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중국어 수량N1+VP+수량N2 구문 연구 - 구문상속 개념을 통한 일반화 관계 포착

        남양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80 No.-

        본고는 수량N1+VP+수량N2 형식이 구문문법에서의 구문(construction)이라고 가정하고, 다양한 유형의 수량N1+VP+수량N2 구문들 간에 존재하는 일반화를 포착하려 시도하였다. 기존연구와 다양한 예문들을 통해 수량N1+VP+수량N2 구문을 의미역에 따라 총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원형적 구문을 찾으려 시도하였고, 유형1과 유형4중 유형1이 원형적 구문임을 논증하였다. 이에 대해 총 4가지 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전경-배경 역전 현상의 현저성에 있어 유형1이 더욱 컸다. 수량N1+VP+수량N2 구문은 문장성분들을 우리의 상식과 다르게 배열한다. 이러한 유표적 배열은 특정한 의도가 내포되어 있으며, 수량N1+VP+수량N2 구문에서는 그 의도를 ‘이용가능’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전경-배경 역전 현상의 현저성은 중요한 위상을 가진다. 둘째, 구문의 논항수와 동사의 논항수의 일치도에서 유형1은 일치하는 데 반해, 유형4는 일치하지 않았다. 구문의 논항수와 원형적 구문의 동사 논항수는 일치해야 한다. 셋째, 다수의 유형들에서 <행위자 대상>을 필수 논항으로 가지는 동사가 많았다. 이것은 유형1이 원형적 구문이 되어 다른 구문으로 확장, 파생된 결과들로 볼 수 있다. 넷째, 유형4도 ‘사물+V+사람’ 어순이라는 점에서 유형1과 같다. 즉, 유형1을 주형으로 해서 유형4와 같은 용법이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수량N1+VP+수량N2 구문의 구문 논항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용물, 이용자 논항은 일반적 논항이 아니지만, 왜 이러한 논항의 설정이 필요하고 어떤 근거에서 이러한 논항을 설정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구문문법에서의 구문상속 개념을 통해, 7가지 유형의 수량N1+VP+수량N2 구문들 간에 존재하는 체계적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수량N1+VP+수량N2 구문들은 다의성 연결을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유형들은 원형적 수량N1+VP+수량N2 구문을 주형으로 하여 파생, 발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ssumes that the form of quantity N1+VP+quantity N2 is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grammar, and attempts to capture the generalization that exists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various examples, we classified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into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emantic roles. We tried to find out the prototype construction among these, and we argued that type 1 is the prototype construction. There are four grounds for an argument. First, Type 1 is the greatest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of the foreground-background reversal phenomenon.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arranges participants differently from our common sense. This marked arrangement implies a specific intention, we can regard the intention as 'available'. Thus, the degree of foreground-background reversal phenomenon has an important status. Second, the type 1 matches the number of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number of verb's argument, whereas type 4 does not. The the number of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number of verb's argument must be matched. Third, there were many verbs that had <theme agent> as a mandatory argument in many types.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that type 1 is a prototype construction and it has been extended to other constructions. Fourth, Type 4 is also the same as type 1 in that it is in the order of 'object +V+human'. In other words, type 4 was derived by type 1. We discussed the construction argument of th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Although the use or user argument is not a general argument, it was discussed why setting up such argument is necessary and on what grounds it could be established. This paper also discussed the systematic relationship existing among the seven types of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based on the construction inheritance. As a result, we found out th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s are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polysemy link. The prototype quantity N1+VP+quantity N2 construction is their template, and they were derived and developed through this prototype construction.

      • KCI등재

        동사의 원형의미 및 확장의미와 중국어 작문교육

        남양우 중국인문학회 2016 中國人文科學 Vol.0 No.62

        A study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based on basic meaning and expanded meaning of verbs When we learn foreign language, we generally understand it based on Korean which is our native language. Although the knowledge of our first language has positive aspects, but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could become an obstacle for learning second language. Especially, when we blindly translate the verb of native language into second language, it could be a wrong sentence. Therefore, we claim that when Korean learn Chines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distinguish basic meaning from expanded meaning. When Korean verb ‘gada’ means basic meaning, it correspond to Chinese verb ‘qu’. But when Korean verb ‘gada’ means expanded meaning, it hardly correspond to Chinese verb ‘qu’. In this case, we should find out the verb that means expanded meaning of ‘gada’, and then we should use Chinese verb which correspond to that meaning. Through this, we can more effectively learn Chinese and we can reduce mistakes. This method also makes learners to improve the ability of finding out problems and solving that problems.

