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환기 미디어 생태계에서 시즌제 콘텐츠의 의미

        노창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6

        디지털 대전환 환경에서 플랫폼 환경의 다변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플랫폼 간 콘텐츠 수급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영상산업 시장이 가진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콘텐츠 제작사와 OTT와 같은플랫폼 사업자들은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오랜 기간 이용자의 관심을 묶어 둘 수 있는 시즌제 콘텐츠 제작을 늘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국내에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는 시즌제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산업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고 의미를 도출하였다. 시즌제 콘텐츠 가지고 있는 산업적인 의의는 플랫폼의 다변화에 대응할수 있다는 것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플랫폼의 다변화는 콘텐츠 수급의 어려움을 높이는 한편, 방송, 영화, OTT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갖춘 사업자에게는 콘텐츠 간 연관성을 극대화할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시즌제 콘텐츠는 이러한 측면에서 플랫폼 다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형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시즌제 콘텐츠는 이미 시즌제에 대한경험과 호감도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에게 소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형식이다. 한편, 시즌제 콘텐츠는 문화적으로 대중문화의 기본적인 특성인 ‘차이와반복’의 역학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대중문화가 본격적으로 산업화 과정을 겪은 이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익숙하지만 새로운’ 형식의 문화상품이 필요하다는 것이 논의되어 왔고, 시즌제 콘텐츠는 대중문화의 이러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시즌제 콘텐츠는 이용자의 도구적 시청과 팬덤을 형성시킬 수 있는형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시즌제 콘텐츠는 비시즌제 콘텐츠와 달리 장기간 동안 팬덤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는 산업적으로는 부가수익 창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하고 문화적인 관점에서는 몰입할 수있는 문화적 소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넘어 팬 사이의 연대를 형성할 수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diversification of the platform environment in the digital chargingenvironment is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content supply and demandbetween platforms is intensifying, and as a result, uncertainty about investment,one of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industry market, is increas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content producers and platform operators suchas OTT are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seasonal content that has relativelylow risk and can bind users' attention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theindustrial and cultural meanings of seasonal contents, which are more popular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ir meanings were derived. The industrial significance of seasonal content is that it can respond tothe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and reduce risks. The diversification of theplatform increases the difficulty of content supply and demand, while increasing the need to maximize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for operators with variousportfolios such as broadcasting, movies, and OTT. In this respect, seasonalcontent has the meaning of being a useful form that can respond to platformdiversification. In addition, seasonal content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the risk in that it can be appealed to users who already have experienceand favorability for the season system. On the other hand, seasonal content has a cultural meaning in that it showsthe dynamic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which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of popular culture culturally. In other words, since popular culture went through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earnest, it has been discussed that ‘familiarbut new’ forms of cultural products are needed in various aspects, and seasonalcontent can be seen as a form that best shows these characteristics of popularculture. On the other hand, seasonal cont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ormthat can form users' instrumental viewing and fandom. Seasonal content, unlikeoff-season content, can form a fandom for a long time, which is useful interms of industrial additional revenue, and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in terms of forming solidarity between fans beyond that it can be an immersivecultural consumption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 KCI등재

        디지털 대전환기 보편적 시청권 제도 재검토

        노창희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불거진 스포츠 중계권 독점에 따른 시청권 보장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국내 보편적 시청권 제도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관련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쟁점에 대한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국내에서 도입된 보편적 시청권 제도는 국민관심행사 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해외 주요국과 유사하게 몇몇 국민관심행사에 대한 방송 수단을 보장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제도의 명칭이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도입되어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론적인 검토를 수행했으며, 관련 쟁점으로 ‘보편적 시청권 보장의 범주’, ‘방송에서 ‘보편적’의 비용’, ‘금지행위 관련 쟁점’, ‘중계방송권자등 관련 쟁점’, ‘커버리지 관련 쟁점’ 등 다섯 가지 쟁점을 도출하고 각 쟁점에 대한 제도적 개선 방향을 검토했다. 검토 결과 현행 「방송법」 체계에서는 다섯 가지 쟁점 모두 단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 판단되나 미디어 환경변화를 고려할 때 ‘비용’과 ‘커버리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다른 쟁점의 경우 현행 「방송법」 체계에서의 개선을 검토하기보다는 앞으로 이뤄질 수 있는 통합 미디어 법제 개편 시 개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학술적 관점에서 디지털 대전환, 인공지능 환경 등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보편적 시청권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질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domestic universal viewing rights system introduced to cope with the problem of guaranteeing viewing rights due to the monopoly of sports broadcasting rights that has been red since the early 2000s, reviewed related issu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ystem on issues. Similar to major overseas countries where listed event system is in operation, the universal viewing rights system introduced in Korea guarantees broadcasting means for some listed events, but the name of the system has been introduced under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universal viewing right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are being mad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and drew five issues, including “categories of universal viewing rights guarantees”, “universal” costs in broadcasting, “prohibition-related issues,” “related issues such as broadcasting rights holders,” and “coverage-related issues,” and reviewed institutional improvement directions for each issue.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improve all five issues in the short term under the current Broadcasting Act system, but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t is relatively urgent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cost” and “coverage.” In the case of other issues, rather than reviewing the improvement in the current Broadcasting Act system, it is judged that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when reorganizing the integrated media legisl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time to review universal viewing righ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meet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nvironment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