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연구와 기록관리 상호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본 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노명환(Noh, Meung-ho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1 No.-

        본고에서 필자는 랑케의 역사주의가 무엇이며 그 인식 및 실천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역사주의의 전개와 기록관리 발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포스트모던 담론에 비친 역사주의를 살펴보고 그 비판의 극복 방향과 오해된 측면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역사주의 시대의 기록관리는 무엇이고 패러다임 변화를 꾀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록관리는 무엇인지 성찰했다. 이 가운데서 역사주의 본질을 다시 규명하고 포스트모더니즘과의 상보관계를 미래 지향적으로 모색해 보았다. 특히 랑케와 그의 제자 지벨 그리고 지벨의 제자 레만의 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노력은 역사주의 사상을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과 직결되어 있었다. 역사주의 사상에 의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은 실증사학이었으며 실증사학은 기록관리 발전을 필요로 하였다. 기록관리 발전은 역으로 역사주의 사상의 전개와 실천을 뒷받침해 주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자극을 받아 역사학과 기록학은 패러다임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 양자의 공론장을 통한 만남 속에서 역사주의 실증사학은 오늘날 다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explain the essence of the Ranke's historicism. Ranke established the nation as the unit of individuality of his historicism. So the national history was the essential one for him. Ranke developed the positivistic historical science to realize his historicism based on historical resources. Ranke's historical methods developed the archival management and archives. His positivistic historical science was based on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the historians and archivists. Postmodernism criticized the historicism and the positivistic historical science of Ranke. Postmodernism saw the macro discourse of the historicism based nationalism as the cause of the mankind tragedy in the history. Postmodernism regarded the positivistic historical science as the fabrication. It suggested the theory of 'linguistic turn'.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stmodernism historical science and archival science realized the paradigm shift. The micro history, everyday life history, cultural history, oral history became stream. The archival scientists and archivists developed the 'culturally sensitive archives' and 'community archives'. Now the historical science and archival science of the paradigm shift are able to develop historicism and the positivistic historical science of the new dimension.

      • KCI등재

        유렵연합의 형성과 세계 체제론

        노명환 ( Noh Meung-hoan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1996 EU연구 Vol.- No.2

        Bei dieser Arbeit handelt es sich darum, wie die Theoretiker des “Weltsystems”, z.B. Immanuel Wallerstein die historischen Bedeutungen der Europäischen Integration herausheben. Die Theoretiker des “Weltsystems” betrachten die Europäische Integration als eine politische und wirtschaftliche Maßnahme der europäischen Staaten, in der Konkurrenz der ‘Kemstaaten’ (z.B. die USA, Japan, mehrere europäische Staaten) um die Welthegemonie Herr zu werden. Nach Ansicht dieser Theoretiker ist der Wettbewerb der ‘Kemstaaten’ um die Welthegemonie ein notwendiger Teil der Entwicklungen des Kapitalismus. Daher sehen sie die Europäische Integration als ein Resultat und gleichzeitig ein Symptom dieser kapitalistischen Entwicklungen an. In der Entstehung der Europäischen Union machen sie auf das Krisenbewußtsein und den starken Willen der Europäer aufmerksam, welche durch eine drastische Verschwächung der Konkurrenzfähigkeit in der europäischen Wirtschaft seit Anfang 1980er entstanden sind. Von vielen Überlegungen des aktuellen Standpunktes der Europäischen Integration her kann man doch schlußfolgern, daß sie auf einen richtigen Punkt im Hinblick auf die Ursprünge der Europäischen Union hinweisen. Allerdings fehlt es diesen Theoretikern an einer langfristigen historischen Betrachtung über die Europäische Integration. Nämlich versäumen sie das eigentliche Ziel der Integration, das heute noch zähig verfolgt wird, obwohl es sich immer wieder erweist, schwer zu verwirklichen. Vom historischen Gesichtspunkt her gesehen, lag und liegt das Ziel der Integration an der Etablierung des Friedens in Europa.