      • KCI등재

        현대중국어 파손 ․ 손해의미 은현문에 관한 소고

        남양우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1

        Existential construction exists cross-linguistically. So a study about existential 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in linguistic studies. In modern Chinese,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fugitive construction have same sentence structure ‘NL+VP+NP’, and are closely related semantically. Therefore we can recognize it same category. Nevertheless, we can not deny that there is few study about fugitive construction relatively. In this paper, we discussed about fugitive construction, especially means damage. The reason that fugitive construction is important is that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belongs to fugitive construction same as general fugitive construction and it has unique characteristics.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shows the progress that a construction creates new constructional ecosystem while it is evolving. We can see productivity and extendability of language through the evolving of ‘NL+VP+NP’ construction from existential construction to fugitive construction to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In addition,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fugitive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has features between general fugitive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syntactically. Fugitive construction of damage meaning also plays a intermediate role semantically. 존재문은 범언어적으로 존재하는 구문이다. 그런 점에서 존재문 연구는 언어연구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중국어에서 존재문과 은현문은 동일하게 ‘NL+VP+NP’ 형식을 가지면서 의미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존현문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존재문과 달리 은현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은현문 중, 특히 파손․손해의미를 나타내는 은현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이 중요한 것은 일반은현문과 더불어 은현문이라는 범주에 속하면서, 고유한 개별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은 구문이 발전해 가면서 새로운 구문생태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우리는 ‘NL+VP+NP’ 형식의 구문이 존재문에서 은현문, 다시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을 통해 언어의 생산력과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은 은현문과 소유자-대상 구문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서도 중요하다. 통사적 면에서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은 일반은현문과 소유자-대상 구문의 중간적 특성을 보인다. 특히 A부분에서 그러하다. 의미의 측면에 있어서는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은 은현문과 소유자-대상 구문의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다. 소유자-대상 구문이 함축하고 있는 ‘발생’ 의미를 일반은현문과 연결지어주는 것은 파손․손해의미 은현문이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 동기화 양상에 관한 시론

        남양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78 No.-

        This paper suppose that construction A can be a structural model of construction B through 'motivation' which is essential in cognitive grammar. This construction A is related to human experiences. Because the human experience is reflected in the language, repeated and important experiences form models. These models become gestalt, and various modification based on it can be emerge. We discussed four cases that construction A is the structural model of construction B. First case is Fugitive construction and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These constructions are independent, but the latter is based on the former. Fugitive construction which means movement extended to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that means acquisition and loss. Second case is VN了 construction. This is a single construction, but it has polysemy. VN了 construction was formed by human experience originally, but it has gradually been abstracted. And it has become possible to means the change of theme. Third case is Spread dynamic existential construction. This construction was formed by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Movement dynamic existential construction. Therefore it has two properties, one belongs to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the other belongs to Dynamic existential construction. Fourth case is VC construction. This construction has polysemy like VN了 construction. But it isn't based on movement contrary to VN了 construction. Moreover, it is a phrase unit construction. We can see that a phrase unit also can be structural model. 본고는 인지문법이론의 개념인 ‘동기화’에 기반하여, 구문A가 구문B의 구조적 모형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 때 구문A는 인간의 경험과 직접적 관련성이 있다. 인간의 경험이 언어에 반영된다고 볼 때, 인간 생활에서 반복적이고 중요한 경험이 하나의 모형으로 공고화된다. 이것은 하나의 게시탈트가 되고, 이것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이형이 출현할 수 있다. 이것은 사회가 복잡해지고 개념이 더욱 추상화되면서 생기는 필연적 요구에 의해서이다. 본고는 중국어에서 구문A가 구문B의 구조적 모형이 되는 경우를 4가지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은현구문과 소유자-대상 구문 간의 관계이다. 이 두 구문은 서로 독립적인 개별적 구문이지만 소유자-대상 구문은 은현구문에 기반하고 있다. 물리적 이동을 나타내는 은현구문이 기반이 되어 획득과 상실을 나타내는 소유자-대상 구문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둘째, VN了 구문이다. 이 구문은 단일 구문이지만, 다의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 다의성은 ‘下’와 ‘出’같은 이동 동사를 통해 기상 ․ 천체 변화를 나타내는 중심의미를 바탕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맨 처음 인간의 직접적 경험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VN了 구문은 점차 추상화되어 ‘대상의 변화’를 표상하게 되었다. 셋째, 확산류 동태존재구문이다. 이 구문은 정태존재구문과 ‘走类’ 동태존재구문이라는 이중적 모형에 기반하여 형성되었다. 이 때문에 이 구문은 정태존재구문과 동태존재구문의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것은 구문B가 다수의 구문에 기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VC구문이다. 이 구문은 VN了 구문처럼 구문 다의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 구문은 VN了 구문과 달리 물리적 이동 속성에 기반하고 있지 않다. 또한 앞서의 구문들과 달리 문장단위가 아닌 구 단위의 구문이다. 이를 통해 구문A가 구문B의 구조적 모형이 되는 것은 구 단위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어 존현문에 관한 소고 - 정보적 측면을 중심으로

