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노연희(Rho, Yeon-Hee),이상균(Lee, Sang-Gyun),박현선(Park, Hyun-Sun),이채원(Rhee, Chaie-W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이 어떤 구조적 특성을 지니며, 이런 특성에 따라 사회적 연결망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을 사회적 지지를 받는 대상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지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인식하고 도움을 받는 연결망과 주는 연결망이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눈덩이표집방식을 통해 표집한 결혼 이주여성 53명의 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은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았으며, 연결망내에 중복되지 않는 다양한 연계를 갖는 경우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았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for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ocial supports provided by their social network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upport-giving and support-receiving networks. Ego-centered network analysis is used for collecting network data on fifty-three migrant wives selected by a snowball sampling method.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receiving and giving networks of female immigrants have similarities rather than differences, which implied that they play roles not only as support receivers, but also as support givers in their social networks.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networks" characteristics, such as density and effective size of ego network, and types of suppor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ess cohesive and less redundant ties female immigrants had, the more diverse and more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s they obtained from their social networks. Due to the sampling method and siz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for the whole popul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Korea. However,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of female immigrants" social networks.

      • KCI등재

        사회서비스 공급자간 경쟁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

        노연희 ( Yeon Hee Rh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본 연구는 바우처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실시이후 사회서비스 공급자간의 경쟁기제 도입에 대하여 사회복지사들이 직, 간접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의미단위, 범주 그리고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사회복지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변화에 대한 불안감, 이미 펼쳐진 경쟁에 대한 머뭇거림, 경쟁의 부작용에 대한 걱정, 그리고 경쟁력 강화방안의 모색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묶여졌다. 본 연구는 정책적 차원에서 사회서비스를 둘러싼 장기계획의 수립 및 사회서비스의 공공성과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등 본래의 목적달성 방안에 대한 검토, 개별 공급조직의 차원에서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서비스 이용자의 삶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및 지역사회자원의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voucher system and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e late 2000s, Korea has witnessed the drastic change in social services, emphasizing the use of competitive mechanisms.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current change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Facing the unprepared, but unavoidable change, participants expressed very complicated feelings of denial, reluctance, and constant doubts toward effects brought by competition among service organizations. Also they have been struggling to survive the competitive situation. Futhermore, social workers maintained that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enhance the competitiveness by caring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with warm-hearted mind and an integrative approach to clients. Social workers` experiences told both policy-makers and administrators the importance of a long-term plan, and a control system in order to maintain social service quality and not to lose genuine values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직원의 기부 및 자원봉사참여, 기업사회공헌에 대한 태도, 그리고 조직몰입간의 관계연구

        노연희(Rho Yeon-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본 연구는 조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직원의 사회공헌활동 참여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 및 평가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직원의 기부와 원봉사활동의 수행이 어떤 성과를 거두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본 연구는 국내 한 기업의 300여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원의 기부나 자원봉사와 같은 사회공헌활동 참여는 직접적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직원의 평가를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한 기업의 직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직원 사회공헌활동참여와 성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논의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실천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의 직원참여가 기업에게 대한 몰입 강화라는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직원과 관련된 이러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적절한 사회공헌활동의 수행 그리고 적절한 교육과 홍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intended to explore not only what are the outcomes of employees' participation in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such as donation or volunteering, but also how their participation achieves the outcomes. In general, a specific corporate context is likely to lead employees to take part in corporate philanthropy in involuntary or passive ways. With this characteristics, employees' donation or volunteering at a working place has an impact on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corporate social philanthrop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also assumes that the changes in employees' attitudes have a mediate effe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about 300 employees working at one of corpora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n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staffs' participations in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mediated by employees' assessment and attitudes toward corporate philanthropy. Despite a limitation of the study sample, the study provided both an academic ground to discuss on employees' participation in corporate philanthropy, and a practical ground for corporate leaders to strategically consider how to encourage employees to participate in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and to achieve its goal.

      • KCI등재

        외환위기 전ㆍ후 노동력 유연화와 한국 기업복지제도의 변화

        이수연(Lee Su-Yun),노연희(Rho Yeon-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복지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존 연구들(1990년대 초ㆍ중반)의 전망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외환위기를 전ㆍ후로 한 노동력 유연화의 결과 기업복지는 축소되었으며 비용통제가 가능하고 비용효율적인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도입, 고정비용적이기보다는 성과배분적인 사내근로복지기금출연금의 성장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복지국가 위기 이후 국가복지 축소/기업복지 확대의 경로를 보인 국가들도 있지만 국가복지확대/기업복지 축소의 경로를 보인 국가들도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복지확대/기업복지 축소의 한 경험적 사례로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test whether occupational welfare in Korea would have grown since the mid 1990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the IMF fiscal crisis, the policies of labor flexibility in labor market initiated flexible forms of employer-provided benefits, including cafeteria plan or profit-based funds, which finally led to a decline of occupational welfare rather than a growth. Existing studies haven't agreed on trade-off of statutory and voluntary social provisions since the crisis of welfare state. However, based on the case of Korea, this study suggested archetypal development of welfare system experiencing a decline of occupational welfare paralleled with a growth of state welfare provision.