      • KCI등재

        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노명환(Noh, Meung-Ho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2 No.-

        1919년에 설립된 독일 제국아카아브 (Reichsarchiv)가 포츠담에 있었고 포츠담은 소련 점령지역, 후에 동독에 속했기 때문에 제국아카이브는 고스란히 독일민주주의공화국 (동독)의 소유가 되었다. 이는 독일에서 국가의 분단과 함께 기록관리 제도의 분단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는데 극히 불평등하게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그리하여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은 제국기록관의 모든 기록들을 상실한 나라로서 출발하였다. 1949년부터 산출되는 정부 기록들을 관리해야 할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한 서독은 1952년 연방 수도 본 (Bonn)에서 가까운 코플랜츠 (Koblenz)에 독일연방기록관을 설립했다. 따라서 이 아카이브는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건국 이후 생산되고 있는 기록들을 이관 받는 작업을 할뿐 그 전의 기록들을 보유하지 못한 채 출발하였다. 서독과 동독의 기록관들은 1961년 베를린 장벽 설치이전까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서독은 어렵게 환수한 기록들 그리고 새로이 수집된 기록들을 토대로 1950년대 말부터 탈나치화 작업을 펴나갔다. 동서독 간에 기록교류를 추진했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함으로써 얻게 된 해방의 공간에서 한국인들은 기록관리 제도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과거의 빛났던 기록관리 전통에 대해서도 무지한 채 당면한 생존과 이념의 격랑에 휩싸이게 되었다. 분단된 상황에서 한국의 지도자들은 정보원으로서 기록이 상대방에게 접수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기록보존에 대해 매우 불안한 생각을 갖게 되었다 즉 한국에서는 기록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앞으로 발생할지 모를 전쟁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했다. 전쟁이 발생할 때에 기록 정보가 적 (북한)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리하여 기록의 폐기 또는 보존기간 축소 그리고 분산 보존이 제도적으로 자행되었다. 독재시대가 또한 기록관리의 장애가 되는 시기였다. 따라서 민주화와 남북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점이 또한 한국의 기록관리가 제대로 발전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었다. The Archives of the German Reich were established at Potsdam in 1919. Between 1945 and 1990 Potsdam belonged to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or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East Germany). S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West Germany) founded Bundesarchiv in Koblenz in 1952. From the late 1950s the returned records and archives which had remained in Germany were used as evidence for investigations against Nazi criminals. The archives of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tried to promote to exchange the dispersed record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tinued to keep the archival practice of the Colonial Chosun Government General. Generally people did not realize well the importance of the archival being in the South as well as in the North. In this backgrou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glected to develop the archival system and the documents were not able to be preserved systematically. Many documents of the colonial era were taken away by Japan and the USA and the Soviet Union. The records of the occupation era by the USA military government were brought to the USA. The people and the new South Korean government were not enough conscious to come to the idea to bring back these documents. Many people carried fears against their activities in the colonial era and tried to abrogate those documents. The investigations against the past evil-doings, namely the decolonializat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archives could not be successful. The Korean War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ccurred in 1950 and lasted for three years. After the war experience, many people tried to abrogate the documents produced during the war. The strongest anti-communism and the extreme hate against the North and the fear for the revival of the war dominated the socie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ame to the even more desperate ideas to preserve the documents dispersed to various regions and possibly abrogate them. The year 1987 signified the time of the epochal transformation towards the democracy of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civil movement to establish an ordinary national central archives and other various kinds of archives started from this period. The people found out the necessity of the archival system to keep the transparent society as the essential basis for the democracy.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e South and North began to develop the earnest dialogues in some sense. The endeavors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elped also the developments of the Korean archival system.

