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성년식의 통과의례를 보여주는 여대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노남숙(Roh, Nam-Sook) 한국인형치료학회 2021 인형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자폐 장애를 가진 오빠로 인해 동생인 자신이 늘 가정에서 부모님의 과한 기대를 받으면서도 오빠를 동생처럼, 때로는 아들처럼 돌봐주면서 스트레스를 과하게 받고 있는 여대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이다. 내담자가 원하는 심리적 과제가 자존감을 높이고 정서적인 불안감을 줄이며 Body image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모래놀이치료를 적용하였다. 모래놀이치료는 8개월 간 주 1회(50분)씩, 27회기가 진행되었다.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집-나무-사람 (HTP) 그림 검사, 가족동적화(KFD) 검사가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되었다.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살펴보면, 내담자의 모래상자는 성년식의 통과의례로서 1단계 분리․출발단계, 2단계 전이단계: 죽음과 재생, 변환- 여성적 자아의 발달 단계, 3단계 통합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담자는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통해 삶을 변화시키는 여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낮은 자존감으로 힘들어 하는 20대 여대생이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의식의 발달이 어떠한 과정으로 변화, 통합되어 여성적 인격이 성장하고 자존감이 확립되어지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is a sandplay therapy case study of a female university student who was burdened with stress due to the highexpectation of her parents and taking care of her older brother with an autism as if he were a younger brother or her own son. Sandplay therapy was applied after identifying the client’s psychological needs to raise her self-esteem, reduce emotional anxiety, and to positively change her body image. The sandplay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over 8 months, with 27 sessions lasting 50 minutes each.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House-Tree-Person(HTP), and Kinetic Family Drawing(KFD)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client’s sandbox illustrates the three stages of an initiation rite which entails first, separation and departure, second, transition: death, regeneration, conversion - developmental stages of feminine self, and third,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sandplaytherapy, the client presents her journey into a new life. This study reveals how a female university student in her twenties who is struggling with a lowself-esteem develops and integrates her ego to grow a feminine personality and establish self-esteem.

