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이주 중국여성의 어머니 됨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노은하,송주은 한국모자보건학회 2017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becoming a mother after childbirth of Chinese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Ten Chinese immigrant women were recruited from multi-cultural center in the metropolitan are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July 2015 to May in 2016. Interview was conducted until the data were theoretically satura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collection,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bin and Straus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In total, 36 concepts were produced through the analysis, and similar concepts were combined to derive 16 categorie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is analysed as ‘becoming culture integrating mothers’. The attainment process from this procedural approach are described as cultural intimidated stage, cultural conflicting stage, cultural cooperating stage, cultural integrating stage. There are three types of ‘becoming cultural integrating mothers’, integrating type, conflicting type, and intimidated typ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cultural sensitive education and consultation program for helping becoming a mother in each type of the Chinese immigrant women in Korea. In addition, nurse or nursing studen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ultural sensitivity is also needed.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accessibility among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노은하,Kim-Roh Eunha 한국보건간호학회 2000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14 No.1

        뉴욕시 정부의 이민자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대상자간에 언어적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상호협조의 어려움은 계속되고있다. 본 연구는 뉴욕시 보건국 소속 다민족 다문화 계층의 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시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뉴욕시의 한국 이민자들이 뉴욕시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의 의료시설 이용 및 서비스 수혜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 이민자들의 문화적 배경과 그로 기인한 건강 신념을 알고자하는 시 정부 차원의 요구가 이 연구의 배경이다. 즉, 한국이민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뉴욕시 정부 관련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그 이해를 높여서 한국 이민자들의 미국에서의 의료서비스 수혜의 기회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기초 관련 연구가 전무한 한국 이민자들의 건강관련 이슈를 다루기 위해 미국 센서스와 병원 입퇴원 기록 현황에 나타난 한국인 혹은 아시안의 의료보장 실태 등을 고찰하였고, 한국이민사회의 주요 기관의 대표들과의 면담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주요 언어$(83\%)$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의 동화율이 낮았고, 낮은 문화 동화율은 의료 서비스 접근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 보험이 없는 것$(55\%)$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미국 직장에 적응하기 어려운 이민생활로 자영업을 주로 하는 생활 양태가 비싼 사 보험(private health insurance)을 사지 못하는 요인과 관련되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주로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의 종류에도 많은 제한점이 있어서, $60\%$가 한국인 의사를 선호하며, $31\%$가 한국인 약사에게 건강관리를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사회의 의료 서비스 접근도는 극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 접근을 막는 주요 장벽으로는 비싼 의료비 $(53\%)$ , 의사소통장애$(37\%)$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위해 주로 이용하며 생활의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한국어 신문$(69\%)$과 한국어 TV$(61\%)$, 한국어 라디오 $(57\%)$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이민자들에게 좀더 나은 의료 서비스 수혜를 위해서는 문화 친밀도가 높은 의료환경 조성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일 등과 함께 한국 이민자들이 의료보험을 살수 있도록 한국어로 된 의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 DAVRID 다중스레드 구조에서 비정형적 자료 구조에 대한 자료 병렬성의 극대화

        김흥환,노은하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5 응용과학연구 Vol.4 No.1

        Even with introduction of new computational models and improvements in processor speeds, the memory system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achieve comparable performance of computer systems. Especially the existence of shared global data may cause a considerable performance degradation in parallel comput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xploit data locality by distributing data structure and scheduling computations according to the distributed data.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 parallelism scheme in nonstrict data structures for a multithreaded architecture DAVRID. We suggest a data parallel programming language, DAPID(DAta Parallel ID), which is an extension of parallel programming language Id. In a bundle.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is mechanism, we also suggest a new structure and a new scheme of tag manipulation in nonstrict data structures.

      • 비정형적 자료 구조의 효율적인 접근을 위한 묶음 읽기 기법

        노은하(Eun Ha Rho),김흥환(Heung Hwan Kim),한상영(Sang Yong Han) 한국정보과학회 199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2 No.12