      • KCI등재

        Redressing the Past as a Driving Force for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Solution of the German Question

        노명환(Noh, Meung-Ho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본고에서 필자는 현대사에서 유럽의 과거청산 노력과 유럽통합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측면은 현재의 동아시아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파시즘과 나치즘에 대한 많은 저항 운동가들은 그 근본 원인이 민족주의에 있으며, 이 민족주의가 제국주의와 파시즘을 필연적으로 야기한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유럽에 연구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유럽통합을 구상하였다. 특히, 유럽연방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선각자들이 많았는데 이들이 연방주의자로 불리는 저항 운동가들이었다. 전후에 프랑스의 외무장관 로베르 슈망은 장 모네의 제안을 받아들여 프랑스와 서독이 중심이 되어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설립하고 자 하였다. 이 제안의 목적은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유럽에 평화를 정착시키는데 근본 목적이 있었다. 민족주의 문제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독일문제를 극복하고 자 하였다. 사독 수상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주체적으로 이러한 시대정신을 받아들여 분단된 독일 문제를 해결하고 유럽 전체의 통합을 일구어 내는데 본질적인 목적을 두고 있었다. 독일통일과 유럽연합의 형성은 이러한 과거청산과 유럽통합 그리고 독일문제 해결을 위한 유럽인들, 특히 독일인들의 역사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도 과거청산에 대한 공동의 노력 속에 평화와 공동의 번영을 향한 지역 공동체의 미래를 개척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청산 노력은 민족주의적인 맥락에서 요구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주의를 반성하는데서 추구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Ⅰ tried to make clear the relations betwee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practice of redressing the past in post-WWII Europe. Hereby intend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present-day East Asia with special regard to redressing the past and the building of an 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based on institutionalized perpetual peace. Federalist ideas for European integration emerged from the Second World War with enhanced legitimacy in the face of Nazism. Resistance fighters in Germany against Nazism attributed its rise to nationalism, imperialism, and fascism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conflicts. European Integration found out their driving force in the redressing this past. The purpose of the Schuman Plan was to begin trans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as the first concrete step down the challenging road of what would become fully fledged European integration. This project was the brainchild of the French technocrat Jean Monnet and it had as its historical subtext overcoming the European nationalist past. The West German politician Willy Brandt (Chancellor 1969-1974) pursued redressing the ignominious German nationalist and fascist past and embraced European integration. Via these pursuits he also believed that Europe could overcome the Cold War and Germans their division. Germany was reunited in October 1990 and the whole of Europe began to be integrated on the basis of the emergence of the European Union in 1993. The peoples in East Asia need to redress their respective pasts in the sense of the overcoming of colonialism, empire-building, and nationalism towards maintaining a common peace and shared prosperity.

      • KCI등재후보

        역사를 통해 본 독일의 “국가문화 (National Culture)”와 문화코드

        노명환(Noh, Meung-Ho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4 역사문화연구 Vol.20 No.-

        호프스테드의 정의에 따르면 국가문화는 “한 국가 안에서 성장함으로써 획득하게 되는 정신의 집합적 프로그램” 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그의 국가문화는 부르디외가 말하는 국가적 단위의 ‘아비튀스(Cultural Habitus)’ 개념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호프스테드의 정의에 의거하여 국가문화를 이해하고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독일 국가문화가 형성되었나 하는 점을 추적하고 독일 국가문화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를 이루고자 한다. 독일인들의 가치들이 국가문화의 내용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프로테스탄티즘 윤리를 국민정체성의 근간으로 삼고자 하는 위로부터 아래로의 정책들과 독일 국민들 자신들의 자각과 사회운동들의 결과였다. 이 역사 과정을 통해 높은 질서의식, 강한 준법정신, 조화정신, 전문성, 정확성, 사실성, 완벽주의, 철저한 직업의식, 실용성, 효율성, 높은 사생활 의식등의 문화코드들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결과 이 문화코드들을 토대로 하여 독일인의 의사소통방식을 - 준법정신, 질서의식, 조화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정확성, 사실성, 철저성, 완벽성, 경건성, 심오함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전문성, 근면성, 검소, 직업 소명관, 실용성 그리고 효율성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높은 사생활의식과 의사소통방식 - 준법정신, 질서의식, 조화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정확성, 사실성, 철저성, 완벽성, 경건성, 심오함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전문성, 근면성, 검소, 직업 소명관, 실용성 그리고 효율성의 문화코드와 의사소통방식 - 높은 사생활의식과 의사소통방식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the researches of G. Hofstede the ‘national culture’ means collective program of mentality at the level of national life acquired through growing up in a nation. This view point shows a very big similarity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habitus’ of P.Bourdieux. The author of this article understands the ‘national culture’ by the definition of G. Hofstede and studies the German nation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with applying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ories. German values were settled down as the contents of German national culture owing to the top down policies and bottom up social movements. These intended to make protestantische ethic as the core of national identiy. Through this historical process the following cultural codes came into existence: high rate order keeping, strong law obedience, harmony, professionalism, precision consciouness, perfectionism, high consciousness to job, utilitarianism, effectiveness, strong privacy.57)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author suggests that we can analize German ways of communication systematically by applying the above mentioned German cultural codes.

