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미래사서의 역할 및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안인자,최상기,Noh, Young-Hee,Ahn, In-Ja,Choi, Sang-K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교과목, 현장 사서들의 미래기술 응용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해외대학 교과목 조사 및 설문조사방법을 통해서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시대에 요구되는 신규과목은 '웹정보원 조직 및 관리실습', '도서관 기획.마케팅 및 평가', '디지털 장서관리를 위한 정보기술이해', '디지털시대의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위 교과목을 핵심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신규교과목 요인분석 결과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영역 및 웹정보자원의 조직과 활용 영역이 문헌정보학의 새로운 세부학문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그 외 관종별 및 담당업무별로 요구하는 과목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propose and develop library science courses required in the digital age by investigating overseas LIS courses and surveying field librarians. Such courses must help the future librarian develop familiarity and skill with emerging technologies. As a result, required courses in the digital era were found to be: 'Design and Management of Databases', 'Library Planning, Marketing, and Assessment',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in that order, and should therefore be offered as core courses. In addition, 'Servic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Users' and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Web resources' were derived. The study also recommends different required courses based on different librarian types and duties.

      • KCI등재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노영희,오상희,Noh, Young-Hee,Oh, Sa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인터넷사용량의 증가,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CHI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CHI와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공공도서관 사서(소비자건강사서)의 역할, 그리고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CHI 서비스 내용 등을 규명하고자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 CHI 장서 및 정보원 개발, 2) CHI 참고서비스, 3) CHI 이용자 교육, 4) CHI 취약 계층에 대한 서비스, 5) CHI 아웃 리치 프로그램 개발, 6) CHI 협력체계구축 등이며, 각각의 서비스 개발에 대한 현황과 관련 사례를 제시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및 국외 나라들의 서비스를 위주로 조사했지만,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growth of people's use of the Internet as well as interests in health, people's needs of health information have rapidly increased in public libraries.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about users'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to support these user groups. In the current study,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erving users with health information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CHI) services availabl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s for the CHI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can offer for users, the current study emphasizes and discusses the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following six approaches: 1) CHI collection and information resource building, 2) CHI reference services, 3) CHI us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4) CHI services for minority/disability/cultural diversity groups of users, 5) CHI outreach program development, and 6) CHI network development with medical libraries, academic libraries, hospital,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Although most of the discussion in the current study centers on cases and services provided in the United States or other countries, findings would be use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to design and develop CHI services in Korea.

      • KCI등재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4

        대학도서관 자료의 전문화, 세분화된 학술정보자료의 공동수집 및 공동이용은 대학 내 연구의 활성화와 대학간 다양화, 특성화, 지역화를 추진하게 할 것이다. 이것은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대학도서관의 특성화, 차별화 정책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체계를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협력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주제 또는 지역별로 형성된 각종 협의회를 중심으로 주제별 특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Joint collection and sharing of specialized academic resources among academic libraries will not only promote academic research at universities in general but also further diversification and concentration process of academic libraries. For that both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make concerted policy efforts to for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academic library. This study proposes two concrete plans to build a n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pecialized resources of academic libraries. One is to utilize the existing cooperative network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as a national hub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the other is to activate various regional or subject-based committees to encourage subject-oriente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 현황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Despite much recent researches on career development or career movement, research on domestic librarians' career development are rar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movement of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as one aspect of research for librarian workforce. This study surveyed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and analyzed the following points; age of first job, initial type of career, age when they became the director. Factors affecting career move, career paths, working years by career steps, the number of changing department before director, training opportunities for manager, and so on. This study also analyzed what kinds of efforts they exerted to become a director. The result showed 45.1% of respondents made an effort to increase knowledge and skills, 23.6% undertook an effort to improve their honesty and gain their integrity, 12.8% underwent an effort to increase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efforts in about the library. Through analyzing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public library directors, we can find the ideal path for career development to become a director of public libraries. 경력개발이나 경력이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서직계에서만은 경력개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의 한 분야로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이동 및 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현직 공공도서관 관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부분에서는 입직시 연령, 경력출발유형, 최초로 관장이 된 시기, 경력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직장이동경로 및 경력단계별 근무년수, 관장이 되기까지 바꾼 부서의 횟수, 교육훈련의 기회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가 도서관 관장이 되기까지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설문에 응한 현직 관장은 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해 45.1%가 지식과 능력개발을 위하여 노력하였다고 응답하였고, 23.6%가 정직과 성실성 향상 등 인성관련 노력을 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서관에 대한 적성과 자기관리 노력을 하였다는 응답자도 12.8%나 되었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과정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한 경력개발과정을 발견하고 이상적인 경력개발 경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소기업에서의 하이퍼웨이브를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1996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27 No.2

