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노종호 ( Jongho Roh ),최진욱 ( Jin-wook Choi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1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선행연구가 특정분야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특정 직무관련 요인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를 순서형 로짓 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을 제외한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업무량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직무스트레스와 업무량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직무관련 요인들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직무만족>직무스트레스>업무량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관련 요인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자율성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제외하고, 직무관련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이직의도 관계, 직무스트레스-이직의도 관계, 업무량-이직의도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관련 의사소통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부(-)의 영향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업무량과 이직의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는 더욱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직무관련 요인과 직무관련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통해 이직의도의 직·간접적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lthough many job-related factors have been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employees,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a few selective job-related factors in specific public organizations. Due to the limited scope of these studies, it has been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ausal effect of job-related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diverse job-related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related communic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in general service using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udy results show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three job-related factor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workload,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gards to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Specifically, while job satisfa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workload show a positive association. Seco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followed by job stress and workload. Finally, job-related communica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turnover intention, job stress-turnover intention, and workload-turnover intention. Whereas job-related communication intensifi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weak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turnover intention and workload-turnover inten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se job-related factors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with varying degree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related communication. Through empirical tests, this study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job-related factors confirming that diverse job-related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related communication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ivil servants.

      • KCI등재

        도덕정책 이슈의 정책과정과 주요 행위자의 프레이밍에 관한 연구 : 양심적 병역거부를 중심으로

        노종호(Jongho Roh)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3

        While past studies on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mainly focused on its terminology and defin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meaning and an alternative service, and its history and movement, there was little attention to efforts to approach this issue in the dimension of public policy. Furthermore, most moral issues including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re related to the value judgement of people, and frame is an important strategical approach to understand it. Accordingly, inquiring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with a frame is a meaningful work.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oretically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with a morality policy framework and to analyze the use of diagnostic framing, prognostic framing, and motivational framing of the general public, persons of religion & religious groups, politicians & political parties, and judicial agencies as major actors of morality policy. As analytical results, these major actors defined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s a diagnostic framing, seek specific solutions and action strategies as a prognostic framing, and used adequate vocabularies stressing the severity and propriety of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s a motivational framing. These results mean that it is possible to approach its policy processes as an another way that differs from a traditional approach providing objective solutions by empirical analyses by trying interpretations and giving different meanings about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through the use of framing.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drives three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 morality policy process by looking at the framing of major actors in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with a morality policy framework. Second. unlike other policy issue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policy processes how to frame them in morality policy issues. Finally, like other morality policy issues, it informs us that the court s ruling is a significant factor raising framing changes in the issue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과거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용어와 개념정의, 대체복무제와의 관계, 그리고 양심적 병역거부의 역사와 운동에 초점을 맞추었을 뿐, 정책학 차원에서 양심적 병역거부 이슈를 접근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그리고 양심적 병역거부와 같은 도덕적 이슈는 인간의 가치판단과 관련되고, 그러한 가치판단은 프레임이 중요한 전략적 접근이라고 볼 때, 양심적 병역거부를 어떠한 프레임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도덕정책 이슈의 하나의 사례로서 양심적 병역거부를 새로운 정책유형인 도덕정책의 이론적 틀에서 고찰하고, 도덕정책의 주요 행위자로서 일반대중, 종교인과 집단, 정치인과 정당, 사법기관이 프레이밍 유형으로서 문제진단적 프레이밍, 처방적 프레이밍, 동기유발적 프레이밍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행위자들은 문제진단적 프레이밍으로서 양심적 병역거부를 정의하고, 처방적 프레이밍으로서 양심적 병역거부의 구체적인 해결책과 행동전략을 모색했으며, 동기유발적 프레이밍으로서 양심적 병역거부의 심각성 또는 타당성을 강조하는 적절한 용어를 사용했다. 이처럼 주요 행위자들이 프레이밍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해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실증분석에 의한 객관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전통적인 접근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양심적 병영거부의 정책과정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양심적 병역거부를 도덕정책의 이론적 틀 속에서 논의하고, 도덕정책의 주요 행위자인 일반대중, 종교인과 집단, 정치인과 정당, 사법기관의 프레이밍 과정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양심적 병역거부의 정책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정책이슈와는 달리, 도덕정책 이슈에서는 주요 행위자들이 이슈를 어떻게 프레이밍 하느냐가 정책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른 도덕정책 이슈처럼, 양심적 병역거부에서도 법원의 판결이 프레이밍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가족친화정책의 이용 경험 및 이용 만족도와 공무원의 조직몰입: 집단 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노종호 ( Roh Jong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3