        남양우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0 No.-

        This paper considered the existence sentence of Chinese in terms of an informational perspective. We can summarize it as follows. First, we can look at the scene with a Chinese dictionary on the desk and express ‘桌子上有汉语词典’ or express ‘汉语词典在桌子上’. That is, it can be expressed in two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for the same scene. These two sentences are the same in terms of truth conditions, but they are different in terms of information. In the former, the speaker used the ‘桌子上’ as a topic and used i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message to be delivered. At this time, the speaker assumes that the information ‘桌子上’ already exists in the listener's head, and the listener updates the new information on it. In the latter, the speaker used the ‘汉语词典’ as a topic and used i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message to be delivered, and the listener updates the new information on it. The reason why the same scene is structured differently is that when the speaker wants to convey some information to the listener, he or she chooses the structure that the speaker thinks is most effective in each situation. In addition, the place of Chinese existence senten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topics. It i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gate and is also the same as other place adverbial topics in terms of old information, but it differs from them in that it is given prominence and encoded as a subject. Second, although the NPs of Chinese existential sentence are known to be indefinite, in fact, many definite NPs are found. Through the definite NPs, we can see that the Chinese existential sentence reflects the cognitive mechanism of close-up perspective mode as well as long-range perspective mode. In addition, although the definite NP of Chinese existential sentence is a definite noun phrase, it may be new information. However, not all definite NPs are new information. Third, we analyzed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untypical existential sentence. The ‘VP+NP’ structure has no place, so it has no topic. Therefore the entire sentence is new information. ‘NL+NP’ structure has no ‘VP’. This structure can be transformed into an NL+VP+NP structure by inserting the verb ‘有’ or ‘是’ that represents the simplest existence. This structure can be selected and expressed when the conceptualizer does not attach informational value to the existence method of the NP. ‘在NL+VP+NP’ structure further limits the space where NP exists, and serves to emphasize and remind listeners that the space is here.

      • KCI등재

        ‘把个’句의 생성기제에 관한 고찰 - 동사 ‘死’를 중심으로

        남양우 대한중국학회 2024 중국학 Vol.86 No.-

        그녀의 남편이 죽었다는 객관사실에 대해 중국어는 ‘她的丈夫死了’, ‘她死了丈夫’, ‘她把个丈夫死了’라는 3가지 서로 다른 통사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 중 ‘她死了丈夫’와 ‘她把个丈夫死了’는 자동사 ‘死’가 각각 SVO 구조, ‘把’字句에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특히 ‘她把个丈夫死了’는 주어가 행위자가 아니라 경험자라는 점, 전치사 ‘把’의 목적어가 ‘个+N’ 구조라는 점에서 비전형적인 ‘把’字句이며, 이를 ‘把个’句라고 부른다. ‘把个’句는 구문내적 생성기제와 구문외적 생성기제가 있다. ‘把个’句는 ‘把’字句의 발전과정에서 구문내적으로 주관성의 강화에 의해 출현되었다. 구문외적으로는 소유자-대상 구문의 영향을 받았다. 소유자-대상 구문의 영향으로 인해 ‘死了+NP’와 같은 ‘Vi+NP’ 구조의 사용이 자연스러워졌고, 그 결과 타동성이 강한 ‘把’字句에서 ‘她把个丈夫死了’와 같은 문장이 출현할 수 있게 되었다. ‘她的丈夫死了’는 그녀의 남편이 죽었다는 객관적 사실을 서술한다. ‘她死了丈夫’는 그녀의 남편이 죽었다는 사실 외에 부정적, 손해, 안타까움이라는 주관적 감정이 이입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她把个丈夫死了’는 그녀의 남편이 죽었다는 사실과 더불어 의외성, 원하지 않았던 일의 발생이라는 주관적 감정이 이입되어 있다. 이처럼 이 세 문장은 동일한 객관사실에 대해 각기 상이한 의미·화용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untypical ‘把’ construction such as ‘她把个丈夫死了’, and analysed the mechanism by which this untypical ‘把’ construction appeared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mechanism. Initially, ‘把’ construction expressed the meaning of treatment with strong transitivity, but gradually, ‘把’ construction with weak treatment or unrelated to treatment began to appear.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ubject. As the control of the subject weakened and the influence of the speaker became stronger, unintentional treatments such as ‘她把个丈夫死了’ appeared. The motivation for this transition is subjectivity. The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had an external influence on the appearance of ‘把个句’. ‘把个句’ first appeared in the Song Dynasty, but it could only be combined with transitive verbs. Later, in the Ming Dynasty, it was used to combine with the intransitive verb ‘死’. This breaks the constraint that the verb of ‘把’ construction must be a transitive verb, which is likely influenced by the ‘NP1+死了+NP2’ structure.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NP1+死了+NP2’ structure, the ‘死了+NP’ structure is no longer awkward, and this seems to have been a catalyst for the intransitive verb ‘死’ to be used in ‘把’ construction with strong transitivity. In this way, we can see that the constructional meaning of the ‘NP1+死了+NP2’ structure has influenced the constructional meaning of ‘把个句’.