        본고에서는 기술정보를 관리할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재정적인 이유와 조직구조상의 문제로 정보관리실이나 정보관리담당자를 둘 수 없는 중소기업이 낮은 비용으로 기술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업무의 중복을 피할 수 있고 기술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은 차세대 웹 브라우저로 등장하고 있는 하이퍼웨이브를 기술정보관리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하이퍼웨이브는 어느 누구나 기술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둘째, 하이퍼웨이브를 이용하여 기술정보를 관리할 경우 정보자료의 입력, 수정, 삭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하이퍼웨이브 시스템은 관련된 문헌 혹은 이미지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링크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검색기법을 제공한다. 다섯째, 하이퍼웨이브는 가격이 저렴하고 기업의 특성을 살려서 기술정보를 조직할 수 있다. The article presents the method that medium enterprises could manage technical information effectively. There are some merits in using the next generation Web brower, HyperWave as 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irst, it makes anyone else to manage the technical information easily. Second, if he could manages the technical in-formation by using HyperWave, he can input, modify, and delete information effectively. Third, HyperWave system can creat the link to connect the related documents or images. Fourth, it provides various retrieval techniques. Lastly, HyperWave system can organize technical information at a low cost.

      • KCI등재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인식 및 효과성 측정연구

        노영희,권재현,Noh, Young-Hee,Kwon, Jae-Hyun 한국문헌정보학회 200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2006년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의해 지원받은 학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함과 동시에 활성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학교 현장의 애로 사항 및 문제점 등을 조사 분석하고 있다. 또한 2005년에 사업지원을 받은 학교도 위와 같은 설문조사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업 시행 후 1년이 지난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사업성과를 측정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론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한 후 그 만족도는 어느 정도 높게 나타나는지를 밝혀내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llenges faced by the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2006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so as to incorporate them in the next year's plan, which is the last year of the phase one of the project, as well as in designing the phase two. By doing so, it seeks to contribute to enhancing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HRD), the Republic of Korea. The second segment of the research consists of the pub)ic survey in 1,281 project schools(2005) and 1,098 project schools(2006) to assess overall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e target group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of school inspectors, principals, teachers, school librarians, and students.

      • KCI등재

        국내외 국가도서관 납본절차 분석을 통한 납본업무의 합리적 운영방안 도출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0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0 No.4

        한 국가의 모든 출판물은 인류의 정신문화유산으로 각 국가도서관은 각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출판물을 수집 보존해야 하며, 그것을 지원하는 강력한 법적 장치가 납본제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도서관 납본법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중에서 납본보상 여부, 미납본에 대한 제재조치 여부, 미납본의 경우에 대한 과태료 징수 절차, 구체적인 납본절차 등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도서관의 납본율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납본업무의 자체 수행, 납본지원시스템의 개발, 납본부서의 신설, 납본 부수 및 납본 보상의 개선 등이 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시맨틱검색엔진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이 크고 데이터의 규모도 상당한 도서관에 일반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 및 검색엔진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총 세 개의 지식베이스(트리플 구조 온톨로지, 의미거리기반 의미망지식 베이스, 키워드중심의 도치색인파일)를 구축하였고, 이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세 개의 검색엔진(추론 규칙기반 제나검색엔진, 개념기반 검색엔진, 키워드기반 루씬검색엔진)을 구축하였다. 시스템 성능평가 결과, 종합적으로 개념기반 검색엔진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온톨로지기반 제나검색엔진, 다음으로 일반 키워드 검색엔진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ggested knowledge base and search engine for the libraries that have the largescaled data. For this purpose, 3 components of knowledge bases(triple ontology, concept-based knowledge base, inverted file) were constructed and 3 search engines(search engine JENA for rule-based reasoning, Concept-based search engine, keyword-based Lucene retrieval engine) were implemented to measur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concept-based retrieval engin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llowed by ontology-based Jena retrieval engine, and then by a normal keyword search engine.