        그동안 가족친화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거의 구성원들의 개인적 상황이나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고려 없이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획일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가족친화정책의 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미혼 남성, 미혼 여성, 기혼 남성, 기혼 여성)과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무자녀 기혼 남성, 무자녀 기혼 여성, 유자녀 기혼 남성, 유자녀 기혼 여성)으로 분류하여 육아휴직, 직장보육시설, 유연근무 세가지 가족친화정책 이용 경험자들의 조직몰입에 대한 집단 간 차이와 유연근무 이용 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 간 차이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장보육시설 이용 경험 집단 간에는 조직몰입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반면, 육아휴직 이용 경험 집단 간에는 조직몰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보육시설 이용 경험 집단 간 비교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기혼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연근무 이용 경험 집단 간에 조직몰입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높았고,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무자녀 기혼 남성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유연근무 이용 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혼인상태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기혼 남성 집단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반면, 기혼 여성 집단은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 유무에 의한 성별 집단에서는 무자녀 기혼 여성 집단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반면, 유자녀 기혼 여성 집단은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groups by single or married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of public employees who utilized child care leave, day-care facilities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satisfaction levels of the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se groups. For this study, I utilize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20. In the study, I find three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First,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groups who utilized day-care facilities, there was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groups who utilized child care leav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groups who utilized flexible work arrangements. Specifically, while married men groups among single or married groups have the highest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men groups without children among with or without children groups have the highest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impact of satisfaction level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while married men groups among single or married group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women groups had the weak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married women groups without children among with or without children group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ried women groups with children had the weakes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노종호 ( Jong Ho Roh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4 정부학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낙태정책사례를 통해 도덕정책과정의 영향요인인 시민의견과 시민단체, 종교세력, 정치 적 요인, 이슈 현저성, 정당경쟁이 낙태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민의견과 시민단체는 다른 방식으로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발견했다. 즉, 낙태를 반대하는 시민들은 조직화된 집단이나 단체를 결성하여 낙태정 책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낙태를 찬성하는 시민들은 낙태를 반대하는 세력이나 집단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종교세력은 집단차원에서는 종교적· 윤리적 이유로 낙태정책을 강력하게 반대하지만, 개인차원에서 낙태에 대한 종교의 영 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적 요인의 영향은 미약하나, 개인 차원에 서 국회의원들이 낙태관련 법률안을 발의하거나 입법화함으로써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 친다. 넷째, 낙태문제에 대한 이슈 현저성이 높았던 2009년과 2010년에 국회에서 낙태 관련 법률안의 발의가 많았고 관련 법(모자보건법)의 일부개정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슈 현저성이 2010년 정부의 ‘불법 인공임신중절예방 종합계획’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 로, 정당경쟁이 낙태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었다. 그러나 정당경쟁 이 비교적 강했을 때, 낙태관련 법률안의 제정 또는 개정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정당 경쟁과 낙태관련 법률안의 제정이나 개정을 통한 낙태정책 간에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 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도덕정책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낙태정책사 례를 통해 도덕정책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첫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oretically morality policy as a new policy typology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citizen opinions and groups, religious forces, political factors, issue salience, and party competition on abortion policy in South Korea. I find several significant results in this study. First, citizen opinions and groups have important impacts on abortion policy with different ways. That is, citizens against abortions have an effect on abortion policy as forming organized citizen groups themselves, whereas those for abortions have an influence on the abortion policy as responding to forces or groups who oppose abortions. Second, while religious forces at the aggregate level desperately oppose abortion policy due to religious or ethical reasons, it does not seem that religion at the individual level has an impact on abortion policy. Third, the influence of political factors is weak, but Congressmen at the individual level have an influence on abortion policy by legislating or proposing bills related to abortions. Fourth, issue salience had an impact on comprehensive abortion policies presented by national government in 2010. Finally, I am not sure whether party competition influences abortion policy or not. But, I indirectly can infer that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party competition and abortion policy because bills related to abortions are passed when party competition is strong.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is the first article that introduces morality policy and analyzes its applicability with a case of abortion policy in South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공무원 인사평정 제도와 개인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국회 사례를 중심으로