      • 용의 상징

        노남숙(Roh, Nam-Sook) 한국인형치료학회 2019 인형치료연구 Vol.5 No.1

        Symbol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found and subtle aspects of reality that cannot be perceived through other means of perception. The major function of symbols is to represent the innermost phenomena of beings as they are. Symbols are found in tales, folklore, myths, religions, paintings and dreams that we contact in daily life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they ar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cultural contexts.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sm of dragons in mythical, cultural and religious contexts. In mythology, dragons appear as symbols of a king with infinite power,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life and death at the same time. In cultural aspects, dragons symbolize a cyclic process, separation and psychological division and mediators of heaven and the earth. In religious contexts, dragons have the two opposite meanings of good and evil. Dragons are symbolic of the world of virtue in Asian religious traditions. In the West, dragons are depicted as a symbol of chaos in the Old Testament or associated with the images of the devil and Satan. As an archetypal product of the human psyche, dragons are present in the human collective unconscious, representing symbolic meanings in such a wide range of contexts. 상징(symbol)은 여러 가지 인식 수단으로 전혀 알아챌 수 없는 현실의 깊고 오묘한 현상들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상징의 기능은 존재의 가장 은밀한 의미의 현상들을 그대로 날 것으로 나타내어 주는 것이다. 상징은 다양하게 우리가 접해볼 수 있는 이야기인 민담, 민속, 신화, 종교, 그림, 꿈과 같은 것에서 표현되어지며, 문화적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드러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용에 대하여 신화,문화, 종교에서의 용의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신화에서 용은 무한의 능력자인 왕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으로, 생명이면서 동시에 죽음으로서의 용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문화적 측면에서 순환적 과정, 분리와 심리적 분열, 천상과 지상을 연결하는 매개자의 이미지로서 그 상징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종교적 의미에서는 선과 악의 상반된 이미지의 용으로 보고 있었다. 동양 종교에서는 용은 선의 세계를 상징하였으며 서양의 구약성서에서는 용을 혼돈의 상징으로, 신약성서에서의 용은 악마와 사탄의 이미지가 있다고 표현하였다. 용은 인간정신의 원형적 산물로서 우리 인간의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와같이 다양한 영역에서 그 상징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유머 스타일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진지영(Ji-yeong Jin),노남숙(Nam-sook Roh)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유머 스타일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의 긍정적인 정서발달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부모의 유머사용을 제안하고,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1∼3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3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유머 스타일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이고 친밀한 사회적 유머, 자기확장 유머, 자기패배 유머, 공격적 유머의 순으로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가 사회적 유머, 자기확장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패배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유능감과 소속감, 통제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가 사회적 유머, 자기확장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패배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능력과 공감능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긍정적 유머를 사용할 때, 아동은 즐거움, 기쁨, 감정의 이완 등 정서적 변화가 촉진되며 아동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감을 높이며, 웃음을 통해 공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소속감을 얻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humor style that mothers use for their children affects the self-esteem and resil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1-3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for the mother's humor style, mothers used positive and intimate social humor, followed by self-aggrandizing humor, self-deprecating humor, aggressive humor in that or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mother's social humor, that is to say, self-aggrandizing was used, the higher the child's self-esteem was, and that the more self-deprecating humor was used,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elf-estee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mother's social humor, that is, self-aggrandizing humor was used, the higher the child's resilience was, and that the more self-deprecating humor was used, the highe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resilience.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놀이성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세영 ( Hwang Se-young ),노남숙 ( Roh Nam-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놀이성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과의 치료적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관점수용이 높을수록 치료적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는 커지고, 부정적 감정관계는 줄어드는 반면 정서적 공명이 커질수록 부정적 감정관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적 관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는 커지며 부정적 감정관계는 줄어들었다. 둘째, 대인관계 성향 중 독립적-책임적 성향이 강할수록 치료적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를 형성하며 부정적 감정관계는 낮추었다. 또한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는 낮아지고 부정적 감정관계가 커졌으며 마찬가지로 지배적-우월적 성향일수록 부정적 감정관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유머감각과 익살스러움이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를 맺게 되며, 유머감각은 치료적 협력관계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익살스러움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관계는 작아졌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influences of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and playability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We also sought to investigate important factors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elements of empathetic ability, acceptance of perspective is stronger, its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higher while the negative relationship is decreased. Despite this, emotional resonance is higher, and th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higher. Moreover, as empathetic concern is higher,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decreased. Second, as independent-responsibl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increase, they have a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herapeutic ones, in turn, decreasing the negative ones. Additionally as a resistant-distrusting relationship grows stronger, positive emotions become lower and negative ones are increased, and as the dominant and superior relationship also becomes higher, so too does th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become stronger. Third, as the sense of humor and wit, sub-elements of playability become higher, positive relationships are made, and the sense of humor increases therapeutic relationships. In addition, as wit is higher, negative relationships are decreased.

      • KCI등재후보

        극적 요소를 활용한 집단 놀이치료가 예비 놀이치료자에게 미치는 영향 - Phil Jones의 놀이-드라마 연속체 개념을 바탕으로

        우정희(Woo Jeong Hee),노남숙(Roh Nam Sook)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극적 요소를 활용한 집단 놀이치료가 예비 놀이치료자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직면하는 도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적 지식을 학습하기 위하여 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에 재학중이며 실습경험이 없는 예비놀이치료자 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극치료에서 사용되는 극적 요소들을 활용한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놀이치료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수받아 주 2회, 매회 50분씩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극적 요소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과정 내 참여자들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고 놀이-드라마 연속체 개념을 활용하여 발달단계별 변화를 확인하였다. 예비 놀이치료자들에게 집단 놀이치료를 적용한 결과, 연구 대상 모두 언어적·비언어적 감정표현과 자기표현력이 증가하였고, 예비 놀이치료사가 겪는 도전을 극적 현실 내에서 안전하게 해결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놀이-드라마 연속체 개념을 활용하여 정체된 발달단계의 영역이 수평적으로 상승하며 순조롭게 기능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사례 연구이며 단기적 접근이었기 때문에 일반화에 다소 한계가 있으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비 놀이치료자들의 혼란과 도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effect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pre-play therapists face using some theatrical factors. For this study, six graduate students, pre-play therapists, in child psychology faculty who have never gotten hands-on experience were randomly selec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 group play therapy program consisted with theatrical factors of drama therapy.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carefully composed with theatrical factors that are being used in drama therapy.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as confirmed and verified by a play therapy expert.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lay therapy using theatrical factors, the behaviour chang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lso, utilizing the play-drama continuum concept, changes in each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applying group play therapy on pre-play therapists, the participants were enhanced in expressing both verbal/non-verbal emotions and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challenges that pre-play therapists experience in dramatic reality were being handled safely. In addition, the play-drama continuum concept helped the participants to horizontally advance in development stage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bserving a single case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limiting to generalize the effect. Howev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using various mediums to compose a group play program to support pre-play therapists’ to overcome struggles and challe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