      • KCI등재

        중국어 동태존재문과 구문변화

        남양우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論叢 Vol.61 No.-

        중국어 존재문은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둘은‘NL+VP+NP’ 라는 동일한 형식을 가지지만, 의미적으로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점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宋玉柱(1982)가 ‘动态存在句’ 라는 용어를 사용한 후로, 이 둘을 존재문이라는 동일한 범주로 보는 것에 대해 별다른 문제제기 없이 줄곧 宋玉柱(1982)의 관점을 따라 왔다. 이 문제는 구문적 시각을 바탕으로 동태존재문이 정태존재문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고설명할 때 해결할 수 있다. 본고는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통시적 관점에서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말뭉치 자료의 분석 결과, 정태존재문이 동태존재문보다 역사적으로 먼저 출현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다음으로 Traugott&Trousdale(2013)의 구문변화 개념을 통해 정태존재문에서 동태존재문으로의 확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문변화는 한 구문의 내부적 측면에 변화를 주는 변화로서, 형식상의 변화없는 의미상의 변화 혹은 의미상의 변화없는 형식상의 변화이다. 동태존재문은 형식상의 변화없이 의미상의 변화만 있으므로 구문변화로 볼 수 있다. 즉 동태존재문의 출현은 일종의 구문변화이다.

      • KCI등재

        중국어 동사의 다의성에 대한 구문문법적 접근: 동사 ‘考’를 중심으로

        남양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2 中國硏究 Vol.90 No.-

        본고는 동사 ‘考’가 ‘张三考研究生’, ‘张三考开卷’, ‘张三考全班全三名’처럼 비전형적 목적어와 결합하는 이유에 대해, 구문문법 시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문문법에서의 구문 정의에 따르면 단절층위뿐만 아니라 어휘층위도 구문이다. 따라서 동사 ‘考’는 일종의 구문이다. 둘째, 이중타동구문이나 동태존재구문같은 단절구문은 구문확장을 통해 구문 다의성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제한된 구문형식으로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언어사용자의 욕구와 관련이 있다. 동사중심구문으로서의 ‘考’ 구문 역시 구문확장의 과정에서 비전형적 목적어와 결합할 수 있게 되었다. ‘考’ 구문은 <시행자 피시험자> 참여자역을 가지는 考1과 <피시험자 내용>, <피시험자 목적>, <피시험자 방식>, <피시험자 결과> 참여자역을 가지는 考2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피시험자 목적>, <피시험자 방식>, <피시험자 결과>는 <피시험자 내용>을 기반으로 구문의미가 확장된 결과이다. 셋째, 중국어의 단절층위 구문과 어휘층위 구문이 유사한 양상으로 확장, 발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것은 ‘把字句’와 ‘考’ 구문을 통해 알 수 있다. 단절층위 구문인 ‘把字句’에서 구문논항을 중심으로 복수의 구문으로 구분이 되고, 구문확장을 통해 다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 어휘층위 구문인 ‘考’ 구문에서도 참여자역을 중심으로 복수의 구문으로 구분이 되고, 구문확장을 통해 다의성을 가지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