      • KCI등재

        공공도서관에서 소비자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사서의 인식 조사연구

        노영희,오상희,Noh, Young-Hee,Oh, Sa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국내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CHI 서비스 현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CHI 서비스 개발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공도서관이 CH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CHI 관련 참고서비스 경험 및 제공빈도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공공도서관에 서 CHI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1) 국내 공공도서관은 건강관련 서적이나 의학저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CHI 관련 웹사이트 정보원을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의 비율은 5% 정도의 매우 낮은 비율이었다. 2) CHI 참고서비스 제공비율은 조사대상 도서관 중 30%에 지나지 않았다. 3) 국내 공공도서관의 82.1%가 CHI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4) CHI 관련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공공도서관의 비율이 82.1%나 되었다. 5) 국내 공공도서관 중 CHI 관련 아웃리치 프로그램 제공비율 및 CHI 관련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비율은 약 20%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CH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관련 연구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results of surveying public librarians can contribute to clearly identifying the status of CHI(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and to exploring future developments in CHI serv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currently Korean public libraries are offering CHI services, whether or not they provide CHI reference servic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use, and analyzed librarian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Korean public libraries to provide the CHI servic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70% of Korean public libraries are equipped with health-related books and medical journals, but the rate of libraries that are building CHI-related websites was very low at 5%. 2) The rate of providing the CHI reference services was only 30% of the surveyed public libraries. 3) 82.1% of public libraries did not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HI. 4) 82.1% of public libraries did not provide CHI-related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5) The rate of providing the CHI-related outreach programs and collaborating with CHI-related institutions was no more than about 20% each. These research findings can induce public librarians to provide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nd will contribute to activate the CHI-related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노영희,고영선,Noh, Young-Hee,Go, Young-S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3

        웹상에서 유통되는 정보자원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류 유산으로 후세에게 물려주기 위한 웹 아카이빙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 사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수많은 웹 자원 중 수집 및 보존의 가치가 있는 웹 자원을 선정하기 위한 선정지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국내외 웹 아카이빙 선정지침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OASIS를 위한 선정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웹 자료에 대한 정의, 용어정의, 수집기본원칙, 수집방법, 수집주기, 구체적인 아카이빙 대상자원 선정에 대해서 개선 내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수집대상자료에 대해서 대폭적으로 개선 내용을 제안하였으며, 웹 아카이빙 선정제외자료에 대한 제안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방법과 온라인 자료 납본과의 관련성, 선정대상자료에 대한 목록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협력형 아카이빙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Internet resources is indisputable, therefore many national institutions have created Web archiving projects to hand down this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The selection guidelines are the most crucial aspect of these projects because they aid in differentiating which resources are worth collecting and preserving from the large number of web resources avail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OASIS Selection Guidelines by analyzing the selection guidelines of oth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 archiving projects.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Web archiving projects abroad, we proposed improvements for the definition of Web data and other term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llection, collection methods, and collection cycle. Second, we proposed substantial improvements in the target resources for archiving, and also stated what kind of web resources must be excluded from Web archiving. Finally,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legal deposit of online resource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 database for selected target materials,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archiving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