      • KCI등재

        김대중 화해 사상의 특수성과 보편성 : 이분법의 극복과 ‘다양성 속의 통일’의 변증법

        노명환 ( Noh¸ Meung-ho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0 통일과 평화 Vol.12 No.2

        본 논문은 김대중의 화해 사상을 그가 이분법을 극복하고 다양성 속의 통일의 변증법을 추구한 삶의 철학 속에서 조명하고자 했다. 그의 용서와 화해 사상은 인간과 사회의 본질에 대한 통찰과 그의 종교적 신념 그리고 역사에 대한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그의 평화 상생의 삶의 자세 그리고 정치와 정책의 기본 바탕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그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일관된 신념, 조국의 평화 통일, 세계시민사회,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지구민주주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그의 화해 사상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잘 인지할 수 있다. 그가 감옥에서 독서를 통해 깨닫게 된 당시 도래하고 있는 지식 정보 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쏟아 부은 노력과 대통령이 되어서 실천한 정책들은 참으로 극적이고 감동적이다. 지식 정보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는 초연결 사회는 용서와 화해, 평화와 상생의 사상과 실천 없이는 존립될 수 없다는 것을 그는 깨달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제대로 된 준비와 정책적 실천을 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그가 추구하는 가치들을 명실 공히 실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일관된 그의 화해 사상을 보면서 우리는 그가 지탄을 받으면서도 실천한 현실 정치적 용서의 문제들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Kim Dae-jung’s Reconciliation Thought in pursuit of the dialectic of unification in diversity and overcoming dichotomy. This thesis attempted to highlight Kim Dae-jung’s thought of reconcili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his life in pursuit of the dialectic of unification in diversity and overcoming the dichotomy. His thought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s based on his insight into the nature of man and society, his religious beliefs, and his beliefs in history. These became the basis of the peaceful attitudes in his life, politics and policies.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his consistent belief in freedom and democracy, peaceful reunification of his country, global civil society, and global democracy that pursues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ity. Here we can well recognize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his reconciliation thought. His efforts to prepare for the advent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hich he learned through books while in prison, and the policies he enforced as president are truly dramatic and moving. He realized that a hyper-connected society formed throug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uld not exist without the ideas and practices of forgiveness, reconciliation, peace and coexistence. Thus he strived to make adequate provision and policies, in which he saw that would allow him to practice the values he pursued. Looking at his overall consistent thought of reconciliation, there is a need to grasp the problems of political forgiveness that he practiced despite being blamed.