        새로운 계산 모델의 도입과 프로세서 속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기억장치 시스템은 여전히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특히 공유되는 전역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기억장치 시스템은 병렬 계산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병렬 컴퓨터 시스템에서 공유 자료 구조에 대한 접근의 지역성 및 효율성은 성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함수 언어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비정형적 자료 구조인 I-구조에 대한 접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자료 모델을 제시한다. 전역 기억장소의 비정형적 자료 구조로부터 한 번에 몇 개의 값을 읽어오는 묶음 읽기 기법을 제안하고, 묶음 읽기를 위한 두 가지 루프 그래프 분할 기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묶음 읽기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비정형적 자료 구조의 새로운 태그 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Even with new computational models and improvements in processor speeds, the memory system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achieve comparable performance of parallel computer systems. Especially sharing global data in parallel computing may cause a considerable performance degradation. Therefore, efficient handling of shared data structures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enhancing performance of parallel computer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ata model for efficient access to I-structures, which are non-strict data structures proposed for alleviating limitations of functional languages. We provide a mechanism to read several elements of an I-structure in a bundle from the global memory into the local memory of each processing unit, and design two different partitioning schemes of loop graphs for data bundling. Also, we devise a new tagging scheme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is bundling mechanism.

      • KCI등재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부모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노은하(Eun Ha, Roh),송주은(Ju Eun, Song),우한나(Han Na, Woo)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0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모를 위한 맞춤형 부모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활용한 유사실험연구로, 36개월 ~ 72개월 이하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중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다. 대조군의 연구대상자는 2019년 6월 이후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맞벌이 부부 20쌍, 총 40명이 될 때까지 모집하고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실험군의 대상자는 2019년 8월부터 선착순 20쌍(40명)의 부모를 모집하여, 맞춤형 부모적응증진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2주후(2차 조사), 4주후(3차 조사) 반복측정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맞벌이 부모의 적응증진프로그램 제공여부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부모양육효능감의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맞벌이 부모를 위한 교류분석 이론의 정서적 중재를 강화한 효능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parental adaptation promotion program for working par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e study design is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research. Among dual-income parents with children betweeen 36 and 72 months old, who met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The study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3 data collection institutions to 20 pairs(40 people) since June 2019, and conducted 3 surveys. After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ruited from August 2019 to the experimental group. Off-line and online customized parent adaptation promotion education was provided, and repeated measurements were made after 2 weeks (2nd survey) and 4 weeks (3rd survey) after trai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parenting efficacy was analyzed by ANOVA, and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timing of education (F=8.032,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nhancement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emotional intervention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 KCI등재후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맞벌이 부모의 초기양육경험의 내러티브 탐색

        노은하(Eun Ha Roh),송주은(Ju Eun Song),김문선(Moon Sun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을 내러티브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기초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맞벌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7쌍의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1) 상호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결속력 있는 부모로 성장 중, 2) 조부모 의존적인 양육으로 부모는 경제적인 역할에 치우쳐감, 3) 부부 대화 능력 및 시간 부족으로 가정불화가 커지고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협함, 4) 부모로 준비되지 못해 전문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맞벌이 부모의 성공적인 부모됨과 긍정적인 양육경험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부모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자녀돌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교육뿐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증진을 도모하는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parenting experiences of dual-income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narra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it was carried out to develop dual-income parental adaptation program to cope with low birthrate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July to December 2018 from 7 pairs of dual-income parents of children aged 6 years or under. The Followings are the meaning of early-parenting experience of dual-income parents, 1) Dual-income parents grow to cohesive parents through complementary communication, 2) Grandparent-dependent parenting causes parents inclined toward providing economic support primarily, 3) The lack of talks and time between husband and wife exacerbates family disagreement and threatens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4) They require professional parent education and resources because they have become aware of their lack of preparedness as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by experts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parenting of dual-income parents and positive early-parenting experience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education that provides integr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child care, the parental adaptation promotion program to promote productive and matur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s needed in the future.

      • 한국이주 중국여성의 어머니 됨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노은하 ( Eun Ha Roh ),송주은 ( Ju-eun Song ) 한국모자보건학회 2017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becoming a mother after childbirth of Chinese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Ten Chinese immigrant women were recruited from multi-cultural center in the metropolitan are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July 2015 to May in 2016. Interview was conducted until the data were theoretically satura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data collection,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bin and Straus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In total, 36 concepts were produced through the analysis, and similar concepts were combined to derive 16 categorie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is analysed as ‘becoming culture integrating mothers’. The attainment process from this procedural approach are described as cultural intimidated stage, cultural conflicting stage, cultural cooperating stage, cultural integrating stage. There are three types of ‘becoming cultural integrating mothers’, integrating type, conflicting type, and intimidated typ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cultural sensitive education and consultation program for helping becoming a mother in each type of the Chinese immigrant women in Korea. In addition, nurse or nursing studen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ultural sensitivity is also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