      • KCI등재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의 내용을 중심으로-

        양성욱 ( Seong Wook Yang ),노연희 ( Yeon Hee Rh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성은 최근의 사회서비스 영역의 시장화 경향하에서 사회서비스가 담보해야 하는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성은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고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의 다의성이나 모호성은 사회서비스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성이 사회서비스의 영역에서 어떻게 논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서비스 전달방식의 시장화라는 현실상황하에서 다양한 서비스 주체에 따라 어떤 내용의 공공성이 요구되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을 서비스 수혜자의 범위, 수혜자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내용의 구성과 규제, 사회통합 등의 사회적 목적 달성,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사이의 신뢰를 포함하는 사회서비스의 대한 신뢰형성, 재정적 책임성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공공영역 그리고 비영리·영리-민간영역 등 각 주체별로 주로 요구되는 공공성의 구체적인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경험적 논의의 기반을 제공하였고, 실천적 측면에서는 비영리·영리 민간영역에서 사회서비스가 본래의 목적달성의 수단으로서 공공성을 적용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publicness be one of the key elements of social services even under the current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Although publicness has been discussed in different ways in various academic areas, there is no consensus of what publicness really means, especially in social services. Therefore, reviewing discussions on publicness,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commonly shared aspects of publicness, and ultimately to suggest meanings of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iscuss whether different types of social service producers require different types of publicness under the context of welfare mix and social service marketization. The publicness in social services is related to various aspects: the scope of service recipients, trust toward social services, appropriate composition of services, social integration,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accountabilit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fic meaning and contents of publicness can be used in different ways for each social service producer, such as public, nonprofit, or profit sector. The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publicness academically and for implementation of publicness in the field of social services practicall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상균(Sang Gyun Lee),박현선(Hyun Sun Park),노연희(Yeon Hee Rho),이채원(Chaie Won R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8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이 지각하는 문화변용스트레스와 문화자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한 조사자료는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459명과 그들의 초등학교 5-6학년 자녀 459명을 쌍체수집한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 (2011) 자료이다.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에 기반한 부트스트래핑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족 아동이 경험하는 문화변용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화자본은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긍정적 자기개념은 문화변용스트레스와 문화자본의 영향을 매개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아동의 적응을 위해 어머니를 중심으로 아동의 교육관련 문화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과 서비스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학교적응에 직접적이고 강력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긍정적 자기개념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다문화가족 아동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의 적응을 위해 문화자본이 기여하는 긍정적 역할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positive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cultural capital, and school adaption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investigate mediation effects,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his study used wave 1(2011)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Welfare Panel Study, which consists of 459 matched pairs of immigrant women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Gyeonggi-do.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showed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but children reporting high level of cultur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In addition, meditation effects of positive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cultur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sufficient cultural capita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a child having high level of positive self concept and having high level of self competence, which, in turn, were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positiv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the context of acculturative process and suggests the need to promote interventions and policies that increase cultural capital and buffer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research topic are discussed for promoting adapt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선 ( Hyun Sun Park ),이채원 ( Chaie Won Rhee ),노연희 ( Yeon Hee Rho ),이상균 ( Sang Gyun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이중언어문화 노출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참여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459명과 그들의 초등학교 5-6학년 자녀 459명을 쌍체수집한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2011) 자료를 원자료로 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가 원활하고, 자녀가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보다 많이 노출되었을 때 어머니의 양육참여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지원서비스가 단순히 취업이나 한국사회 적응에서 필요한 기술일 뿐 아니라 양육참여에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중언어·문화환경이 더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적응에 위험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발달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원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ilingual·bicultural home environment and mother`s command of Korean language on their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s well as o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We carried out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using the 1st year(2011) data of Gyeonggi Education Welfare Panel, which consists of 459 matched pairs of immigrant women and their 5th~6th grade children living in Gyeonggi-do.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the immigrant mother has good command of Korean language and the children are exposed to their maternal culture and language, mothers te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 rearing and this in turn has positive effects on developmental outcomes of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language programs targeting immigrant women by marriage are important not only for assisting their employment and adaptation but also for enhancing parenting behavi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bilingual·bicultural home environment in these families as a significant resource that contribute to their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nd not as a risk factor to their adaptation, as it has frequently been viewed.

      • KCI등재

        비영리 사회 서비스 조직의 재정자원 동원 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연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4 사회복지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의 비영리 사회서비스 조직들이 재정지원을 동원하기 위하여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자원동원활동은 조직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자원동원활동 간에는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의 논의에 따라 자원동원의 영역을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 활동과 관련이 있는 조직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87개의 사회서비스 조직을 포함하는데, 연구표본의 크기와 지역적 한계 때문에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비영리 사회서비스 조직들은 자원동원과 관련된 전담인력 또는 조직 내 다른 인력의 활응이라는 측면에서는 외국의 비영리조직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인력의 활용이 실질적으로 재정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과는 별다른 관계를 지니지 않는다.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자원동원 활동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경적인 자료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what fundraising activities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perform, whethe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and finally, whether fundrais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fundraising domains classified in the study of Hager, Rooney, & Pollak and theoretical assumptions of current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fundraising activities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fundraising activiti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sample, this study analyzed 87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by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fundraising activities of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did not lead to practically and effectively obtain financial resources from various funders in the environment, although they employed professional staff and strategies. This study had implications to provide not only empirical information on fundraising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Korea, but also research ideas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