        노종호 ( Jong Ho Roh ),최진욱 ( Jin Wook Choi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2

        이 논문은 국회 행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4급 이상 공무원에 대한 인사평정체계의 적정성을 진단하고, 인사평정체계가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회 인사평정체계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구성원의 동기부여, 사기진작, 성과향상뿐만 아니라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사평정제도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의 과정이자 도구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인사평정제도가 이 같은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과, 직무역량, 직무태도가 고르게 평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평정방식에 있어서도 객관성·중립성·공정성을 유지해야 하며, 평가결과도 다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평정구조, 내용, 절차에 대한 분석에서 현행 국회의 인사평정체계는 적절성이 낮아 원래 제도가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국회 피평정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아울러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사평정체계의 적절한 설계·운영이 개인의 특성보다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행 국회의 인사평정체계는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diagnosing the relevance of the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PAS) toward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n the National Assembly, analyzing the impacts of the PAS on the performance of appraisees and their unit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PAS structure and operations. Assuming that the PAS can increase work motivation, morale and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it is an integral part of managing human resources at the organization level. For the PAS to function properly, it must be designed to assess not only appraisees` performance but also their competence and attitude, maintain objectivity, neutrality and impartiality in the appraisal process, and make multi-purpose use of appraisal results. The current PAS of the National Assembly shows low relevance in the aspects of structures, contents, and procedures, which hampers it from functioning properly and being fully utilized. Such limitations are also supported by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high-ranking appraisees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empirical analysis purports that a properly designed and operating PAS rather than the individual attributes of appraisees can greater enhance both individual and unit performances, which in turn suggests that the current PAS of the National Assembly needs overall restructuring.

      • KCI등재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 Roh Jong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1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주로 사조직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또한 그러한 연구가 다양성의 어느 한 차원만을 가지고 수행되었기 때문에 다양성의 전반적인 차원을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rrison, Price, &Bell(1998)이 제안했던 다양성 유형을 적용하여 가시적(visible)이고 명백하게 드러나는 생물학적 특성의 다양성을 표면적 다양성(성별, 연령 다양성), 비가시적(invisible)이고 구성원 간 심리적 특성의 다양성을 심층적 다양성(가치관, 문화적 인식, 지식 다양성)으로 유형화하여 다양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구청)에 근무하는 팀장을 대상으로 팀 단위 설문조사를 통해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적 다양성보다는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더 큰 설명력과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적 다양성 변수 중에서는 연령 다양성, 심층적 다양성 변수 중에서는 가치관 다양성과 문화적 인식 다양성이 팀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문화적 인식 다양성(β=.470), 가치관 다양성(β=.312), 연령 다양성(β=.09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양성은 표면적 다양성만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회귀분석에서는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심층적 다양성을 포함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와는 달리, 지식 다양성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impacts of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n private organizations,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team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surface-level and deep-level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sample of teams within distric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esults wi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 found three important research results. First, I found that deep-level diversity had stronger impacts on team performance than surface-level diversity. Second, age diversity, value diversity, and cultural awareness divers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 and cultural awareness diversity among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it. Finally, unlike my expectation, gender diversity and knowledge-based diversity did not show s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team performance.

      • 사파이어 웨이퍼용 다이아몬드팁 스크라이빙가공 최적화연구

        노홍구(Hongkoo Roh),임경빈(Kyungbin Lim),노종호(Jong-Ho Noh),이영기(Youngki Lee),고준빈(Junbin Ko),양순철(Soonchul Yang)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The study aims to analyzed and identify the diamond tip process of LED scribing for sapphire wafer. Especially,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width of diamond tip was performed. The parameter of width of diamond tip were used in the cases of 2㎛, 4㎛, 6㎛ and 8㎛. The scribing form and depth were investigated in the pictures and graphes. The optimum value of the width of diamond tip was given as a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