken Sibe, –ki is used only to express speaker’s will, while both -Ø and –ki may be used in horative or imperative sentences. Ja/je and je shows the same distribution, except for following condition; ja/jə of Spoken Manchu comes after ending -Ø while je of Spoken Sibe appears after ending –ki. By these two linguistic phenomena, it can be argued that -ki of Spoken Manchu has merged with ending -Ø.

      • KCI등재

        비논항 성분에 붙은 만주어 명사화소 -ngge의 기능 — 滿文老檔의 용례를 중심으로

        도정업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unction of the Manchu nominalizer -ngge attached to non-argument components. In general, components with -ngge are either arguments or predicates in a sentence. However, there are examples in which the components with -ngge are non-arguments. This usage is productive enough to account for 19% of the use of -ngge of Manwenlaodang, which is the material of this study. Non-argument components with nominalizer -ngge appear in five types. These five types of usage all show what they are talking about and they are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entence.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Thus, the non-argument component with -ngge is likely to function as a topic in the sentence, and -ngge can be considered to function as a distinguishing marker. 본 연구의 목적은 비논항 성분에 붙은 -ngge의 주된 기능이 화제로기능하는 비논항 성분을 다른 성분들과 구별하여 주는 것임을 밝히는것이다. 일반적으로 -ngge가 붙은 성분은 문장 내에서 논항이거나 서술어이다. 그런데 -ngge가 붙은 성분이 비논항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용법은 본 연구의 자료인 滿文老檔 의 분사 어미에 연결된 -ngge의 용례에서 19%를 차지할 정도로 생산적으로 쓰인다. 명사화소 -ngge가 붙은 비논항 성분은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5가지 유형의 용법은모두 어떠한 대상에 대해서 말을 하는지를 보여주고, 문두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은 화제의 특성과 일치한다. 따라서-ngge가 붙은 비논항 성분은 문장 내에서 화제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때 -ngge는 화제인 비논항 성분을 다른 성분들과 구별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 KCI등재

        계량적 방법을 통한 만주어 동사 어간과 어미의 결합 분포 연구 『삼역총해』(三譯總解)에 나타난 부동사 어미 ‘–me, -fi, -ci’를 중심으로

        도정업,정성훈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verb stems and converb endings -me, -fi, and -ci that combine with them. This study closely analyzes the aspect of the verb stem that is combined with the converb ending -me, -fi, and -ci shown in Samyeok Chonghae (a Manchu-Korean book) by using a quantitative method. Of the total 19 ending types, there are 8 converb endings. Among them, the frequency of converb endings -me, -fi, and -ci combined with the verb stem accounts for 98% of the total. Verb stems combined with -fi have high mobility, transitivity, or cognition. In particular, achievement verbs/accomplishment verbs in Manchu show a high association rate with -fi. This shows that -fi is strongly related to successiveness. In the case of -me, this ending has a strong tendency to combine with state verbs, verbs with lower mobility or lower transitivity, and emotion verb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 function of -me is to indicate simultaneousness. When the combined verb is a cognitive verb, -ci often indicates the meaning of cognition. In other cases, -ci indicates a condition.

      • KCI등재

        종결형으로 쓰인 만주어 분사 어미 –rA의 기능

        도정업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22 언어학 Vol.- No.9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Manchu participle ending -rA, which is used as the sentence ending form, shares the functions of expressing conjecture and intention with dere. In Manchu, -rA indicates the intention of the first person subject regardless of the tense in the declarative sentence. Also, in interrogative sentences, -rA can denote intention of the second person subject, and in embedded sentences, it can express intention of the third person subject. However, in interrogative sentences, it generally indicates the meaning of conjecture regardless of the person of subject.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 of dere, -rA and dere usually show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and express conjecture and inten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distribution, the combined distributions of -rA and dere show a distribution quite similar to -keyss- in Korean. In conclusion, -rA can be regarded as an ending indicating the meaning of conjecture and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