      • KCI등재
      • KCI등재

        유럽통합 과정에 있어서 문화적 갈등문제와 이문화 이해 증진 정책 : 문화수렴 현상과 공동의 교육정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오랜 역사 동안 유럽 국가들은 고유한 문화체계를 발전시켜왔다. 유럽통합이 이루어지면서 특히 단일유럽의정서에 의한 단일시장의 형성을 눈앞에 두면서 회원 각국의 문화들을 조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이 이 필요성에 화답하는 것이었다. 이 프로그램들은 주로 학생들의 교환 교육 또는 공동의 다문화 훈련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유럽차원의 공동의 직업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교환 프로그램들이 또한 이문화 이해 증진의 필요성을 높였으며 실제적으로 이문회 이해 증진의 중요한 과정이 되었다. 단일유럽의정서에 의거한 단일시장의 형성은 상품, 노동, 자본 그리고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의미하였는데 이는 유럽차원의 공동의 규정들을 필요로 했다. 이에 따라 문화수렴 현상이 목격되었는데 이 문화수렴이 어느 정도에 까지 이를 수 있을 것인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과 문화수렴 현상이 맞물리면서 유럽통합과정과 더불어 유럽 공동의 문화라고 불릴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고 이는 유럽시민권 제도의 확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데 유럽내의 서로 다른 문화들은 각기 다른 종교적, 교육적 전통과 지리 및 기후 조건들에 의한 것으로 유럽통합과 더불어 충돌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다원성의 보고이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양성 속의 통일’ 이라는 목표하에 이문화 이해 증진 프로그램들이 추진되고 있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할 맥락이다.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developing native and individual cultures. Faced the formation of the Single Market according to the Single European Act, European Communities realized the necessity to harmonize the various cultures of the member states. In this sense,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ave been developed. These programs included the exchanges of the students between the member states and comm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imension of Europe. The comm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raised the importance of the policies for the inter-cultural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ey proved to be good instrument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s between cultures. The emergence of the Single Market according to Single European Act implied the free movement of the goods, services, labours and capitals. For that the common rules and regulations in the dimension of Europe were established. In the results of these processes people could observe the convergence of the cultures among the member states. People began to expect that these developments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uropean citizenship, especially through the joint effects with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owever, the different cultures of Europe are the sources of the cultural clashes and simultaneously the ones of cultural creativities and diversities. In this sense, the programs for th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have been being conducted under the motto “unity in diversity”.

      • KCI등재

        김대중과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남한과 서독의 정치·사회·문화적 토양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5 No.-

        김대중과 빌리 브란트의 시대와 공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들의 사상과 활동을 비교와 관계의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그들의 사상과 활동을 공통적으로 ‘다양성 속의 통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남한의 경우 다양성이 부족하고 이분법적인 반공주의가 내재화되었다. 그래서 김대중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정책으로 햇볕정책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서독의 경우 나치시대에 대한 반성에서 다양성이 중시되어 반공주의에 대해 덜 경직되었다.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정책으로서 동방정책은 비교적 호응을 얻었다. 김대중은 이러한 남한의 풍토에서 공산주의자라는 음해와 오해를 받았다. 빌리 브란트는 김대중에 비해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급진적인 사상과 정치 노선을 추구하기도 하고, 그의 반나치 저항 투쟁 시기에는 소련 공산당과 협력한 경력도 가졌다. 그러나 브란트는 서독에서 김대중이 겪은 바와 같은 공산주의자라는 음해로 시달리지는 않았다. 필자는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비교하면서 김대중과 햇볕정책을 비판할 것이 아니라 다양성이 부족한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토양을 개선할 생각을 해야 한다고 본다. The thoughts and activities of Kim Dae-jung and Willy Brandt in light of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countries were studied in terms of comparison and relationship. To this research,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were commonly focussed on the principle of the “unity in diversity”. The South Korea lacked and lacks the diversity and has been internalizing dichotomous anti-communism. So, the Sunshine Policy pursed by Kim Dae-jung based on the idea and policy of “unity in diversity” suffered greatly in thi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In this aspect, we must be able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value of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In contrast to this, in West Germany, diversity was valued highly in critical reflection on the Nazi era. This led to make the people of this country less rigid towards anti-communism. The idea and policy of Willy Brandt, especially Ostpolitik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ty in diversity”, was relatively in accordance with West Germa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In the South Korean climate, Kim Dae-jung was plagued and misunderstood as a communist. Willy Brandt pursued an incomparable radical ideology and political line towards communism compared to Kim Dae-jung. During his anti-Nazi resistance struggle, Willy Brandt had a career in cooperation with the Soviet Communist Party. But Brandt wasn t plagued by the abuse of Communist in West Germany as Kim Dae-jung suffered in South Korea. Therefore, we should endeavor to improv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oil of Korea towards unity in diversity which lacks the vale sense of the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